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위험지구 지정해도 피해 되풀이 ‘유명무실’ 논란

입력 2022.09.27 (19:21) 수정 2022.09.27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달 초 태풍 '힌남노' 당시 피해를 입은 하천 상당수는 자연재해에 대비해 정비사업을 진행하고 있거나 이미 정비를 마친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돼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번에 피해가 또 발생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정혜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태풍 힌남노 당시 약 19km의 하천 전 구간이 침수와 범람 피해를 입은 포항 냉천, 이전부터 하천 범람 위험이 커 2013년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됐고 3년 뒤 정비사업이 완료됐습니다.

이곳은 포항시가 2013년 재해위험지구로 지정한 구간인데요.

정비사업을 진행하긴 했지만, 이 교량을 교체한 것이 전부입니다.

예산 부족에다 개발 제한에 묶여 재해 예방 사업이 일부 구간에서만 진행됐기 때문입니다.

2015년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된 포항 대화천도 태풍 힌남노 때 범람 피해를 입었습니다.

역시 일부 구간만 지정된데다 정비사업이 5년에 걸쳐 진행되다 보니 그사이 집중호우 때마다 피해가 반복된 겁니다.

[포항시 관계자/음성변조 : "재해위험개선지구로 아무리 공사를 했지만 시우량(시간당 강우량)이 너무 많다 보니까 전 구간이 다 그렇게 된 거잖아요. (일부 구간) 개선 공사와 상태랑은 별개의 건이 돼버린거죠."]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경북 지역 하천은 모두 30곳, 이 가운데 30%는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돼 정비 공사를 마쳤거나 진행 중입니다.

[손광익/영남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이상 기후를 고려한 강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설계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나. 자연재해 사업이 이뤄진 이후에도 정기적 점검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재해위험지구마다 한 해 투입되는 예산은 적게는 수십억 원에서 많게는 수백억 원, 예산은 예산대로 쏟으면서 피해는 좀처럼 줄지않는 악순환을 막기 위해선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해위험지구 지정해도 피해 되풀이 ‘유명무실’ 논란
    • 입력 2022-09-27 19:21:08
    • 수정2022-09-27 19:46:15
    뉴스 7
[앵커]

이달 초 태풍 '힌남노' 당시 피해를 입은 하천 상당수는 자연재해에 대비해 정비사업을 진행하고 있거나 이미 정비를 마친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돼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번에 피해가 또 발생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정혜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태풍 힌남노 당시 약 19km의 하천 전 구간이 침수와 범람 피해를 입은 포항 냉천, 이전부터 하천 범람 위험이 커 2013년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됐고 3년 뒤 정비사업이 완료됐습니다.

이곳은 포항시가 2013년 재해위험지구로 지정한 구간인데요.

정비사업을 진행하긴 했지만, 이 교량을 교체한 것이 전부입니다.

예산 부족에다 개발 제한에 묶여 재해 예방 사업이 일부 구간에서만 진행됐기 때문입니다.

2015년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된 포항 대화천도 태풍 힌남노 때 범람 피해를 입었습니다.

역시 일부 구간만 지정된데다 정비사업이 5년에 걸쳐 진행되다 보니 그사이 집중호우 때마다 피해가 반복된 겁니다.

[포항시 관계자/음성변조 : "재해위험개선지구로 아무리 공사를 했지만 시우량(시간당 강우량)이 너무 많다 보니까 전 구간이 다 그렇게 된 거잖아요. (일부 구간) 개선 공사와 상태랑은 별개의 건이 돼버린거죠."]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경북 지역 하천은 모두 30곳, 이 가운데 30%는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돼 정비 공사를 마쳤거나 진행 중입니다.

[손광익/영남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이상 기후를 고려한 강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설계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나. 자연재해 사업이 이뤄진 이후에도 정기적 점검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재해위험지구마다 한 해 투입되는 예산은 적게는 수십억 원에서 많게는 수백억 원, 예산은 예산대로 쏟으면서 피해는 좀처럼 줄지않는 악순환을 막기 위해선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