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한 날씨 속 화재 주의…예방법은?
입력 2022.08.30 (22:58)
수정 2022.08.30 (23: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처럼 비가 내리는 등 습도가 높은 날엔 전선 주변 등의 먼지가 습기를 흡수해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주아랑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비가 내리는 늦은 밤, 소방대원들이 호스를 들고 뿌연 연기로 가득 찬 식당 안으로 들어가 화재 진압 활동을 벌입니다.
울산의 한 노래연습장.
벽면 등 내부 곳곳이 불에 타 시커멓게 변했습니다.
가정집의 김치냉장고 뒤편 등에 불에 탄 검은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모두 최근 울산에 비가 내리거나 습한 날씨에 발생한 화재들입니다.
불이 난 원인 모두 전기적 요인들로 추정됩니다.
습도가 높으면 콘센트 주변 등에 있는 먼지가 습기를 머금어 화재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노후화된 주택가 배·분전반 등 전기 화재가 장마철에 집중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고광우/울산소방본부 광역화재조사관 : "(습한 날엔) 멀티탭에 쌓여있는 먼지가 습기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습기가 흡수되면 콘센트의 절연이 불량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누전이나 도전로가 형성되는 '트래킹 현상'에 따라 화재 발생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외출할 때는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놓아야 합니다.
특히 구석에 있는 멀티탭 등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곳에 먼지가 쌓여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먼지를 제거해야 합니다.
노후 주택에서는 누전차단기 등의 배선에 물기가 있는지 미리 점검해야 하고, 누전 차단기 작동 여부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또 전기 설비 등에 전선 피복이 손상된 곳은 없는지 잘 살피고, 낡고 오래된 설비는 교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KBS 뉴스 주아랑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오늘처럼 비가 내리는 등 습도가 높은 날엔 전선 주변 등의 먼지가 습기를 흡수해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주아랑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비가 내리는 늦은 밤, 소방대원들이 호스를 들고 뿌연 연기로 가득 찬 식당 안으로 들어가 화재 진압 활동을 벌입니다.
울산의 한 노래연습장.
벽면 등 내부 곳곳이 불에 타 시커멓게 변했습니다.
가정집의 김치냉장고 뒤편 등에 불에 탄 검은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모두 최근 울산에 비가 내리거나 습한 날씨에 발생한 화재들입니다.
불이 난 원인 모두 전기적 요인들로 추정됩니다.
습도가 높으면 콘센트 주변 등에 있는 먼지가 습기를 머금어 화재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노후화된 주택가 배·분전반 등 전기 화재가 장마철에 집중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고광우/울산소방본부 광역화재조사관 : "(습한 날엔) 멀티탭에 쌓여있는 먼지가 습기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습기가 흡수되면 콘센트의 절연이 불량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누전이나 도전로가 형성되는 '트래킹 현상'에 따라 화재 발생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외출할 때는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놓아야 합니다.
특히 구석에 있는 멀티탭 등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곳에 먼지가 쌓여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먼지를 제거해야 합니다.
노후 주택에서는 누전차단기 등의 배선에 물기가 있는지 미리 점검해야 하고, 누전 차단기 작동 여부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또 전기 설비 등에 전선 피복이 손상된 곳은 없는지 잘 살피고, 낡고 오래된 설비는 교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KBS 뉴스 주아랑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습한 날씨 속 화재 주의…예방법은?
-
- 입력 2022-08-30 22:58:52
- 수정2022-08-30 23:35:04

[앵커]
오늘처럼 비가 내리는 등 습도가 높은 날엔 전선 주변 등의 먼지가 습기를 흡수해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주아랑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비가 내리는 늦은 밤, 소방대원들이 호스를 들고 뿌연 연기로 가득 찬 식당 안으로 들어가 화재 진압 활동을 벌입니다.
울산의 한 노래연습장.
벽면 등 내부 곳곳이 불에 타 시커멓게 변했습니다.
가정집의 김치냉장고 뒤편 등에 불에 탄 검은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모두 최근 울산에 비가 내리거나 습한 날씨에 발생한 화재들입니다.
불이 난 원인 모두 전기적 요인들로 추정됩니다.
습도가 높으면 콘센트 주변 등에 있는 먼지가 습기를 머금어 화재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노후화된 주택가 배·분전반 등 전기 화재가 장마철에 집중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고광우/울산소방본부 광역화재조사관 : "(습한 날엔) 멀티탭에 쌓여있는 먼지가 습기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습기가 흡수되면 콘센트의 절연이 불량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누전이나 도전로가 형성되는 '트래킹 현상'에 따라 화재 발생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외출할 때는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놓아야 합니다.
특히 구석에 있는 멀티탭 등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곳에 먼지가 쌓여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먼지를 제거해야 합니다.
노후 주택에서는 누전차단기 등의 배선에 물기가 있는지 미리 점검해야 하고, 누전 차단기 작동 여부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또 전기 설비 등에 전선 피복이 손상된 곳은 없는지 잘 살피고, 낡고 오래된 설비는 교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KBS 뉴스 주아랑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오늘처럼 비가 내리는 등 습도가 높은 날엔 전선 주변 등의 먼지가 습기를 흡수해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주아랑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비가 내리는 늦은 밤, 소방대원들이 호스를 들고 뿌연 연기로 가득 찬 식당 안으로 들어가 화재 진압 활동을 벌입니다.
울산의 한 노래연습장.
벽면 등 내부 곳곳이 불에 타 시커멓게 변했습니다.
가정집의 김치냉장고 뒤편 등에 불에 탄 검은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모두 최근 울산에 비가 내리거나 습한 날씨에 발생한 화재들입니다.
불이 난 원인 모두 전기적 요인들로 추정됩니다.
습도가 높으면 콘센트 주변 등에 있는 먼지가 습기를 머금어 화재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노후화된 주택가 배·분전반 등 전기 화재가 장마철에 집중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고광우/울산소방본부 광역화재조사관 : "(습한 날엔) 멀티탭에 쌓여있는 먼지가 습기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습기가 흡수되면 콘센트의 절연이 불량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누전이나 도전로가 형성되는 '트래킹 현상'에 따라 화재 발생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외출할 때는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놓아야 합니다.
특히 구석에 있는 멀티탭 등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곳에 먼지가 쌓여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먼지를 제거해야 합니다.
노후 주택에서는 누전차단기 등의 배선에 물기가 있는지 미리 점검해야 하고, 누전 차단기 작동 여부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또 전기 설비 등에 전선 피복이 손상된 곳은 없는지 잘 살피고, 낡고 오래된 설비는 교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KBS 뉴스 주아랑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
-
주아랑 기자 hslp0110@kbs.co.kr
주아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