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유상범, 이준석 제명 논의 문자 공개…유상범 “부적절, 윤리위원 사퇴”

입력 2022.09.19 (12:32) 수정 2022.09.19 (16: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정진석 비대위원장이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징계 문제를 놓고 윤리위원인 유상범 의원과 나눈 문자 메시지가 공개됐습니다.

오늘(19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장에서 언론에 포착된 정 비대위원장의 휴대전화를 보면 유 의원이 "필요 없으실 듯합니다"라고 보내자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ㅇㅋ,", "중징계 중 해당 행위 경고해야지요"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유 의원은 다시 "성 상납 부분 기소가 되면 함께 올려 제명해야죠."라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해당 문자 메시지가 공개되자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정진석 비대위원장과 유상범 의원이 윤리위원회의 징계 내용을 상의하고 지시를 내렸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전 대표는 오늘(19일) 본인의 SNS를 통해 "(유상범) 윤리위원과 비대위원장이 경찰 수사 결과를 예측하며 징계를 상의하고 지시를 내리는군요."라고 적었습니다.

이 전 대표는 해당 사진을 공유한 뒤 "무리한 짓을 많이 하니까 이렇게 자꾸 사진에 찍히는 겁니다"며 "한 100번 잘못 하면 한 번 정도 찍힐 텐데"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지난 7월 권성동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윤석열 대통령과 나눈 '체리 따봉' 문자까지 함께 거론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전 대표는 해당 기사를 SNS에 공개한 뒤 KBS와 나눈 대화에서 "문자를 주고 받은 시점이 어제다"며 "윤리위 도중인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정진석 "비대위원장 취임 전인 지난달 13일 상황"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해당 문자에 대한 언론 보도 이후 자신의 SNS에 "휴대전화기에 뜬 제 문자는 지난 8월 13일에 제가 유상범 의원에게 보낸 문자"라며 "윤리위가 열렸던 어제(18일) 주고 받은 문자는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정 비대위원장이 문자를 보냈던 지난달 13일은 이 전 대표가 공개 기자회견을 통해 '양두구육' 등의 표현으로 당을 향해 강도 높은 비판을 한 날입니다.

정 비대위원장은 "그 기자회견을 보고 하도 기가 막혀서 우리 당 윤리위원인 유상범 의원에게 문자를 보냈다"며 "6개월 당원권 정지라는 중징계를 맞은 전직 당 대표가 근신하기는커녕 당과 당원 동지를 향해 이런 무차별 막말과 폭언을 하는 건 경고해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비대위원장은 오늘 오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당시 저는 평의원이고 평당원이었으며 비대위를 맡기 훨씬 전"이라며 "당연히 해야 할 얘기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19일) 이준석 전 대표가 번개처럼 언론 보도를 보고 또 한마디를 올렸더라"며 "헛발질을 한 것이다. 사실관계를 좀 제대로 파악하고 페이스북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비판했습니다.

유상범 "윤리위원 개인 의견 밝힌 것은 부적절...윤리위원 사퇴"

윤리위원이면서 문자 메시지의 당사자인 유상범 의원은 오늘 (19일) 입장문을 통해 "윤리위원으로서 개인적 의견을 다른 의원에게 표한 것 자체는 부적절했다"면서 "본의 아니게 당원과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유 의원은 다만 "당시 국회부의장이던 정 의원이 8월 13일 이 전 대표의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 의견을 물어봐서 성 상납 의혹 문제가 기소된다면 그때는 제명할 수밖에 없지 않냐는 개인적 의견을 밝힌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또 "당시는 당 윤리위원회가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여부를 결정하기 전으로, 윤리위원회 전체의 의견과는 전혀 무방하며 사전에 상의 된 내용도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고 덧붙였습니다.

