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 우리는?…“격차 따라잡아야”

입력 2022.10.04 (06:39) 수정 2022.10.04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우리의 양자컴퓨터 기술은 어디까지 와 있을까요?

이미 앞서있는 미국 등에 비하면 격차가 상당한 수준이긴 합니다만 이를 따라잡기 위한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정새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내 연구진이 개발하고 있는 양자컴퓨터입니다.

구글이 개발 중인 것과 달리 다이아몬드 안에 인공 원자를 가두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초저온이 아닌 상온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한상욱/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자정보연구단장 : "일반 컴퓨터처럼, 이렇게 큰 장치가 아니라 책상 위에 놓고 쓰는 양자컴퓨터 이런 거를 만들어 줄 수 있지 않을까 이런 가능성을 보고..."]

기존 컴퓨터는 순서대로만 계산을 할 수 있는반면 양자컴퓨터는 이론적으로 동시에 수많은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일부 영역에선 슈퍼컴퓨터로도 수백 년이 걸릴 계산을 불과 몇 초 만에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양자컴퓨터 개발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건 단연 미국.

그 중에서도 IBM과 구글 같은 세계적인 IT 기업들입니다.

반면 우리는 올해 처음으로 정부 차원에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4년 내 실용 가능한 수준의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게 목표입니다.

후발주자인만큼 기술 수준이 아직은 최선도국의 70~80% 선에 그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조 단위 예산을 투입하는 데 비해 국내 예산은 천억 원이 조금 넘고 관련 인력도 태부족입니다.

[안재욱/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 "미국, 중국, 유럽의 공통점은 뭐냐면 이쪽(양자컴퓨터)의 인력이 아주 풍부합니다. 국내에서 일정 정도의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한 사람들을, 그 인력을 계속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해야 될 것 같아요."]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려면 반도체나 통신 등 기존 기술과의 접목이 필수적으로 이 분야에는 우리가 강점이 있습니다.

정부도 양자 암호통신과 양자인터넷 등 우리가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단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새배 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양자컴퓨터 우리는?…“격차 따라잡아야”
    • 입력 2022-10-04 06:39:06
    • 수정2022-10-04 07:55:10
    뉴스광장 1부
[앵커]

그렇다면 우리의 양자컴퓨터 기술은 어디까지 와 있을까요?

이미 앞서있는 미국 등에 비하면 격차가 상당한 수준이긴 합니다만 이를 따라잡기 위한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정새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내 연구진이 개발하고 있는 양자컴퓨터입니다.

구글이 개발 중인 것과 달리 다이아몬드 안에 인공 원자를 가두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초저온이 아닌 상온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한상욱/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자정보연구단장 : "일반 컴퓨터처럼, 이렇게 큰 장치가 아니라 책상 위에 놓고 쓰는 양자컴퓨터 이런 거를 만들어 줄 수 있지 않을까 이런 가능성을 보고..."]

기존 컴퓨터는 순서대로만 계산을 할 수 있는반면 양자컴퓨터는 이론적으로 동시에 수많은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일부 영역에선 슈퍼컴퓨터로도 수백 년이 걸릴 계산을 불과 몇 초 만에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양자컴퓨터 개발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건 단연 미국.

그 중에서도 IBM과 구글 같은 세계적인 IT 기업들입니다.

반면 우리는 올해 처음으로 정부 차원에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4년 내 실용 가능한 수준의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게 목표입니다.

후발주자인만큼 기술 수준이 아직은 최선도국의 70~80% 선에 그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조 단위 예산을 투입하는 데 비해 국내 예산은 천억 원이 조금 넘고 관련 인력도 태부족입니다.

[안재욱/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 "미국, 중국, 유럽의 공통점은 뭐냐면 이쪽(양자컴퓨터)의 인력이 아주 풍부합니다. 국내에서 일정 정도의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한 사람들을, 그 인력을 계속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해야 될 것 같아요."]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려면 반도체나 통신 등 기존 기술과의 접목이 필수적으로 이 분야에는 우리가 강점이 있습니다.

정부도 양자 암호통신과 양자인터넷 등 우리가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단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새배 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