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년 완전자율주행·25년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입력 2022.09.19 (12:05)
수정 2022.09.19 (1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5년부터 운전자가 필요 없는 자율주행 버스가 운행되고, 27년까지 레벨4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안전 기준과 보험 제도 등이 정비됩니다.
또 ‘하늘을 나는 택시’ 등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도 25년부터 시작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오늘 발표했습니다.
국토부는 지난 6월부터 원희룡 장관과 하헌구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가 공동 위원장을 맡고 민간 업계 전문가 27인이 참여한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운영해, 자율차와 UAM, 디지털 물류 등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정부는 우선 올해 말까지 일본과 독일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를 상용화하고, 25년부터 자율주행 버스와 셔틀 운행, 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 상용화를 목표로 제도 개편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2년 안에 레벨4 자율차에 대한 안전 기준과 보험 제도 등을 마련하고, 오는 30년까지 단계적으로 전국 도로에 실시간 통신 인프라를 구축해 자율주행을 지원합니다.
또 25년부터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택배와 화물 운송 등에 드론 서비스가 활용되도록 각종 규제 개혁과 인프라 구축에 나섭니다.
국토부는 지난 8월 발의된 ‘UAM 법’ 제정을 통해 관련 시범 사업을 할 때 항공안전과 보안 등 기존 법규 적용을 최대한 배제하는 특례를 적용하고, 김포와 인천 등 주요 거점 공항에 UAM 이착륙장(버티포트)을 조기 구축할 계획입니다.
전국 당일 운송 서비스 실현을 위해 로봇과 드론 등을 활용한 무인 배송도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더해 국토부는 현재 농어촌 지역에서 시범 시행되고 있는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서비스’를 신도시까지 확대 운영할 방침입니다.
수용응답형 서비스는 실시간 수요를 반영해 대중교통을 운행하는 것으로, 이용자 수가 늘면 중간 정차지를 추가하거나 이용자가 많은 정차지에서 운행을 시작하는 등 탄력적 운영 방식을 이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토교통부 제공]
또 ‘하늘을 나는 택시’ 등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도 25년부터 시작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오늘 발표했습니다.
국토부는 지난 6월부터 원희룡 장관과 하헌구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가 공동 위원장을 맡고 민간 업계 전문가 27인이 참여한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운영해, 자율차와 UAM, 디지털 물류 등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정부는 우선 올해 말까지 일본과 독일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를 상용화하고, 25년부터 자율주행 버스와 셔틀 운행, 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 상용화를 목표로 제도 개편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2년 안에 레벨4 자율차에 대한 안전 기준과 보험 제도 등을 마련하고, 오는 30년까지 단계적으로 전국 도로에 실시간 통신 인프라를 구축해 자율주행을 지원합니다.
또 25년부터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택배와 화물 운송 등에 드론 서비스가 활용되도록 각종 규제 개혁과 인프라 구축에 나섭니다.
국토부는 지난 8월 발의된 ‘UAM 법’ 제정을 통해 관련 시범 사업을 할 때 항공안전과 보안 등 기존 법규 적용을 최대한 배제하는 특례를 적용하고, 김포와 인천 등 주요 거점 공항에 UAM 이착륙장(버티포트)을 조기 구축할 계획입니다.
전국 당일 운송 서비스 실현을 위해 로봇과 드론 등을 활용한 무인 배송도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더해 국토부는 현재 농어촌 지역에서 시범 시행되고 있는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서비스’를 신도시까지 확대 운영할 방침입니다.
수용응답형 서비스는 실시간 수요를 반영해 대중교통을 운행하는 것으로, 이용자 수가 늘면 중간 정차지를 추가하거나 이용자가 많은 정차지에서 운행을 시작하는 등 탄력적 운영 방식을 이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토교통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7년 완전자율주행·25년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
- 입력 2022-09-19 12:05:38
- 수정2022-09-19 12:07:08

25년부터 운전자가 필요 없는 자율주행 버스가 운행되고, 27년까지 레벨4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안전 기준과 보험 제도 등이 정비됩니다.
또 ‘하늘을 나는 택시’ 등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도 25년부터 시작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오늘 발표했습니다.
국토부는 지난 6월부터 원희룡 장관과 하헌구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가 공동 위원장을 맡고 민간 업계 전문가 27인이 참여한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운영해, 자율차와 UAM, 디지털 물류 등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정부는 우선 올해 말까지 일본과 독일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를 상용화하고, 25년부터 자율주행 버스와 셔틀 운행, 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 상용화를 목표로 제도 개편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2년 안에 레벨4 자율차에 대한 안전 기준과 보험 제도 등을 마련하고, 오는 30년까지 단계적으로 전국 도로에 실시간 통신 인프라를 구축해 자율주행을 지원합니다.
또 25년부터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택배와 화물 운송 등에 드론 서비스가 활용되도록 각종 규제 개혁과 인프라 구축에 나섭니다.
국토부는 지난 8월 발의된 ‘UAM 법’ 제정을 통해 관련 시범 사업을 할 때 항공안전과 보안 등 기존 법규 적용을 최대한 배제하는 특례를 적용하고, 김포와 인천 등 주요 거점 공항에 UAM 이착륙장(버티포트)을 조기 구축할 계획입니다.
전국 당일 운송 서비스 실현을 위해 로봇과 드론 등을 활용한 무인 배송도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더해 국토부는 현재 농어촌 지역에서 시범 시행되고 있는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서비스’를 신도시까지 확대 운영할 방침입니다.
수용응답형 서비스는 실시간 수요를 반영해 대중교통을 운행하는 것으로, 이용자 수가 늘면 중간 정차지를 추가하거나 이용자가 많은 정차지에서 운행을 시작하는 등 탄력적 운영 방식을 이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토교통부 제공]
또 ‘하늘을 나는 택시’ 등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도 25년부터 시작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오늘 발표했습니다.
국토부는 지난 6월부터 원희룡 장관과 하헌구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가 공동 위원장을 맡고 민간 업계 전문가 27인이 참여한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운영해, 자율차와 UAM, 디지털 물류 등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정부는 우선 올해 말까지 일본과 독일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를 상용화하고, 25년부터 자율주행 버스와 셔틀 운행, 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 상용화를 목표로 제도 개편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2년 안에 레벨4 자율차에 대한 안전 기준과 보험 제도 등을 마련하고, 오는 30년까지 단계적으로 전국 도로에 실시간 통신 인프라를 구축해 자율주행을 지원합니다.
또 25년부터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택배와 화물 운송 등에 드론 서비스가 활용되도록 각종 규제 개혁과 인프라 구축에 나섭니다.
국토부는 지난 8월 발의된 ‘UAM 법’ 제정을 통해 관련 시범 사업을 할 때 항공안전과 보안 등 기존 법규 적용을 최대한 배제하는 특례를 적용하고, 김포와 인천 등 주요 거점 공항에 UAM 이착륙장(버티포트)을 조기 구축할 계획입니다.
전국 당일 운송 서비스 실현을 위해 로봇과 드론 등을 활용한 무인 배송도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더해 국토부는 현재 농어촌 지역에서 시범 시행되고 있는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서비스’를 신도시까지 확대 운영할 방침입니다.
수용응답형 서비스는 실시간 수요를 반영해 대중교통을 운행하는 것으로, 이용자 수가 늘면 중간 정차지를 추가하거나 이용자가 많은 정차지에서 운행을 시작하는 등 탄력적 운영 방식을 이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토교통부 제공]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