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기정, 재개발 상가 보름짜리 ‘위장전입’…“임대인 요구”

입력 2022.08.26 (21:14) 수정 2022.08.26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2012년 한 재개발 상가에 '위장 전입'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실제 살지 않으면서 가족 모두의 주소지를 옮겨둔 기간, 보름 정도밖에 안 됩니다.

한 후보자 측은 집 주인 요구를 들어줬을 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손서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2012년 2월 이사한 서울 동작구의 한 아파트입니다.

그런데 전입 3개월 만에 한 후보자는 배우자, 두 자녀와 함께 3백여 m 떨어진 한 상가 건물로 주소지를 옮깁니다.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1972년 지어진 이후 1층은 가게로만 운영되고 있습니다.

2층에 옥탑방이 있지만, 사람이 사는 건 못 봤다고 인근 상인들은 말합니다.

[인근 상인 : "(2012년이면) 노숙자도 살 수 없는, 어쨌든 사람이 살 데는 아니지."]

그런데 한 후보자 가족, 이번엔 전입 보름여 만에 원래 살던 흑석동 아파트로 주소지를 또다시 옮깁니다.

실제 거주하지 않고, 주소지만 옮긴 '위장 전입'입니다.

한 후보자 측은 집주인이 은행 담보 대출을 받겠다며 주소를 옮겨달라고 해 일시적으로 주소를 옮겼다며, 이를 통해 얻은 경제적 이익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후순위 담보권자가 돼도 보증금 확보에는 지장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 의견은 다릅니다.

당시 실거래가를 고려할 때 임차인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위험한 상황으로 보인다면서, 임차인이 위험을 감수해 주는 대가 없이 임대인 편의를 봐주는 게 상식적이지 않다는 설명입니다.

[장석호/공인중개사 : "법률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또는 법률 전문가라면 혹은 저 같은 공인중개사라면 절대로 후순위로 뒤로 밀리게 전입신고하지 않았을 겁니다."]

한 후보자 측은 가족의 통근, 통학 편의를 위해 흑석동으로 이사했던 만큼 임대인의 주소 이전 요구를 거절할 경우 또다시 이사 가는 불편이 더 크다고 봤다고 재차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김정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한기정, 재개발 상가 보름짜리 ‘위장전입’…“임대인 요구”
    • 입력 2022-08-26 21:14:21
    • 수정2022-08-26 22:01:18
    뉴스 9
[앵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2012년 한 재개발 상가에 '위장 전입'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실제 살지 않으면서 가족 모두의 주소지를 옮겨둔 기간, 보름 정도밖에 안 됩니다.

한 후보자 측은 집 주인 요구를 들어줬을 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손서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2012년 2월 이사한 서울 동작구의 한 아파트입니다.

그런데 전입 3개월 만에 한 후보자는 배우자, 두 자녀와 함께 3백여 m 떨어진 한 상가 건물로 주소지를 옮깁니다.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1972년 지어진 이후 1층은 가게로만 운영되고 있습니다.

2층에 옥탑방이 있지만, 사람이 사는 건 못 봤다고 인근 상인들은 말합니다.

[인근 상인 : "(2012년이면) 노숙자도 살 수 없는, 어쨌든 사람이 살 데는 아니지."]

그런데 한 후보자 가족, 이번엔 전입 보름여 만에 원래 살던 흑석동 아파트로 주소지를 또다시 옮깁니다.

실제 거주하지 않고, 주소지만 옮긴 '위장 전입'입니다.

한 후보자 측은 집주인이 은행 담보 대출을 받겠다며 주소를 옮겨달라고 해 일시적으로 주소를 옮겼다며, 이를 통해 얻은 경제적 이익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후순위 담보권자가 돼도 보증금 확보에는 지장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 의견은 다릅니다.

당시 실거래가를 고려할 때 임차인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위험한 상황으로 보인다면서, 임차인이 위험을 감수해 주는 대가 없이 임대인 편의를 봐주는 게 상식적이지 않다는 설명입니다.

[장석호/공인중개사 : "법률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또는 법률 전문가라면 혹은 저 같은 공인중개사라면 절대로 후순위로 뒤로 밀리게 전입신고하지 않았을 겁니다."]

한 후보자 측은 가족의 통근, 통학 편의를 위해 흑석동으로 이사했던 만큼 임대인의 주소 이전 요구를 거절할 경우 또다시 이사 가는 불편이 더 크다고 봤다고 재차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김정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