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하러 갔다가 맞고 와”…구급대원 폭행 年 200건

입력 2022.10.04 (09:45) 수정 2022.10.04 (11: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취객을 구조하다 머리를 맞아 뇌출혈 증세 끝에 숨진 고 강연희 소방관.

4년 전 익산에서 벌어진 이 사건 이후, 구급대원을 지키자며 법안과 대책이 쏟아졌지만 구급 현장에서 비슷한 사건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오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구급대원을 때렸다 붙잡힌 사람은 해마다 2백 명 안팎이나 됩니다.

10명 가운데 9명은 술에 취한 상태였는데, 처벌은 여전히 약합니다.

최근 3년 동안 있었던 구급대원 폭행 피해 사건을 분석해보니, 605명이 붙잡혔지만 구속된 건 14명에 불과합니다.

대부분 벌금을 내는 데 그치고, '혐의 없음',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난 사례는 181건이나 됩니다.

폭행 피해를 막겠다며 만든 장비도 제대로 보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구급차 안에서 벌어진 폭력 상황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입니다.

고 강연희 소방관이 당한 비극을 계기로 도입됐는데, 버튼을 누르면 경고방송과 함께 경찰이 출동하게 됩니다.

["구급대원에게 폭언 및 폭행 시 체포되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까지 전국 모든 구급차에 다는 게 목표였지만 설치율은 53%에 그치고 있습니다.

전북의 경우 더 열악합니다.

전라북도 구급차 103대 가운데 자동 신고 장치가 설치된 건 26대.

강원과 전남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은 설치율입니다.

[이호동/소방사/전주완산소방서 서부119안전센터 : "구급대원도 사람입니다. 그러니까 저희도 당연히 보호받고 싶고. 저희도 안전해야 환자를 더 안전하게 돌볼 수 있기 때문에…."]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구급대원, 거꾸로 이들을 지킬 방법은 지금보다 더 큰 고민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하러 갔다가 맞고 와”…구급대원 폭행 年 200건
    • 입력 2022-10-04 09:45:27
    • 수정2022-10-04 11:12:35
    930뉴스(전주)
[앵커]

취객을 구조하다 머리를 맞아 뇌출혈 증세 끝에 숨진 고 강연희 소방관.

4년 전 익산에서 벌어진 이 사건 이후, 구급대원을 지키자며 법안과 대책이 쏟아졌지만 구급 현장에서 비슷한 사건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오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구급대원을 때렸다 붙잡힌 사람은 해마다 2백 명 안팎이나 됩니다.

10명 가운데 9명은 술에 취한 상태였는데, 처벌은 여전히 약합니다.

최근 3년 동안 있었던 구급대원 폭행 피해 사건을 분석해보니, 605명이 붙잡혔지만 구속된 건 14명에 불과합니다.

대부분 벌금을 내는 데 그치고, '혐의 없음',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난 사례는 181건이나 됩니다.

폭행 피해를 막겠다며 만든 장비도 제대로 보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구급차 안에서 벌어진 폭력 상황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입니다.

고 강연희 소방관이 당한 비극을 계기로 도입됐는데, 버튼을 누르면 경고방송과 함께 경찰이 출동하게 됩니다.

["구급대원에게 폭언 및 폭행 시 체포되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까지 전국 모든 구급차에 다는 게 목표였지만 설치율은 53%에 그치고 있습니다.

전북의 경우 더 열악합니다.

전라북도 구급차 103대 가운데 자동 신고 장치가 설치된 건 26대.

강원과 전남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은 설치율입니다.

[이호동/소방사/전주완산소방서 서부119안전센터 : "구급대원도 사람입니다. 그러니까 저희도 당연히 보호받고 싶고. 저희도 안전해야 환자를 더 안전하게 돌볼 수 있기 때문에…."]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구급대원, 거꾸로 이들을 지킬 방법은 지금보다 더 큰 고민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