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위기 유럽, 뒷걸음질 치는 기후변화 대응

입력 2022.10.04 (19:29) 수정 2022.10.04 (1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에너지 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 각국이 이를 타개하기 위해 잇따라 화석 연료 확보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여온 선진국들의 탄소 중립 정책에 빨간 불이 켜진 건데요.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거셉니다.

파리 유원중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세계 기후변화 총회 의장국이었던 영국.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빠른 대응을 전 세계에 촉구했습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전 총리/2021.11.13 : "세월이 지나 역사가들은 이번 기후변화 총회를 인류가 기후변화에 실질적으로 대응한 순간으로 평가할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 취임한 트러스 정부는 에너지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며 수압 파쇄법을 이용한 셰일가스 추출을 허용했습니다.

북해의 원유와 가스 생산을 늘리기 위해 신규 시추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리스-모그/영국 에너지 장관 : "자국 연료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나라에서 추출한 연료를 큰 비용으로 운송해오는 것보다 환경친화적입니다."]

수압파쇄법을 이용한 셰일가스 추출은 영국 랭커셔주에서 여러 차례 지진을 발생시켜 2019년에 금지됐었습니다.

지역 주민들은 즉각 반발합니다.

영국 셰일가스의 채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지역 주민/랭커셔주 : "셰일가스 추출은 지반을 약화 시키고 채산성이 떨어져 실패했던 겁니다. 지역 주민들이 받아들이지도 않았고요."]

프랑스는 폐쇄했던 석탄 발전소 재가동을 준비 중이고 독일 역시 올해 중단하려고 했던 원전 가동 시한을 일시적으로 미뤘습니다.

각국 정상들은 화석연료를 확보하기 위해 중동 국가를 잇달아 방문하는 등 자원외교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몇 년간 계속된 기상이변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유럽.

그러나 우크라이나전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는 속도를 내고 있던 각국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에 급제동을 걸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유원중입니다.

촬영기자:김대원/영상편집:고응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너지 위기 유럽, 뒷걸음질 치는 기후변화 대응
    • 입력 2022-10-04 19:29:53
    • 수정2022-10-04 19:48:56
    뉴스 7
[앵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에너지 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 각국이 이를 타개하기 위해 잇따라 화석 연료 확보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여온 선진국들의 탄소 중립 정책에 빨간 불이 켜진 건데요.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거셉니다.

파리 유원중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세계 기후변화 총회 의장국이었던 영국.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빠른 대응을 전 세계에 촉구했습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전 총리/2021.11.13 : "세월이 지나 역사가들은 이번 기후변화 총회를 인류가 기후변화에 실질적으로 대응한 순간으로 평가할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 취임한 트러스 정부는 에너지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며 수압 파쇄법을 이용한 셰일가스 추출을 허용했습니다.

북해의 원유와 가스 생산을 늘리기 위해 신규 시추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리스-모그/영국 에너지 장관 : "자국 연료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나라에서 추출한 연료를 큰 비용으로 운송해오는 것보다 환경친화적입니다."]

수압파쇄법을 이용한 셰일가스 추출은 영국 랭커셔주에서 여러 차례 지진을 발생시켜 2019년에 금지됐었습니다.

지역 주민들은 즉각 반발합니다.

영국 셰일가스의 채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지역 주민/랭커셔주 : "셰일가스 추출은 지반을 약화 시키고 채산성이 떨어져 실패했던 겁니다. 지역 주민들이 받아들이지도 않았고요."]

프랑스는 폐쇄했던 석탄 발전소 재가동을 준비 중이고 독일 역시 올해 중단하려고 했던 원전 가동 시한을 일시적으로 미뤘습니다.

각국 정상들은 화석연료를 확보하기 위해 중동 국가를 잇달아 방문하는 등 자원외교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몇 년간 계속된 기상이변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유럽.

그러나 우크라이나전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는 속도를 내고 있던 각국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에 급제동을 걸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유원중입니다.

촬영기자:김대원/영상편집:고응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