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국내기업 매출 1년 전보다 20%↑…수익성은 나빠져
입력 2022.09.14 (12:50)
수정 2022.09.14 (13: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2분기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4일) 공개한 2분기 기업경영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대상 법인 기업 2만 1,042개 중 조사가 진행된 3,148개 기업의 2분기 매출은 1년 전보다 20.5% 증가했습니다.
증가 폭은 직전 분기의 17%보다 커졌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오름폭이 확대됐습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24.3%→39.9%), 운송장비(2.1%→10.9%), 가구 및 기타(5.0%→26.0%), 건설(4.7%→17.5%) 등의 부문에서 매출 개선이 두드러졌습니다.
하지만 금속제품(33.2%→22.4%), 기계·전기전자(20.4%→17.5%), 운수업(41.8%→35.9%) 등은 매출 증가 폭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수익성의 경우 계절성을 고려해 1년 전과 비교해보니 다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1%로, 지난해 2분기의 7.4%보다 0.3%p 낮아졌습니다.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1.0%p 낮아진 7.2%를 나타냈습니다.
업종별로 제조업이 9.0%에서 8.6%로, 비제조업은 5.4%에서 5.1%로 모두 하락했습니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영업이익률은 소폭 하락했다"라면서 "전기·가스업의 경우 제조업의 가동률 증가로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유가가 오르면서 연료비와 전력 구입비가 증가해 수익성이 나빠졌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4일) 공개한 2분기 기업경영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대상 법인 기업 2만 1,042개 중 조사가 진행된 3,148개 기업의 2분기 매출은 1년 전보다 20.5% 증가했습니다.
증가 폭은 직전 분기의 17%보다 커졌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오름폭이 확대됐습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24.3%→39.9%), 운송장비(2.1%→10.9%), 가구 및 기타(5.0%→26.0%), 건설(4.7%→17.5%) 등의 부문에서 매출 개선이 두드러졌습니다.
하지만 금속제품(33.2%→22.4%), 기계·전기전자(20.4%→17.5%), 운수업(41.8%→35.9%) 등은 매출 증가 폭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수익성의 경우 계절성을 고려해 1년 전과 비교해보니 다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1%로, 지난해 2분기의 7.4%보다 0.3%p 낮아졌습니다.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1.0%p 낮아진 7.2%를 나타냈습니다.
업종별로 제조업이 9.0%에서 8.6%로, 비제조업은 5.4%에서 5.1%로 모두 하락했습니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영업이익률은 소폭 하락했다"라면서 "전기·가스업의 경우 제조업의 가동률 증가로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유가가 오르면서 연료비와 전력 구입비가 증가해 수익성이 나빠졌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분기 국내기업 매출 1년 전보다 20%↑…수익성은 나빠져
-
- 입력 2022-09-14 12:50:20
- 수정2022-09-14 13:40:50

올해 2분기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4일) 공개한 2분기 기업경영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대상 법인 기업 2만 1,042개 중 조사가 진행된 3,148개 기업의 2분기 매출은 1년 전보다 20.5% 증가했습니다.
증가 폭은 직전 분기의 17%보다 커졌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오름폭이 확대됐습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24.3%→39.9%), 운송장비(2.1%→10.9%), 가구 및 기타(5.0%→26.0%), 건설(4.7%→17.5%) 등의 부문에서 매출 개선이 두드러졌습니다.
하지만 금속제품(33.2%→22.4%), 기계·전기전자(20.4%→17.5%), 운수업(41.8%→35.9%) 등은 매출 증가 폭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수익성의 경우 계절성을 고려해 1년 전과 비교해보니 다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1%로, 지난해 2분기의 7.4%보다 0.3%p 낮아졌습니다.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1.0%p 낮아진 7.2%를 나타냈습니다.
업종별로 제조업이 9.0%에서 8.6%로, 비제조업은 5.4%에서 5.1%로 모두 하락했습니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영업이익률은 소폭 하락했다"라면서 "전기·가스업의 경우 제조업의 가동률 증가로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유가가 오르면서 연료비와 전력 구입비가 증가해 수익성이 나빠졌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4일) 공개한 2분기 기업경영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대상 법인 기업 2만 1,042개 중 조사가 진행된 3,148개 기업의 2분기 매출은 1년 전보다 20.5% 증가했습니다.
증가 폭은 직전 분기의 17%보다 커졌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오름폭이 확대됐습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24.3%→39.9%), 운송장비(2.1%→10.9%), 가구 및 기타(5.0%→26.0%), 건설(4.7%→17.5%) 등의 부문에서 매출 개선이 두드러졌습니다.
하지만 금속제품(33.2%→22.4%), 기계·전기전자(20.4%→17.5%), 운수업(41.8%→35.9%) 등은 매출 증가 폭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수익성의 경우 계절성을 고려해 1년 전과 비교해보니 다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1%로, 지난해 2분기의 7.4%보다 0.3%p 낮아졌습니다.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1.0%p 낮아진 7.2%를 나타냈습니다.
업종별로 제조업이 9.0%에서 8.6%로, 비제조업은 5.4%에서 5.1%로 모두 하락했습니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영업이익률은 소폭 하락했다"라면서 "전기·가스업의 경우 제조업의 가동률 증가로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유가가 오르면서 연료비와 전력 구입비가 증가해 수익성이 나빠졌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