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보행자 사고 어디가 위험한가 봤더니
입력 2022.10.20 (09:51)
수정 2022.10.20 (1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전국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부산에서 어느 지역이 노인 보행자의 교통 사고가 가장 우려되는 곳일까요.
행정안전부 등이 조사를 해봤더니 부산의 위험지역이 전국적으로도 많은 편에 속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건널목에서 보행자와 차, 오토바이가 서로 뒤엉켜 지나갑니다.
도로를 건너는 노인들은 아찔했던 경험이 한두 번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김광석/부산시 다대동 : "건널목에서도 획획 지나가고 그러니까 불안하죠. 속력도 너무 내고요. 과속을 너무 하니까."]
행정안전부와 도로교통공단이 지난해 전국의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30곳을 선정해봤더니 6곳이 부산 지역입니다.
3위인 중구 충무교차로, 4위 동구 부산진시장 앞 교차로, 7위 남구 대연사거리 부근 등 10위권 안에 벌써 3곳이 포함됐습니다.
다발지역을 제외한 지역 중 교통사고 빈도와 심각도를 나타내는 분석방식인 '대물피해환산법'을 적용해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고위험지역도 조사했습니다.
전국의 도시 지역 중 부산의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고위험 지역은 부산진구 부전동, 사상구 괘법동, 금정구 부곡동으로 나타났습니다.
위험도가 높은 10곳 중 3곳이 포함된 건데,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특히 이곳 부전동 서면교차로 부근은 2020년 조사에서도 전국에서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던 지역으로 조사되는 등 관련 사고의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최재원/도로교통공단 교수 :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어린이를 사상하게 하면 12대 중대과실 혹은 특가법에 저촉되는데 노인보호구역은 전혀 그런 게 없어요. 그래서 시설과 법이 하루 빨리 정비가 되고 개선이 돼야…."]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보행자 사고 사망자 중 노인의 비율은 59%.
인구 10만 명당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OECD 평균의 두 배가 넘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최유리
전국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부산에서 어느 지역이 노인 보행자의 교통 사고가 가장 우려되는 곳일까요.
행정안전부 등이 조사를 해봤더니 부산의 위험지역이 전국적으로도 많은 편에 속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건널목에서 보행자와 차, 오토바이가 서로 뒤엉켜 지나갑니다.
도로를 건너는 노인들은 아찔했던 경험이 한두 번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김광석/부산시 다대동 : "건널목에서도 획획 지나가고 그러니까 불안하죠. 속력도 너무 내고요. 과속을 너무 하니까."]
행정안전부와 도로교통공단이 지난해 전국의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30곳을 선정해봤더니 6곳이 부산 지역입니다.
3위인 중구 충무교차로, 4위 동구 부산진시장 앞 교차로, 7위 남구 대연사거리 부근 등 10위권 안에 벌써 3곳이 포함됐습니다.
다발지역을 제외한 지역 중 교통사고 빈도와 심각도를 나타내는 분석방식인 '대물피해환산법'을 적용해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고위험지역도 조사했습니다.
전국의 도시 지역 중 부산의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고위험 지역은 부산진구 부전동, 사상구 괘법동, 금정구 부곡동으로 나타났습니다.
위험도가 높은 10곳 중 3곳이 포함된 건데,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특히 이곳 부전동 서면교차로 부근은 2020년 조사에서도 전국에서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던 지역으로 조사되는 등 관련 사고의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최재원/도로교통공단 교수 :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어린이를 사상하게 하면 12대 중대과실 혹은 특가법에 저촉되는데 노인보호구역은 전혀 그런 게 없어요. 그래서 시설과 법이 하루 빨리 정비가 되고 개선이 돼야…."]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보행자 사고 사망자 중 노인의 비율은 59%.
인구 10만 명당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OECD 평균의 두 배가 넘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최유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인 보행자 사고 어디가 위험한가 봤더니
-
- 입력 2022-10-20 09:51:44
- 수정2022-10-20 10:34:09

[앵커]
전국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부산에서 어느 지역이 노인 보행자의 교통 사고가 가장 우려되는 곳일까요.
행정안전부 등이 조사를 해봤더니 부산의 위험지역이 전국적으로도 많은 편에 속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건널목에서 보행자와 차, 오토바이가 서로 뒤엉켜 지나갑니다.
도로를 건너는 노인들은 아찔했던 경험이 한두 번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김광석/부산시 다대동 : "건널목에서도 획획 지나가고 그러니까 불안하죠. 속력도 너무 내고요. 과속을 너무 하니까."]
행정안전부와 도로교통공단이 지난해 전국의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30곳을 선정해봤더니 6곳이 부산 지역입니다.
3위인 중구 충무교차로, 4위 동구 부산진시장 앞 교차로, 7위 남구 대연사거리 부근 등 10위권 안에 벌써 3곳이 포함됐습니다.
다발지역을 제외한 지역 중 교통사고 빈도와 심각도를 나타내는 분석방식인 '대물피해환산법'을 적용해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고위험지역도 조사했습니다.
전국의 도시 지역 중 부산의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고위험 지역은 부산진구 부전동, 사상구 괘법동, 금정구 부곡동으로 나타났습니다.
위험도가 높은 10곳 중 3곳이 포함된 건데,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특히 이곳 부전동 서면교차로 부근은 2020년 조사에서도 전국에서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던 지역으로 조사되는 등 관련 사고의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최재원/도로교통공단 교수 :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어린이를 사상하게 하면 12대 중대과실 혹은 특가법에 저촉되는데 노인보호구역은 전혀 그런 게 없어요. 그래서 시설과 법이 하루 빨리 정비가 되고 개선이 돼야…."]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보행자 사고 사망자 중 노인의 비율은 59%.
인구 10만 명당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OECD 평균의 두 배가 넘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최유리
전국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부산에서 어느 지역이 노인 보행자의 교통 사고가 가장 우려되는 곳일까요.
행정안전부 등이 조사를 해봤더니 부산의 위험지역이 전국적으로도 많은 편에 속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건널목에서 보행자와 차, 오토바이가 서로 뒤엉켜 지나갑니다.
도로를 건너는 노인들은 아찔했던 경험이 한두 번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김광석/부산시 다대동 : "건널목에서도 획획 지나가고 그러니까 불안하죠. 속력도 너무 내고요. 과속을 너무 하니까."]
행정안전부와 도로교통공단이 지난해 전국의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30곳을 선정해봤더니 6곳이 부산 지역입니다.
3위인 중구 충무교차로, 4위 동구 부산진시장 앞 교차로, 7위 남구 대연사거리 부근 등 10위권 안에 벌써 3곳이 포함됐습니다.
다발지역을 제외한 지역 중 교통사고 빈도와 심각도를 나타내는 분석방식인 '대물피해환산법'을 적용해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고위험지역도 조사했습니다.
전국의 도시 지역 중 부산의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고위험 지역은 부산진구 부전동, 사상구 괘법동, 금정구 부곡동으로 나타났습니다.
위험도가 높은 10곳 중 3곳이 포함된 건데,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특히 이곳 부전동 서면교차로 부근은 2020년 조사에서도 전국에서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던 지역으로 조사되는 등 관련 사고의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최재원/도로교통공단 교수 :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어린이를 사상하게 하면 12대 중대과실 혹은 특가법에 저촉되는데 노인보호구역은 전혀 그런 게 없어요. 그래서 시설과 법이 하루 빨리 정비가 되고 개선이 돼야…."]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보행자 사고 사망자 중 노인의 비율은 59%.
인구 10만 명당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OECD 평균의 두 배가 넘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최유리
-
-
정민규 기자 hi@kbs.co.kr
정민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