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복원 과정서 문화전당 ‘미디어 월’ 철거 논란
입력 2022.10.11 (20:02)
수정 2022.10.11 (2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18 사적지인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이 이르면 내년부터 첫 삽을 뜰 예정인데요.
이곳에 자리 잡은 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 구조물 '미디어 월'의 존치 문제를 두고 찬반이 갈렸습니다.
시민 단체는 5·18 사적지를 가린다며 철거를, 반대편에서는 전당의 상징물이라며 존치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김정대 기자입니다.
[리포트]
5·18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 자리에 들어선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지하에 자리 잡은 전당과 지상의 5·18민주광장 사이엔 전시 구조물, '미디어 월'이 있습니다.
가로 75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미디어 월은 아시아문화전당의 각종 콘텐츠를 알리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미디어 월은 내년에 철거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옛 전남도청 복원 과정에서 경찰국 건물 등 5·18 사적을 가린다는 지적에 철거 결정이 내려진 겁니다.
[홍성칠/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 범시도민대책위 : "옛 경찰국 전후, 또 경찰국 밖에서는 80년 5월 열흘 동안 있었던 항쟁의 기억과 기록이 수많이 숨겨져 있고 가려져 있습니다. 그게 지금 다시 발견되고 있고..."]
최근, 미디어 월을 그대로 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2017년 설치 당시 26억 원의 적지 않은 비용이 든 데다, 5·18을 비롯한 각종 콘텐츠를 알리는 창으로써 충분히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최협/전남대학교 명예교수 : "5·18에 관한 그런 콘텐츠도 만들어서 잘 보여주고 있고. 그 외에 아시아문화전당에서 무슨 일을 하는 지를 국민하고 소통하는데..."]
미디어 월의 위치만 옮기는 방법도 제시됐지만, 전당 측은 곤혹스럽다는 입장입니다.
수년째 주 출입구 기능을 해온 미디어 월을 옮기게 되면 운영상 안정성이 떨어지고, 거대한 크기의 미디어 월을 설치할 만한 공간도 없다는 겁니다.
5·18 사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냐, 소통의 창이냐.
미디어 월의 존치 여부를 공론화를 통해 보다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KBS 뉴스 김정대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5·18 사적지인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이 이르면 내년부터 첫 삽을 뜰 예정인데요.
이곳에 자리 잡은 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 구조물 '미디어 월'의 존치 문제를 두고 찬반이 갈렸습니다.
시민 단체는 5·18 사적지를 가린다며 철거를, 반대편에서는 전당의 상징물이라며 존치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김정대 기자입니다.
[리포트]
5·18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 자리에 들어선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지하에 자리 잡은 전당과 지상의 5·18민주광장 사이엔 전시 구조물, '미디어 월'이 있습니다.
가로 75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미디어 월은 아시아문화전당의 각종 콘텐츠를 알리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미디어 월은 내년에 철거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옛 전남도청 복원 과정에서 경찰국 건물 등 5·18 사적을 가린다는 지적에 철거 결정이 내려진 겁니다.
[홍성칠/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 범시도민대책위 : "옛 경찰국 전후, 또 경찰국 밖에서는 80년 5월 열흘 동안 있었던 항쟁의 기억과 기록이 수많이 숨겨져 있고 가려져 있습니다. 그게 지금 다시 발견되고 있고..."]
최근, 미디어 월을 그대로 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2017년 설치 당시 26억 원의 적지 않은 비용이 든 데다, 5·18을 비롯한 각종 콘텐츠를 알리는 창으로써 충분히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최협/전남대학교 명예교수 : "5·18에 관한 그런 콘텐츠도 만들어서 잘 보여주고 있고. 그 외에 아시아문화전당에서 무슨 일을 하는 지를 국민하고 소통하는데..."]
미디어 월의 위치만 옮기는 방법도 제시됐지만, 전당 측은 곤혹스럽다는 입장입니다.
수년째 주 출입구 기능을 해온 미디어 월을 옮기게 되면 운영상 안정성이 떨어지고, 거대한 크기의 미디어 월을 설치할 만한 공간도 없다는 겁니다.
5·18 사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냐, 소통의 창이냐.
