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톈진, 최근 코로나 확산 기원으로 한국산 수입품 지목
입력 2022.09.02 (00:19)
수정 2022.09.02 (00: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톈진시 당국이 최근 시내 코로나19 연쇄 감염의 기원으로 한국산 수입 물품을 공개적으로 지목했습니다.
중국중앙인민라디오방송 인터넷판인 양광망은 톈진시 질병통제센터가 어제(1일) 방역 상황 관련 기자회견에서 지난달 27일부터 현재까지 약 200명의 누적 감염자가 나온 시칭구 연쇄 감염의 근원이 한국산 수입 물품일 가능성이 "극도로 크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그 근거로 "(해당 감염 경로의) 초기 감염자 유전자 서열이 한국에서 최근 공유한 유전자 서열과 차이가 가장 작다"며 "근래 초기 감염자 가정에 있던 한국산 수입 물품, 특히 한국에서 수입한 냉동식품의 표본에서 양성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센터측이 '한국발'로 지목한 감염 경로는 최근 톈진시의 4개 감염 경로 중 감염자 숫자 면에서 가장 큰 것입니다.
앞서 지난 3∼4월에도 중국 일부 지역이 코로나19 확산의 근원으로 한국산 수입 의류를 지목하고 주민들에게 주의를 촉구한 데 대해 한국 정부가 중국 측에 문제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나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우편물이나 화물의 표면접촉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코로나19의 해외 기원설을 주장해온 중국은 우편물, 냉동식품 등을 통한 전파를 지속 거론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톈진방송 인터넷판 캡처]
중국중앙인민라디오방송 인터넷판인 양광망은 톈진시 질병통제센터가 어제(1일) 방역 상황 관련 기자회견에서 지난달 27일부터 현재까지 약 200명의 누적 감염자가 나온 시칭구 연쇄 감염의 근원이 한국산 수입 물품일 가능성이 "극도로 크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그 근거로 "(해당 감염 경로의) 초기 감염자 유전자 서열이 한국에서 최근 공유한 유전자 서열과 차이가 가장 작다"며 "근래 초기 감염자 가정에 있던 한국산 수입 물품, 특히 한국에서 수입한 냉동식품의 표본에서 양성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센터측이 '한국발'로 지목한 감염 경로는 최근 톈진시의 4개 감염 경로 중 감염자 숫자 면에서 가장 큰 것입니다.
앞서 지난 3∼4월에도 중국 일부 지역이 코로나19 확산의 근원으로 한국산 수입 의류를 지목하고 주민들에게 주의를 촉구한 데 대해 한국 정부가 중국 측에 문제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나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우편물이나 화물의 표면접촉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코로나19의 해외 기원설을 주장해온 중국은 우편물, 냉동식품 등을 통한 전파를 지속 거론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톈진방송 인터넷판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톈진, 최근 코로나 확산 기원으로 한국산 수입품 지목
-
- 입력 2022-09-02 00:19:35
- 수정2022-09-02 00:31:41

중국 톈진시 당국이 최근 시내 코로나19 연쇄 감염의 기원으로 한국산 수입 물품을 공개적으로 지목했습니다.
중국중앙인민라디오방송 인터넷판인 양광망은 톈진시 질병통제센터가 어제(1일) 방역 상황 관련 기자회견에서 지난달 27일부터 현재까지 약 200명의 누적 감염자가 나온 시칭구 연쇄 감염의 근원이 한국산 수입 물품일 가능성이 "극도로 크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그 근거로 "(해당 감염 경로의) 초기 감염자 유전자 서열이 한국에서 최근 공유한 유전자 서열과 차이가 가장 작다"며 "근래 초기 감염자 가정에 있던 한국산 수입 물품, 특히 한국에서 수입한 냉동식품의 표본에서 양성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센터측이 '한국발'로 지목한 감염 경로는 최근 톈진시의 4개 감염 경로 중 감염자 숫자 면에서 가장 큰 것입니다.
앞서 지난 3∼4월에도 중국 일부 지역이 코로나19 확산의 근원으로 한국산 수입 의류를 지목하고 주민들에게 주의를 촉구한 데 대해 한국 정부가 중국 측에 문제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나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우편물이나 화물의 표면접촉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코로나19의 해외 기원설을 주장해온 중국은 우편물, 냉동식품 등을 통한 전파를 지속 거론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톈진방송 인터넷판 캡처]
중국중앙인민라디오방송 인터넷판인 양광망은 톈진시 질병통제센터가 어제(1일) 방역 상황 관련 기자회견에서 지난달 27일부터 현재까지 약 200명의 누적 감염자가 나온 시칭구 연쇄 감염의 근원이 한국산 수입 물품일 가능성이 "극도로 크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그 근거로 "(해당 감염 경로의) 초기 감염자 유전자 서열이 한국에서 최근 공유한 유전자 서열과 차이가 가장 작다"며 "근래 초기 감염자 가정에 있던 한국산 수입 물품, 특히 한국에서 수입한 냉동식품의 표본에서 양성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센터측이 '한국발'로 지목한 감염 경로는 최근 톈진시의 4개 감염 경로 중 감염자 숫자 면에서 가장 큰 것입니다.
앞서 지난 3∼4월에도 중국 일부 지역이 코로나19 확산의 근원으로 한국산 수입 의류를 지목하고 주민들에게 주의를 촉구한 데 대해 한국 정부가 중국 측에 문제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나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우편물이나 화물의 표면접촉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코로나19의 해외 기원설을 주장해온 중국은 우편물, 냉동식품 등을 통한 전파를 지속 거론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톈진방송 인터넷판 캡처]
-
-
정아연 기자 niche@kbs.co.kr
정아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