“의료자원 선택과 집중…진단검사 체계 전환 고민해야”

입력 2022.08.24 (20:53) 수정 2022.08.24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이 현재 유증상자 등에 무료로 이뤄지는 코로나19 진단검사 체계의 전환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정 위원장은 오늘(24일) 4차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지속 가능한 효율적인 감염병 관리를 위해 방역상황과 정책을 하나하나 점검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한정된 의료자원을 투입해야 한다”며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코로나19 진단검사의 정책 방향성을 논의하고 체계 전환의 필요성이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코로나19 PCR(유전자증폭) 검사는 60세 이상 고령자와 의사 소견에 따라 검사가 필요한 사람과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사람,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등에 대해 무료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신속항원검사 역시 의심증상이 있거나 밀접접촉자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검사비를 내지 않습니다.

정 위원장은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분배를 위해 ▲ 입실 및 전원 기준 점검, ▲ 감염병 정보 통합 및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을 제안했습니다.

또, “다행히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비교해 확진자 발생 대비 낮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며 “지금 시행 중인 고위험군에 대한 집중 보호와 진료가 효과를 발휘하면 치명률은 더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발생할 수 있는 미래 재유행에 대비해 지역별로 보건·의료협의체를 활성화하고 원스톱 진료기관, 먹는 치료제 담당 약국 등 현행 대응 체계도 꾸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료자원 선택과 집중…진단검사 체계 전환 고민해야”
    • 입력 2022-08-24 20:53:51
    • 수정2022-08-24 22:10:38
    사회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이 현재 유증상자 등에 무료로 이뤄지는 코로나19 진단검사 체계의 전환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정 위원장은 오늘(24일) 4차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지속 가능한 효율적인 감염병 관리를 위해 방역상황과 정책을 하나하나 점검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한정된 의료자원을 투입해야 한다”며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코로나19 진단검사의 정책 방향성을 논의하고 체계 전환의 필요성이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코로나19 PCR(유전자증폭) 검사는 60세 이상 고령자와 의사 소견에 따라 검사가 필요한 사람과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사람,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등에 대해 무료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신속항원검사 역시 의심증상이 있거나 밀접접촉자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검사비를 내지 않습니다.

정 위원장은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분배를 위해 ▲ 입실 및 전원 기준 점검, ▲ 감염병 정보 통합 및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을 제안했습니다.

또, “다행히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비교해 확진자 발생 대비 낮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며 “지금 시행 중인 고위험군에 대한 집중 보호와 진료가 효과를 발휘하면 치명률은 더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발생할 수 있는 미래 재유행에 대비해 지역별로 보건·의료협의체를 활성화하고 원스톱 진료기관, 먹는 치료제 담당 약국 등 현행 대응 체계도 꾸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