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中 전례없는 타이완 공격시 타이완 방어”
입력 2022.09.19 (08:48)
수정 2022.09.19 (1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타이완을 침공하면 미국이 군사적으로 직접 개입할 수 있다는 입장을 다시 밝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각 18일 방영된 미국 CBS의 심층 인터뷰 프로그램인 '60분'(60 Minutes)에서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 타이완을 방어할 거냐는 물음에 "사실, 전례 없는 공격이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와 달리 미군 부대, 병력이 중국의 침공 때 방어에 나서는 것이냐고 구체적으로 따져 묻는 말에도 "그렇다"고 답변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미군 직접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은 중국과 타이완에 대한 미국 정부의 오랜 정책이 바뀌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인지 주목됩니다.
또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하고 타이완과 단교할 때 타이완 관계법을 제정해 타이완에 자기방어 수단을 제공하고 유사시 개입할 근거를 뒀습니다.
이를 토대로 미국은 타이완에 군사 지원을 하되 중국의 타이완 침공 때 직접 개입 여부를 뚜렷하게 밝히지 않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습니다.
미국은 수십 년간 이 같은 정책을 앞세워 중국의 타이완 침공을 막고, 타이완도 중국을 상대로 독립을 선포하지 못하도록 하는 억지력을 유지해왔습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중국의 타이완 침공에 대한 군사개입 가능성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전략적 모호성 정책을 깨는 듯한 발언이 수차례 나왔으나 그때마다 미국 국무부, 백악관이 나서 변화가 전혀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각 18일 방영된 미국 CBS의 심층 인터뷰 프로그램인 '60분'(60 Minutes)에서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 타이완을 방어할 거냐는 물음에 "사실, 전례 없는 공격이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와 달리 미군 부대, 병력이 중국의 침공 때 방어에 나서는 것이냐고 구체적으로 따져 묻는 말에도 "그렇다"고 답변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미군 직접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은 중국과 타이완에 대한 미국 정부의 오랜 정책이 바뀌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인지 주목됩니다.
또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하고 타이완과 단교할 때 타이완 관계법을 제정해 타이완에 자기방어 수단을 제공하고 유사시 개입할 근거를 뒀습니다.
이를 토대로 미국은 타이완에 군사 지원을 하되 중국의 타이완 침공 때 직접 개입 여부를 뚜렷하게 밝히지 않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습니다.
미국은 수십 년간 이 같은 정책을 앞세워 중국의 타이완 침공을 막고, 타이완도 중국을 상대로 독립을 선포하지 못하도록 하는 억지력을 유지해왔습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중국의 타이완 침공에 대한 군사개입 가능성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전략적 모호성 정책을 깨는 듯한 발언이 수차례 나왔으나 그때마다 미국 국무부, 백악관이 나서 변화가 전혀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이든 “中 전례없는 타이완 공격시 타이완 방어”
-
- 입력 2022-09-19 08:48:57
- 수정2022-09-19 10:03:26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타이완을 침공하면 미국이 군사적으로 직접 개입할 수 있다는 입장을 다시 밝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각 18일 방영된 미국 CBS의 심층 인터뷰 프로그램인 '60분'(60 Minutes)에서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 타이완을 방어할 거냐는 물음에 "사실, 전례 없는 공격이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와 달리 미군 부대, 병력이 중국의 침공 때 방어에 나서는 것이냐고 구체적으로 따져 묻는 말에도 "그렇다"고 답변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미군 직접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은 중국과 타이완에 대한 미국 정부의 오랜 정책이 바뀌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인지 주목됩니다.
또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하고 타이완과 단교할 때 타이완 관계법을 제정해 타이완에 자기방어 수단을 제공하고 유사시 개입할 근거를 뒀습니다.
이를 토대로 미국은 타이완에 군사 지원을 하되 중국의 타이완 침공 때 직접 개입 여부를 뚜렷하게 밝히지 않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습니다.
미국은 수십 년간 이 같은 정책을 앞세워 중국의 타이완 침공을 막고, 타이완도 중국을 상대로 독립을 선포하지 못하도록 하는 억지력을 유지해왔습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중국의 타이완 침공에 대한 군사개입 가능성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전략적 모호성 정책을 깨는 듯한 발언이 수차례 나왔으나 그때마다 미국 국무부, 백악관이 나서 변화가 전혀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각 18일 방영된 미국 CBS의 심층 인터뷰 프로그램인 '60분'(60 Minutes)에서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 타이완을 방어할 거냐는 물음에 "사실, 전례 없는 공격이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와 달리 미군 부대, 병력이 중국의 침공 때 방어에 나서는 것이냐고 구체적으로 따져 묻는 말에도 "그렇다"고 답변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미군 직접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은 중국과 타이완에 대한 미국 정부의 오랜 정책이 바뀌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인지 주목됩니다.
또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하고 타이완과 단교할 때 타이완 관계법을 제정해 타이완에 자기방어 수단을 제공하고 유사시 개입할 근거를 뒀습니다.
이를 토대로 미국은 타이완에 군사 지원을 하되 중국의 타이완 침공 때 직접 개입 여부를 뚜렷하게 밝히지 않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습니다.
미국은 수십 년간 이 같은 정책을 앞세워 중국의 타이완 침공을 막고, 타이완도 중국을 상대로 독립을 선포하지 못하도록 하는 억지력을 유지해왔습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중국의 타이완 침공에 대한 군사개입 가능성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전략적 모호성 정책을 깨는 듯한 발언이 수차례 나왔으나 그때마다 미국 국무부, 백악관이 나서 변화가 전혀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정지주 기자 jjcheong@kbs.co.kr
정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