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년 만에 첫 암매장 확인…의미와 과제는?

입력 2022.09.27 (19:21) 수정 2022.09.27 (1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18 민주화운동 당시 민간인 희생자들이 암매장됐다는 의혹이 42년 만에 처음으로 사실로 드러났다는 소식, 지난 25일 KBS 단독보도로 전해드렸는데요.

관련 소식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보도국 이성각 기자 나왔습니다.

이 기자, 먼저 현재까지의 상황 짧게 정리해주시죠.

[기자]

광주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에서 신원을 알 수 없는 유골이 무더기로 나왔던 게 2019년 12월입니다.

분류작업을 거쳐 2백60기가 확인됐고, 이 가운데 유전자 검사를 위한 시료 채취가 가능한 160기를 5·18 조사위가 넘겨받았습니다.

조사위가 유골과 5·18 행방불명자 가족들의 DNA를 대조해 현재까지 행불자 1명과 일치한다는 결과를 받은 겁니다.

42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암매장의 진실, 그 실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겁니다.

[앵커]

검사기관에서 발견된 유골과 행불자 DNA 대조작업이 여전히 진행 중인 거죠.

[기자]

네, 앞서 말씀드린 160기 가운데 60기 정도에 대해서 작업이 마무리단계인데요.

신원이 확인된 1기 외에도 60기 가운데 2기에서도 5·18 행불자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검사기관에서 5·18 조사위에 통보한 상탭니다.

조만간 행불자와 일치하는지 여부, 그리고 신원도 특정돼서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또 남은 100기 정도의 유골에 대해서도 아직 분석작업이 남아 있기 때문에 5·18 행불자 여부도 추가로 확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앵커]

DNA가 일치하는 행불자의 신원, 그리고 행방, 가족들의 반응도 실은 궁금한데요,

어떤가요?

[기자]

조사위는 이 부분에 대해서 조심스러워 하는데요,

일단 확인된 행불자가 화순에 거주하던 5·18 당시 23살 청년이라는 정도는 부인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분의 가족들이 실종, 그리니까 행방불명 신고를 했을 때 신고한 내용을 중심으로 행적을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 중이고요.

조사위는 신고 당시 증언자들, 가족들과도 최근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조사위 차원의 공식 발표를 기다려야겠군요.

그런데 5·18 암매장이 처음으로 확인됐다는 게 갖는 의미, 좀 더 설명해주신다면?

[기자]

5·18 직후부터 있었던 암매장 의혹은 그동안 의혹으로 남아있었습니다.

5·18 발포명령과 함께 진상규명의 핵심 과제였는데, 2000년대 초반 광주시 주도의 발굴, 2017년 5·18 기념재단의 발굴조사가 있었지만, 성과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42년 만에 옛 교도소에서 행불자의 유골이 확인된 만큼, 암매장 의혹이 처음으로 사실로 확인된 겁니다.

무엇보다 암매장의 실체가 확인됐다는 것은 신군부가 주장해온 자위권, 즉 군인들이 자기 방어 차원에서 대응했다는 논리도 완전히 깰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정당한 방어였다면, 민간인 희생자들을 숨지게 하고, 시신을 몰래 매장하고, 여태 숨길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암매장 실체를 처음으로 확인했다는 의미도 중요하지만, 5·18 직후부터 신군부가 주장해온 것들이 거짓임을 증명하는 새로운, 그리고 명백한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앵커]

이런 이유 때문에 5·18 직후에는 암매장 시신을 몰래 수습하려 했고, 이후에도 그 흔적을 지우기 위해 신군부가 활동했던 거군요.

[기자]

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암매장이 갖는 의미와 사안의 심각성, 그리고 휘발성을 신군부도 모를 리 없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암매장에 대한 사후처리에 대해 집요할 정도였는데요.

일단 5·18 직후에 원대복귀한 공수부대원 일부가 일반 보병 복장을 하고 광주에 다시 내려왔다는 공수부대원의 증언이 있고요.

군 기록에서도 가매장 시신을 파악해 보고하라는 명령, 그리고 일부 부대에서 '부패가 심해서 그대로 묻었다' 이렇게 보고한 내용도 저희 취재팀이 4년 전에 보도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1985년까지 출동한 부대원들에게 암매장 위치를 파악하려는 조사가 이어졌던 걸로 5·18 조사위 조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신군부에서도 5·18 관련 가매장 또는 암매장 시신 처리가 완벽하지 않았다고 판단했거나,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집요하게 흔적을 지우려 했던 것 같습니다.

[앵커]

유골에 대한 대조작업 계속될 것이고, 암매장과 관련한 남은 과제들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기자]

옛 교도소에 발견된 160기에 대한 대조작업이 11월 말까지 이어질 예정이고요.

5·18 조사위에 대한 국정감사가 다음 달 7일 예정돼 있는데요,

확인된 1명과 유력한 2기의 신원이 확인되면 국감 이전에 공식 발표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인정 행불자가 78명, 그리고 불인정 행불 신고자가 150여 명인데, 불인정 행불자에 대해서도 전수조사 중이고, 이들 가족의 DNA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일단 추가 확인 여부를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확인된 행불자들의 5·18 당시 행적을 최대한 조사해내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어쩌면 이번 5·18 행불자의 첫 유골 확인은 5·18의 진실을 찾는 또 하나의 시작일 수도 있겠다, 이런 생각도 해봅니다.