미디어 월의 존치 여부를 공론화를 통해 보다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KBS 뉴스 김정대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청복원 과정서 문화전당 ‘미디어 월’ 철거 논란
-
- 입력 2022-10-11 20:02:03
- 수정2022-10-11 20:34:16
[앵커]
5·18 사적지인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이 이르면 내년부터 첫 삽을 뜰 예정인데요.
이곳에 자리 잡은 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 구조물 '미디어 월'의 존치 문제를 두고 찬반이 갈렸습니다.
시민 단체는 5·18 사적지를 가린다며 철거를, 반대편에서는 전당의 상징물이라며 존치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김정대 기자입니다.
[리포트]
5·18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 자리에 들어선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지하에 자리 잡은 전당과 지상의 5·18민주광장 사이엔 전시 구조물, '미디어 월'이 있습니다.
가로 75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미디어 월은 아시아문화전당의 각종 콘텐츠를 알리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미디어 월은 내년에 철거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옛 전남도청 복원 과정에서 경찰국 건물 등 5·18 사적을 가린다는 지적에 철거 결정이 내려진 겁니다.
[홍성칠/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 범시도민대책위 : "옛 경찰국 전후, 또 경찰국 밖에서는 80년 5월 열흘 동안 있었던 항쟁의 기억과 기록이 수많이 숨겨져 있고 가려져 있습니다. 그게 지금 다시 발견되고 있고..."]
최근, 미디어 월을 그대로 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2017년 설치 당시 26억 원의 적지 않은 비용이 든 데다, 5·18을 비롯한 각종 콘텐츠를 알리는 창으로써 충분히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최협/전남대학교 명예교수 : "5·18에 관한 그런 콘텐츠도 만들어서 잘 보여주고 있고. 그 외에 아시아문화전당에서 무슨 일을 하는 지를 국민하고 소통하는데..."]
미디어 월의 위치만 옮기는 방법도 제시됐지만, 전당 측은 곤혹스럽다는 입장입니다.
수년째 주 출입구 기능을 해온 미디어 월을 옮기게 되면 운영상 안정성이 떨어지고, 거대한 크기의 미디어 월을 설치할 만한 공간도 없다는 겁니다.
5·18 사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냐, 소통의 창이냐.
미디어 월의 존치 여부를 공론화를 통해 보다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KBS 뉴스 김정대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5·18 사적지인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이 이르면 내년부터 첫 삽을 뜰 예정인데요.
이곳에 자리 잡은 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 구조물 '미디어 월'의 존치 문제를 두고 찬반이 갈렸습니다.
시민 단체는 5·18 사적지를 가린다며 철거를, 반대편에서는 전당의 상징물이라며 존치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김정대 기자입니다.
[리포트]
5·18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 자리에 들어선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지하에 자리 잡은 전당과 지상의 5·18민주광장 사이엔 전시 구조물, '미디어 월'이 있습니다.
가로 75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미디어 월은 아시아문화전당의 각종 콘텐츠를 알리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미디어 월은 내년에 철거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옛 전남도청 복원 과정에서 경찰국 건물 등 5·18 사적을 가린다는 지적에 철거 결정이 내려진 겁니다.
[홍성칠/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 범시도민대책위 : "옛 경찰국 전후, 또 경찰국 밖에서는 80년 5월 열흘 동안 있었던 항쟁의 기억과 기록이 수많이 숨겨져 있고 가려져 있습니다. 그게 지금 다시 발견되고 있고..."]
최근, 미디어 월을 그대로 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2017년 설치 당시 26억 원의 적지 않은 비용이 든 데다, 5·18을 비롯한 각종 콘텐츠를 알리는 창으로써 충분히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최협/전남대학교 명예교수 : "5·18에 관한 그런 콘텐츠도 만들어서 잘 보여주고 있고. 그 외에 아시아문화전당에서 무슨 일을 하는 지를 국민하고 소통하는데..."]
미디어 월의 위치만 옮기는 방법도 제시됐지만, 전당 측은 곤혹스럽다는 입장입니다.
수년째 주 출입구 기능을 해온 미디어 월을 옮기게 되면 운영상 안정성이 떨어지고, 거대한 크기의 미디어 월을 설치할 만한 공간도 없다는 겁니다.
5·18 사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냐, 소통의 창이냐.
미디어 월의 존치 여부를 공론화를 통해 보다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KBS 뉴스 김정대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