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일하는 양육자 28% “출산휴가·육아휴직 못 썼다”

입력 2022.08.31 (14: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일하는 양육자 10명 가운데 3명은 직장 내 경쟁력 약화나 동료들의 업무 부담 등을 우려해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을 사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일하는 양육자 대부분(80% 이상)은 영유아나 초등 자녀가 돌봄기관을 이용해도 추가 돌봄 조력자가 필요한 상황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오늘(31일) 서울 대방동 ‘스페이스 살림’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서울시 양육자 생활실태 및 정책 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먼저 전체 응답자 가운데 임금 근로자인 양육자 1,103명의 72.0%는 출산휴가 등 일, 생활 균형 제도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유형별 이용 제도는 출산 전후 휴가(45.7%), 육아휴직(36.7%), 배우자 출산휴가(24.0%) 순이었습니다. 반면 28.0%는 일·생활 균형 제도를 쓴 적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일, 생활 균형 제도 사용 시 우려하는 점으로는 직장 내 경쟁력 약화(여성 34.1%·남성 29.8%), 동료들의 업무 부담(여성 20.7%·남성 21.9%), 제도 사용 기간 소득 감소(여성 16.9%·남성 16.7%) 등을 꼽았습니다.

특히 남성은 제도 사용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인식하는 경우(15.8%)가 여성(11.3%)보다 많았습니다.

전체 응답자 2,005명 가운데 82.8%는 ‘아이를 낳은 것은 잘한 일’이라고 생각하나 출산 이후 ‘개인 시간 부족’을 크게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출산 뒤 12개월까지는 수면·식사·씻는 시간 부족(82.9%), 여가·문화생활 등 나를 위한 시간 부족(86.0%) 등의 응답이 많았습니다.

영유아 및 초등 자녀 양육 시기에는 여가·문화생활 등 나를 위한 시간 부족(영유아기 85.6%·초등기 83.1%), 아이 돌봄으로 아파도 제대로 쉬어 본 적 없음(영유아기 78.4%·초등기 73.1%) 등이 어려운 점으로 꼽혔습니다.

대부분의 응답자(영유아기 84.7%·초등기 83.9%)는 영유아 및 초등 자녀가 돌봄기관을 이용해도 양육자가 일하려면 추가 돌봄 조력자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주요 돌봄 조력자(중복 응답)는 조부모·기타 친족·이웃(영유아기 56.9%·초등기 41.7%)이 가장 많았으며, 초등기의 경우에는 각종 학원(42.7%)의 역할이 컸습니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지난 6월부터 두 달 동안 0∼12살 자녀를 키우는 서울시민 2,005명(여성 1,482명·남성 52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서 일하는 양육자 28% “출산휴가·육아휴직 못 썼다”
    • 입력 2022-08-31 14:00:50
    사회
서울에서 일하는 양육자 10명 가운데 3명은 직장 내 경쟁력 약화나 동료들의 업무 부담 등을 우려해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을 사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일하는 양육자 대부분(80% 이상)은 영유아나 초등 자녀가 돌봄기관을 이용해도 추가 돌봄 조력자가 필요한 상황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오늘(31일) 서울 대방동 ‘스페이스 살림’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서울시 양육자 생활실태 및 정책 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먼저 전체 응답자 가운데 임금 근로자인 양육자 1,103명의 72.0%는 출산휴가 등 일, 생활 균형 제도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유형별 이용 제도는 출산 전후 휴가(45.7%), 육아휴직(36.7%), 배우자 출산휴가(24.0%) 순이었습니다. 반면 28.0%는 일·생활 균형 제도를 쓴 적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일, 생활 균형 제도 사용 시 우려하는 점으로는 직장 내 경쟁력 약화(여성 34.1%·남성 29.8%), 동료들의 업무 부담(여성 20.7%·남성 21.9%), 제도 사용 기간 소득 감소(여성 16.9%·남성 16.7%) 등을 꼽았습니다.

특히 남성은 제도 사용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인식하는 경우(15.8%)가 여성(11.3%)보다 많았습니다.

전체 응답자 2,005명 가운데 82.8%는 ‘아이를 낳은 것은 잘한 일’이라고 생각하나 출산 이후 ‘개인 시간 부족’을 크게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출산 뒤 12개월까지는 수면·식사·씻는 시간 부족(82.9%), 여가·문화생활 등 나를 위한 시간 부족(86.0%) 등의 응답이 많았습니다.

영유아 및 초등 자녀 양육 시기에는 여가·문화생활 등 나를 위한 시간 부족(영유아기 85.6%·초등기 83.1%), 아이 돌봄으로 아파도 제대로 쉬어 본 적 없음(영유아기 78.4%·초등기 73.1%) 등이 어려운 점으로 꼽혔습니다.

대부분의 응답자(영유아기 84.7%·초등기 83.9%)는 영유아 및 초등 자녀가 돌봄기관을 이용해도 양육자가 일하려면 추가 돌봄 조력자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주요 돌봄 조력자(중복 응답)는 조부모·기타 친족·이웃(영유아기 56.9%·초등기 41.7%)이 가장 많았으며, 초등기의 경우에는 각종 학원(42.7%)의 역할이 컸습니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지난 6월부터 두 달 동안 0∼12살 자녀를 키우는 서울시민 2,005명(여성 1,482명·남성 52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