[앵커]

이성각 기자, 말씀 잘 들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2년 만에 첫 암매장 확인…의미와 과제는?
    • 입력 2022-09-27 19:21:35
    • 수정2022-09-27 19:48:40
    뉴스7(광주)
[앵커]

5·18 민주화운동 당시 민간인 희생자들이 암매장됐다는 의혹이 42년 만에 처음으로 사실로 드러났다는 소식, 지난 25일 KBS 단독보도로 전해드렸는데요.

관련 소식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보도국 이성각 기자 나왔습니다.

이 기자, 먼저 현재까지의 상황 짧게 정리해주시죠.

[기자]

광주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에서 신원을 알 수 없는 유골이 무더기로 나왔던 게 2019년 12월입니다.

분류작업을 거쳐 2백60기가 확인됐고, 이 가운데 유전자 검사를 위한 시료 채취가 가능한 160기를 5·18 조사위가 넘겨받았습니다.

조사위가 유골과 5·18 행방불명자 가족들의 DNA를 대조해 현재까지 행불자 1명과 일치한다는 결과를 받은 겁니다.

42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암매장의 진실, 그 실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겁니다.

[앵커]

검사기관에서 발견된 유골과 행불자 DNA 대조작업이 여전히 진행 중인 거죠.

[기자]

네, 앞서 말씀드린 160기 가운데 60기 정도에 대해서 작업이 마무리단계인데요.

신원이 확인된 1기 외에도 60기 가운데 2기에서도 5·18 행불자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검사기관에서 5·18 조사위에 통보한 상탭니다.

조만간 행불자와 일치하는지 여부, 그리고 신원도 특정돼서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또 남은 100기 정도의 유골에 대해서도 아직 분석작업이 남아 있기 때문에 5·18 행불자 여부도 추가로 확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앵커]

DNA가 일치하는 행불자의 신원, 그리고 행방, 가족들의 반응도 실은 궁금한데요,

어떤가요?

[기자]

조사위는 이 부분에 대해서 조심스러워 하는데요,

일단 확인된 행불자가 화순에 거주하던 5·18 당시 23살 청년이라는 정도는 부인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분의 가족들이 실종, 그리니까 행방불명 신고를 했을 때 신고한 내용을 중심으로 행적을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 중이고요.

조사위는 신고 당시 증언자들, 가족들과도 최근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조사위 차원의 공식 발표를 기다려야겠군요.

그런데 5·18 암매장이 처음으로 확인됐다는 게 갖는 의미, 좀 더 설명해주신다면?

[기자]

5·18 직후부터 있었던 암매장 의혹은 그동안 의혹으로 남아있었습니다.

5·18 발포명령과 함께 진상규명의 핵심 과제였는데, 2000년대 초반 광주시 주도의 발굴, 2017년 5·18 기념재단의 발굴조사가 있었지만, 성과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42년 만에 옛 교도소에서 행불자의 유골이 확인된 만큼, 암매장 의혹이 처음으로 사실로 확인된 겁니다.

무엇보다 암매장의 실체가 확인됐다는 것은 신군부가 주장해온 자위권, 즉 군인들이 자기 방어 차원에서 대응했다는 논리도 완전히 깰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정당한 방어였다면, 민간인 희생자들을 숨지게 하고, 시신을 몰래 매장하고, 여태 숨길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암매장 실체를 처음으로 확인했다는 의미도 중요하지만, 5·18 직후부터 신군부가 주장해온 것들이 거짓임을 증명하는 새로운, 그리고 명백한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앵커]

이런 이유 때문에 5·18 직후에는 암매장 시신을 몰래 수습하려 했고, 이후에도 그 흔적을 지우기 위해 신군부가 활동했던 거군요.

[기자]

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암매장이 갖는 의미와 사안의 심각성, 그리고 휘발성을 신군부도 모를 리 없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암매장에 대한 사후처리에 대해 집요할 정도였는데요.

일단 5·18 직후에 원대복귀한 공수부대원 일부가 일반 보병 복장을 하고 광주에 다시 내려왔다는 공수부대원의 증언이 있고요.

군 기록에서도 가매장 시신을 파악해 보고하라는 명령, 그리고 일부 부대에서 '부패가 심해서 그대로 묻었다' 이렇게 보고한 내용도 저희 취재팀이 4년 전에 보도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1985년까지 출동한 부대원들에게 암매장 위치를 파악하려는 조사가 이어졌던 걸로 5·18 조사위 조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신군부에서도 5·18 관련 가매장 또는 암매장 시신 처리가 완벽하지 않았다고 판단했거나,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집요하게 흔적을 지우려 했던 것 같습니다.

[앵커]

유골에 대한 대조작업 계속될 것이고, 암매장과 관련한 남은 과제들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기자]

옛 교도소에 발견된 160기에 대한 대조작업이 11월 말까지 이어질 예정이고요.

5·18 조사위에 대한 국정감사가 다음 달 7일 예정돼 있는데요,

확인된 1명과 유력한 2기의 신원이 확인되면 국감 이전에 공식 발표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인정 행불자가 78명, 그리고 불인정 행불 신고자가 150여 명인데, 불인정 행불자에 대해서도 전수조사 중이고, 이들 가족의 DNA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일단 추가 확인 여부를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확인된 행불자들의 5·18 당시 행적을 최대한 조사해내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어쩌면 이번 5·18 행불자의 첫 유골 확인은 5·18의 진실을 찾는 또 하나의 시작일 수도 있겠다, 이런 생각도 해봅니다.

[앵커]

이성각 기자, 말씀 잘 들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