유 의원은 그러면서 당 중앙윤리위원회 위원직도 사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 의원은 SNS를 통해 "당 윤리위원회의 공정성, 객관성이 조금이라도 의심받아선 안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진석-유상범, 이준석 제명 논의 문자 공개…유상범 “부적절, 윤리위원 사퇴”
    • 입력 2022-09-19 12:32:37
    • 수정2022-09-19 16:59:19
    정치
국민의힘 정진석 비대위원장이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징계 문제를 놓고 윤리위원인 유상범 의원과 나눈 문자 메시지가 공개됐습니다.

오늘(19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장에서 언론에 포착된 정 비대위원장의 휴대전화를 보면 유 의원이 "필요 없으실 듯합니다"라고 보내자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ㅇㅋ,", "중징계 중 해당 행위 경고해야지요"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유 의원은 다시 "성 상납 부분 기소가 되면 함께 올려 제명해야죠."라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해당 문자 메시지가 공개되자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정진석 비대위원장과 유상범 의원이 윤리위원회의 징계 내용을 상의하고 지시를 내렸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전 대표는 오늘(19일) 본인의 SNS를 통해 "(유상범) 윤리위원과 비대위원장이 경찰 수사 결과를 예측하며 징계를 상의하고 지시를 내리는군요."라고 적었습니다.

이 전 대표는 해당 사진을 공유한 뒤 "무리한 짓을 많이 하니까 이렇게 자꾸 사진에 찍히는 겁니다"며 "한 100번 잘못 하면 한 번 정도 찍힐 텐데"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지난 7월 권성동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윤석열 대통령과 나눈 '체리 따봉' 문자까지 함께 거론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전 대표는 해당 기사를 SNS에 공개한 뒤 KBS와 나눈 대화에서 "문자를 주고 받은 시점이 어제다"며 "윤리위 도중인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정진석 "비대위원장 취임 전인 지난달 13일 상황"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해당 문자에 대한 언론 보도 이후 자신의 SNS에 "휴대전화기에 뜬 제 문자는 지난 8월 13일에 제가 유상범 의원에게 보낸 문자"라며 "윤리위가 열렸던 어제(18일) 주고 받은 문자는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정 비대위원장이 문자를 보냈던 지난달 13일은 이 전 대표가 공개 기자회견을 통해 '양두구육' 등의 표현으로 당을 향해 강도 높은 비판을 한 날입니다.

정 비대위원장은 "그 기자회견을 보고 하도 기가 막혀서 우리 당 윤리위원인 유상범 의원에게 문자를 보냈다"며 "6개월 당원권 정지라는 중징계를 맞은 전직 당 대표가 근신하기는커녕 당과 당원 동지를 향해 이런 무차별 막말과 폭언을 하는 건 경고해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비대위원장은 오늘 오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당시 저는 평의원이고 평당원이었으며 비대위를 맡기 훨씬 전"이라며 "당연히 해야 할 얘기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19일) 이준석 전 대표가 번개처럼 언론 보도를 보고 또 한마디를 올렸더라"며 "헛발질을 한 것이다. 사실관계를 좀 제대로 파악하고 페이스북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비판했습니다.

유상범 "윤리위원 개인 의견 밝힌 것은 부적절...윤리위원 사퇴"

윤리위원이면서 문자 메시지의 당사자인 유상범 의원은 오늘 (19일) 입장문을 통해 "윤리위원으로서 개인적 의견을 다른 의원에게 표한 것 자체는 부적절했다"면서 "본의 아니게 당원과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유 의원은 다만 "당시 국회부의장이던 정 의원이 8월 13일 이 전 대표의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 의견을 물어봐서 성 상납 의혹 문제가 기소된다면 그때는 제명할 수밖에 없지 않냐는 개인적 의견을 밝힌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또 "당시는 당 윤리위원회가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여부를 결정하기 전으로, 윤리위원회 전체의 의견과는 전혀 무방하며 사전에 상의 된 내용도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고 덧붙였습니다.

유 의원은 그러면서 당 중앙윤리위원회 위원직도 사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 의원은 SNS를 통해 "당 윤리위원회의 공정성, 객관성이 조금이라도 의심받아선 안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