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인재 양성, 수도권 대학 증원…지방소멸 가속화”

입력 2022.08.31 (19:22) 수정 2022.08.31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의 반도체 인재 양성 계획이 수도권 대학 증원으로 이어지면서, 비수도권 대학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비수도권 대학들은 반도체 학과 개설 자체가 어려운데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수도권 신입생 정원을 조정하는 것은 지방소멸을 가속화 한다는 겁니다.

천현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잇따라 발표한 반도체 인재 육성 대책입니다.

연구비 1조 4천억 원 지원과 인재 15만 명 양성, 특성화 대학 20곳 지정, 비수도권 대학 지원 확대입니다.

하지만 경남지역을 포함한 비수도권 대학들은 속수무책입니다.

경쟁적으로 반도체 인재 육성에 나서더라도 교수조차 구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이원근/부울경제주 대학 총장협의회장/창신대학교 총장 : "(학생이) 수도권으로 몰리고 지방에는 큰 대학 위주로 또 몰리고, 작은 대학에는 첨단학과를 신설하려고 해도 할 수도 없고, 해봤자 학생들이 오지도 않습니다."]

급기야 비수도권 108개 대학 총장 대표들이 국회를 찾았습니다.

정부의 반도체 인재 양성 계획은 수도권 대학 정원만 늘려주게 된다며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이우종/비수도권대학 총장협의회장/청운대학교 총장 : "수도권 학생 정원을 증원하여 반도체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것은 법의 정신에도 어긋나는 것이라 판단돼 수도권 학생 정원 증원을 철회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반도체 인재 양성에 따른 대학 정원 조정이 적용될 시점은 2024년 학년도부텁니다.

비수도권 총장들의 집단 반발이 이어지자, 정치권도 심각성을 인식했습니다.

[유기홍/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 "지금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낳은 대학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비수도권 대학들의 신입생 충원율이 90% 안팎.

지방 대학은 물론 지방 소멸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정책 전환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영상편집:안진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도체 인재 양성, 수도권 대학 증원…지방소멸 가속화”
    • 입력 2022-08-31 19:22:26
    • 수정2022-08-31 20:02:45
    뉴스7(창원)
[앵커]

정부의 반도체 인재 양성 계획이 수도권 대학 증원으로 이어지면서, 비수도권 대학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비수도권 대학들은 반도체 학과 개설 자체가 어려운데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수도권 신입생 정원을 조정하는 것은 지방소멸을 가속화 한다는 겁니다.

천현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잇따라 발표한 반도체 인재 육성 대책입니다.

연구비 1조 4천억 원 지원과 인재 15만 명 양성, 특성화 대학 20곳 지정, 비수도권 대학 지원 확대입니다.

하지만 경남지역을 포함한 비수도권 대학들은 속수무책입니다.

경쟁적으로 반도체 인재 육성에 나서더라도 교수조차 구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이원근/부울경제주 대학 총장협의회장/창신대학교 총장 : "(학생이) 수도권으로 몰리고 지방에는 큰 대학 위주로 또 몰리고, 작은 대학에는 첨단학과를 신설하려고 해도 할 수도 없고, 해봤자 학생들이 오지도 않습니다."]

급기야 비수도권 108개 대학 총장 대표들이 국회를 찾았습니다.

정부의 반도체 인재 양성 계획은 수도권 대학 정원만 늘려주게 된다며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이우종/비수도권대학 총장협의회장/청운대학교 총장 : "수도권 학생 정원을 증원하여 반도체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것은 법의 정신에도 어긋나는 것이라 판단돼 수도권 학생 정원 증원을 철회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반도체 인재 양성에 따른 대학 정원 조정이 적용될 시점은 2024년 학년도부텁니다.

비수도권 총장들의 집단 반발이 이어지자, 정치권도 심각성을 인식했습니다.

[유기홍/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 "지금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낳은 대학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비수도권 대학들의 신입생 충원율이 90% 안팎.

지방 대학은 물론 지방 소멸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정책 전환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영상편집:안진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