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립·다세대 전세가율 80% 돌파…보증금 사고 1,089억 원

입력 2022.09.14 (16:01) 수정 2022.09.14 (18: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의 연립·다세대 주택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이 80%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실거래가 통계 정보에서 전국의 연립·다세대주택 최근 3개월 기준 연립·다세대주택 전세가율은 83.1%를 기록해, 아파트 전세가율인 74.7%를 웃돌았습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의 연립·다세대 주택의 경우 83.7%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서울 지역의 연립·다세대 주택 가운데 강동구의 전세가율이 88.7%로 가장 높았고, 광진구 86.5%, 강서구 86.4% 등을 기록했습니다.

읍면동 별로 살펴보면,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의 경우 전세가율이 111.6%를, 인천시 남동구 남촌동 108.9%, 서울 강서구 등촌동 105%를 기록해 전세가가 매매가를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세가율이 80%를 웃돌면 전세 보증금을 되돌려받기 어려운 '깡통전세' 위험이 큰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전세 계약 종료 후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세입자에게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대신 반환해주는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사고도 지난달(8월) 75개 자치단체에서 511건 발생했습니다.

보증금 사고 금액은 1,089억 원 규모로, 사고 건수와 금액 모두 90% 이상 수도권에 집중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서구가 60건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 미추홀구 53건, 경기도 부천시 51건 등이었습니다.

국토부는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별 전세가율과 보증사고 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임대인의 부도나 파산으로 해당 주택이 경매에 부쳐지는 경우 임차인이 돌려받을 수 있는 보증 금액을 따져볼 수 있도록 지역별 주택의 경매 건수와 낙찰가율도 공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국토부는 이번 정보를 기반으로 전세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의 자치단체에 시장 위험 요인을 점검할 수 있도록 통보하고, 전세 사기로 의심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입니다.

이번에 제공되는 통계 정보는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테크 누리집(www.rtech.or.kr)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매달 중순 정기적으로 갱신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립·다세대 전세가율 80% 돌파…보증금 사고 1,089억 원
    • 입력 2022-09-14 16:01:05
    • 수정2022-09-14 18:17:09
    경제
전국의 연립·다세대 주택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이 80%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실거래가 통계 정보에서 전국의 연립·다세대주택 최근 3개월 기준 연립·다세대주택 전세가율은 83.1%를 기록해, 아파트 전세가율인 74.7%를 웃돌았습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의 연립·다세대 주택의 경우 83.7%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서울 지역의 연립·다세대 주택 가운데 강동구의 전세가율이 88.7%로 가장 높았고, 광진구 86.5%, 강서구 86.4% 등을 기록했습니다.

읍면동 별로 살펴보면,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의 경우 전세가율이 111.6%를, 인천시 남동구 남촌동 108.9%, 서울 강서구 등촌동 105%를 기록해 전세가가 매매가를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세가율이 80%를 웃돌면 전세 보증금을 되돌려받기 어려운 '깡통전세' 위험이 큰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전세 계약 종료 후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세입자에게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대신 반환해주는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사고도 지난달(8월) 75개 자치단체에서 511건 발생했습니다.

보증금 사고 금액은 1,089억 원 규모로, 사고 건수와 금액 모두 90% 이상 수도권에 집중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서구가 60건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 미추홀구 53건, 경기도 부천시 51건 등이었습니다.

국토부는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별 전세가율과 보증사고 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임대인의 부도나 파산으로 해당 주택이 경매에 부쳐지는 경우 임차인이 돌려받을 수 있는 보증 금액을 따져볼 수 있도록 지역별 주택의 경매 건수와 낙찰가율도 공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국토부는 이번 정보를 기반으로 전세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의 자치단체에 시장 위험 요인을 점검할 수 있도록 통보하고, 전세 사기로 의심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입니다.

이번에 제공되는 통계 정보는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테크 누리집(www.rtech.or.kr)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매달 중순 정기적으로 갱신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