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법 건물 보상 마찰에 산단 차질…원주민 분통
입력 2022.09.04 (21:58)
수정 2022.09.05 (10: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천안시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북부지역 곳곳에 산업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 예정지에서 원주민들이 일부 외지인들의 편법 건축물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대책을 요구해 논란입니다.
임홍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천안시 직산면의 한 산업단지 예정지입니다.
내년 말까지 61만여㎡에 각종 업체의 입주를 목표로 산단 조성을 추진 중입니다.
원주민 대부분이 사업에 동의해 72%가량 협의가 됐지만 복병을 만났습니다.
마을 특정 지역에 몰려있는 외지인들의 편법 공장 증축 때문입니다.
이곳은 자연녹지라 건폐율이 20%인데 공장 70여 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신고 면적과 달리 2, 3배 더 지어 편법으로 임대 운영된다는 주장입니다.
이 때문에 보상 마찰로 사업이 늦어져 생활 불안정 등 피해가 크다는 입장입니다.
[곽영근/원주민 개발위원회 부위원장 : "이주자 단지를 빨리 조성해줘야 거기다 집을 짓고 이사를 해야 하는데 그걸 하지 못하고 있으니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고..."]
수년간 행정조치도 미흡해 공장 측이 편법 건축물을 철거한 뒤 다시 원상복구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행정당국은 철거 명령은 했지만 아직 이행강제금부과는 없고 강제철거도 어렵다고 말합니다.
[천안 서북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한 사람이 대규모로 불법 건축물을 지어서 임대를 주고 했다면야 그럴 수 있는데 다 각자 지번 별로 건축주도 다르고 사유재산들인데..."]
하지만 해당 건물주들은 최근 해체계획을 냈고 위법은 있지만 이 지구지정 전에 지어져 정당한 보상 권리가 있다며 반발해 정확한 실태조사와 처리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임홍열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천안시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북부지역 곳곳에 산업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 예정지에서 원주민들이 일부 외지인들의 편법 건축물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대책을 요구해 논란입니다.
임홍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천안시 직산면의 한 산업단지 예정지입니다.
내년 말까지 61만여㎡에 각종 업체의 입주를 목표로 산단 조성을 추진 중입니다.
원주민 대부분이 사업에 동의해 72%가량 협의가 됐지만 복병을 만났습니다.
마을 특정 지역에 몰려있는 외지인들의 편법 공장 증축 때문입니다.
이곳은 자연녹지라 건폐율이 20%인데 공장 70여 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신고 면적과 달리 2, 3배 더 지어 편법으로 임대 운영된다는 주장입니다.
이 때문에 보상 마찰로 사업이 늦어져 생활 불안정 등 피해가 크다는 입장입니다.
[곽영근/원주민 개발위원회 부위원장 : "이주자 단지를 빨리 조성해줘야 거기다 집을 짓고 이사를 해야 하는데 그걸 하지 못하고 있으니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고..."]
수년간 행정조치도 미흡해 공장 측이 편법 건축물을 철거한 뒤 다시 원상복구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행정당국은 철거 명령은 했지만 아직 이행강제금부과는 없고 강제철거도 어렵다고 말합니다.
[천안 서북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한 사람이 대규모로 불법 건축물을 지어서 임대를 주고 했다면야 그럴 수 있는데 다 각자 지번 별로 건축주도 다르고 사유재산들인데..."]
하지만 해당 건물주들은 최근 해체계획을 냈고 위법은 있지만 이 지구지정 전에 지어져 정당한 보상 권리가 있다며 반발해 정확한 실태조사와 처리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임홍열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편법 건물 보상 마찰에 산단 차질…원주민 분통
-
- 입력 2022-09-04 21:58:03
- 수정2022-09-05 10:20:20

[앵커]
천안시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북부지역 곳곳에 산업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 예정지에서 원주민들이 일부 외지인들의 편법 건축물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대책을 요구해 논란입니다.
임홍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천안시 직산면의 한 산업단지 예정지입니다.
내년 말까지 61만여㎡에 각종 업체의 입주를 목표로 산단 조성을 추진 중입니다.
원주민 대부분이 사업에 동의해 72%가량 협의가 됐지만 복병을 만났습니다.
마을 특정 지역에 몰려있는 외지인들의 편법 공장 증축 때문입니다.
이곳은 자연녹지라 건폐율이 20%인데 공장 70여 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신고 면적과 달리 2, 3배 더 지어 편법으로 임대 운영된다는 주장입니다.
이 때문에 보상 마찰로 사업이 늦어져 생활 불안정 등 피해가 크다는 입장입니다.
[곽영근/원주민 개발위원회 부위원장 : "이주자 단지를 빨리 조성해줘야 거기다 집을 짓고 이사를 해야 하는데 그걸 하지 못하고 있으니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고..."]
수년간 행정조치도 미흡해 공장 측이 편법 건축물을 철거한 뒤 다시 원상복구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행정당국은 철거 명령은 했지만 아직 이행강제금부과는 없고 강제철거도 어렵다고 말합니다.
[천안 서북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한 사람이 대규모로 불법 건축물을 지어서 임대를 주고 했다면야 그럴 수 있는데 다 각자 지번 별로 건축주도 다르고 사유재산들인데..."]
하지만 해당 건물주들은 최근 해체계획을 냈고 위법은 있지만 이 지구지정 전에 지어져 정당한 보상 권리가 있다며 반발해 정확한 실태조사와 처리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임홍열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천안시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북부지역 곳곳에 산업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 예정지에서 원주민들이 일부 외지인들의 편법 건축물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대책을 요구해 논란입니다.
임홍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천안시 직산면의 한 산업단지 예정지입니다.
내년 말까지 61만여㎡에 각종 업체의 입주를 목표로 산단 조성을 추진 중입니다.
원주민 대부분이 사업에 동의해 72%가량 협의가 됐지만 복병을 만났습니다.
마을 특정 지역에 몰려있는 외지인들의 편법 공장 증축 때문입니다.
이곳은 자연녹지라 건폐율이 20%인데 공장 70여 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신고 면적과 달리 2, 3배 더 지어 편법으로 임대 운영된다는 주장입니다.
이 때문에 보상 마찰로 사업이 늦어져 생활 불안정 등 피해가 크다는 입장입니다.
[곽영근/원주민 개발위원회 부위원장 : "이주자 단지를 빨리 조성해줘야 거기다 집을 짓고 이사를 해야 하는데 그걸 하지 못하고 있으니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고..."]
수년간 행정조치도 미흡해 공장 측이 편법 건축물을 철거한 뒤 다시 원상복구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행정당국은 철거 명령은 했지만 아직 이행강제금부과는 없고 강제철거도 어렵다고 말합니다.
[천안 서북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한 사람이 대규모로 불법 건축물을 지어서 임대를 주고 했다면야 그럴 수 있는데 다 각자 지번 별로 건축주도 다르고 사유재산들인데..."]
하지만 해당 건물주들은 최근 해체계획을 냈고 위법은 있지만 이 지구지정 전에 지어져 정당한 보상 권리가 있다며 반발해 정확한 실태조사와 처리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임홍열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
-
임홍열 기자 himan@kbs.co.kr
임홍열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