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운전자 사고 급증에…“면허 자진반납 적극 유도해야”

입력 2022.09.08 (19:27) 수정 2022.09.08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만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가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고 예방을 위해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하면 일정한 보상을 주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요.

반납률은 매우 낮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김화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속도를 줄이지 못한 차량이 앞차를 그대로 들이받습니다.

차선을 바꾸려다 오른쪽 차와 부딪히고, 이어 왼쪽 차선에서 달려오는 버스와도 연달아 충돌합니다.

모두 만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가 낸 사고들입니다.

이러한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는 5년 사이 20% 가까이 늘어 지난해에만 3만 건을 넘었습니다.

전체 교통사고 중 고령 운전자 사고 비중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 2018년부터 각 자치단체마다 운전면허 자진반납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반납률이 2%대에 그칩니다.

운전면허를 반납하는 고령 운전자에게 교통비 명목으로 한 번 10만 원 정도를 주는데, 운전을 포기하는 대가로는 부족하다는 겁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하루에 한두 번 대중교통 수단뿐이 안 되기 때문에 그래서 일회성 교통증, 10만 원권을 준다든지 이런 것들은 일회성이기 때문에 의미가 없어서."]

가장 필요한 건 편리한 이동수단 마련.

교통 소외지역 등을 중심으로 맞춤형 대중교통 수단을 지원해, 면허 반납으로 생길 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겁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령자 콜택시나 버스 운행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조준한/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 : "이동권에 대한 제약을 그런 교통 서비스를 통해서 많이 보충시켜주는, 보완해주는 투 트랙이 같이 가야지만 궁극적인 자진 반납제도가 활성화된다…."]

문제는 예산확보인데 고령자 운전면허 반납 지원을 위한 특별회계를 만들자는 의견도 있지만, 재정 당국과 지자체 간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어서 즉각적인 실행이 불투명합니다.

KBS 뉴스 김화영입니다.

촬영기자:김제원/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채상우/화면제공:삼성화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령 운전자 사고 급증에…“면허 자진반납 적극 유도해야”
    • 입력 2022-09-08 19:27:36
    • 수정2022-09-08 19:47:12
    뉴스 7
[앵커]

만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가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고 예방을 위해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하면 일정한 보상을 주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요.

반납률은 매우 낮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김화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속도를 줄이지 못한 차량이 앞차를 그대로 들이받습니다.

차선을 바꾸려다 오른쪽 차와 부딪히고, 이어 왼쪽 차선에서 달려오는 버스와도 연달아 충돌합니다.

모두 만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가 낸 사고들입니다.

이러한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는 5년 사이 20% 가까이 늘어 지난해에만 3만 건을 넘었습니다.

전체 교통사고 중 고령 운전자 사고 비중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 2018년부터 각 자치단체마다 운전면허 자진반납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반납률이 2%대에 그칩니다.

운전면허를 반납하는 고령 운전자에게 교통비 명목으로 한 번 10만 원 정도를 주는데, 운전을 포기하는 대가로는 부족하다는 겁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하루에 한두 번 대중교통 수단뿐이 안 되기 때문에 그래서 일회성 교통증, 10만 원권을 준다든지 이런 것들은 일회성이기 때문에 의미가 없어서."]

가장 필요한 건 편리한 이동수단 마련.

교통 소외지역 등을 중심으로 맞춤형 대중교통 수단을 지원해, 면허 반납으로 생길 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겁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령자 콜택시나 버스 운행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조준한/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 : "이동권에 대한 제약을 그런 교통 서비스를 통해서 많이 보충시켜주는, 보완해주는 투 트랙이 같이 가야지만 궁극적인 자진 반납제도가 활성화된다…."]

문제는 예산확보인데 고령자 운전면허 반납 지원을 위한 특별회계를 만들자는 의견도 있지만, 재정 당국과 지자체 간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어서 즉각적인 실행이 불투명합니다.

KBS 뉴스 김화영입니다.

촬영기자:김제원/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채상우/화면제공:삼성화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