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중앙은행(ECB)이 8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에서 1.25%로 0.75%포인트(P) 깜짝 인상했습니다.
지난 7월 11년 만에 '빅스텝'(0.5%P 인상)으로 기준금리를 처음 인상한 데 이어, 이번에는 2002년 유로화 도입 이후 사상 첫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으로, 물가 대응 속도를 높인 겁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1.25%로, 수신금리와 한계대출금리 역시 각각 0.75%와 1.5%로 0.75%P씩 올리기로 했습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방향에서 "이번 주요한 진전은 현재 크게 완화적인 정책금리 수준을 물가상승률이 중기 목표치인 2% 수준으로 때맞춰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전환의 초기 단계"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은 수준에 머물고, 예상보다 긴 기간 목표치인 2%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데 따른 결정으로, 앞으로도 추가적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오늘 실제로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기로 결정했다"면서 "물가상승률이 중기목표치인 2%로 복귀하기에는 기준금리 수준이 한참 떨어져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내년 유로존 경제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러시아가 유로존에 가스 공급을 완전히 중단할 경우 역성장해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앞서 러시아 국영 가스 회사 가스프롬은 이미 지난 2일(현지시간) 독일 등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가스관인 노르트스트림-1가스관을 통한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7월 11년 만에 '빅스텝'(0.5%P 인상)으로 기준금리를 처음 인상한 데 이어, 이번에는 2002년 유로화 도입 이후 사상 첫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으로, 물가 대응 속도를 높인 겁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1.25%로, 수신금리와 한계대출금리 역시 각각 0.75%와 1.5%로 0.75%P씩 올리기로 했습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방향에서 "이번 주요한 진전은 현재 크게 완화적인 정책금리 수준을 물가상승률이 중기 목표치인 2% 수준으로 때맞춰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전환의 초기 단계"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은 수준에 머물고, 예상보다 긴 기간 목표치인 2%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데 따른 결정으로, 앞으로도 추가적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오늘 실제로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기로 결정했다"면서 "물가상승률이 중기목표치인 2%로 복귀하기에는 기준금리 수준이 한참 떨어져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내년 유로존 경제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러시아가 유로존에 가스 공급을 완전히 중단할 경우 역성장해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앞서 러시아 국영 가스 회사 가스프롬은 이미 지난 2일(현지시간) 독일 등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가스관인 노르트스트림-1가스관을 통한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CB ‘자이언트스텝’ 물가대응 가속…라가르드 “내년 경기침체”
-
- 입력 2022-09-09 00:36:08

유럽중앙은행(ECB)이 8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에서 1.25%로 0.75%포인트(P) 깜짝 인상했습니다.
지난 7월 11년 만에 '빅스텝'(0.5%P 인상)으로 기준금리를 처음 인상한 데 이어, 이번에는 2002년 유로화 도입 이후 사상 첫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으로, 물가 대응 속도를 높인 겁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1.25%로, 수신금리와 한계대출금리 역시 각각 0.75%와 1.5%로 0.75%P씩 올리기로 했습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방향에서 "이번 주요한 진전은 현재 크게 완화적인 정책금리 수준을 물가상승률이 중기 목표치인 2% 수준으로 때맞춰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전환의 초기 단계"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은 수준에 머물고, 예상보다 긴 기간 목표치인 2%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데 따른 결정으로, 앞으로도 추가적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오늘 실제로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기로 결정했다"면서 "물가상승률이 중기목표치인 2%로 복귀하기에는 기준금리 수준이 한참 떨어져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내년 유로존 경제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러시아가 유로존에 가스 공급을 완전히 중단할 경우 역성장해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앞서 러시아 국영 가스 회사 가스프롬은 이미 지난 2일(현지시간) 독일 등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가스관인 노르트스트림-1가스관을 통한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7월 11년 만에 '빅스텝'(0.5%P 인상)으로 기준금리를 처음 인상한 데 이어, 이번에는 2002년 유로화 도입 이후 사상 첫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으로, 물가 대응 속도를 높인 겁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1.25%로, 수신금리와 한계대출금리 역시 각각 0.75%와 1.5%로 0.75%P씩 올리기로 했습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방향에서 "이번 주요한 진전은 현재 크게 완화적인 정책금리 수준을 물가상승률이 중기 목표치인 2% 수준으로 때맞춰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전환의 초기 단계"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은 수준에 머물고, 예상보다 긴 기간 목표치인 2%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데 따른 결정으로, 앞으로도 추가적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오늘 실제로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기로 결정했다"면서 "물가상승률이 중기목표치인 2%로 복귀하기에는 기준금리 수준이 한참 떨어져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내년 유로존 경제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러시아가 유로존에 가스 공급을 완전히 중단할 경우 역성장해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앞서 러시아 국영 가스 회사 가스프롬은 이미 지난 2일(현지시간) 독일 등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가스관인 노르트스트림-1가스관을 통한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안다영 기자 browneyes@kbs.co.kr
안다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