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성 정체성에 따른 박해…난민 인정 사유”
입력 2022.10.20 (17:29)
수정 2022.10.20 (17: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랜스젠더라는 이유로 고국에서 박해를 받는 것도 난민 인정 사유가 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서울고법 행정1-2부(부장판사 김종호 이승한 심준보)는 오늘(20일) 말레이시아인 A씨가 서울출입국·외국인청장을 상대로 낸 난민불인정 취소 소송에서 1심과 달리 원고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는 성 정체성을 드러냈다는 이유로 체포돼 처벌받았다”며 “이는 인간의 본질적 존엄성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인 만큼 난민협약에서 말하는 박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A 씨는 생물학적 남성이지만 10살 무렵부터 여성으로서의 성 정체성이 형성됐습니다.
이후 여성 호르몬제를 투여하고 화장을 하는 등 성 정체성을 표현하며 살던 A 씨는 2014년 한 파티에서 ‘여성처럼 보이게 하고 그런 옷을 입은 혐의’로 체포돼 법원에서 벌금과 구금 7일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A 씨는 2017년 한국에서 난민신청을 했지만 받아들여 지지 않자 소송을 냈습니다.
1심 재판부는 “말레이시아로 돌아갈 경우 박해받을 우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로 판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출입국 외국인청 제공]
서울고법 행정1-2부(부장판사 김종호 이승한 심준보)는 오늘(20일) 말레이시아인 A씨가 서울출입국·외국인청장을 상대로 낸 난민불인정 취소 소송에서 1심과 달리 원고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는 성 정체성을 드러냈다는 이유로 체포돼 처벌받았다”며 “이는 인간의 본질적 존엄성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인 만큼 난민협약에서 말하는 박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A 씨는 생물학적 남성이지만 10살 무렵부터 여성으로서의 성 정체성이 형성됐습니다.
이후 여성 호르몬제를 투여하고 화장을 하는 등 성 정체성을 표현하며 살던 A 씨는 2014년 한 파티에서 ‘여성처럼 보이게 하고 그런 옷을 입은 혐의’로 체포돼 법원에서 벌금과 구금 7일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A 씨는 2017년 한국에서 난민신청을 했지만 받아들여 지지 않자 소송을 냈습니다.
1심 재판부는 “말레이시아로 돌아갈 경우 박해받을 우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로 판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출입국 외국인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법원 “성 정체성에 따른 박해…난민 인정 사유”
-
- 입력 2022-10-20 17:29:38
- 수정2022-10-20 17:37:11

트랜스젠더라는 이유로 고국에서 박해를 받는 것도 난민 인정 사유가 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서울고법 행정1-2부(부장판사 김종호 이승한 심준보)는 오늘(20일) 말레이시아인 A씨가 서울출입국·외국인청장을 상대로 낸 난민불인정 취소 소송에서 1심과 달리 원고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는 성 정체성을 드러냈다는 이유로 체포돼 처벌받았다”며 “이는 인간의 본질적 존엄성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인 만큼 난민협약에서 말하는 박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A 씨는 생물학적 남성이지만 10살 무렵부터 여성으로서의 성 정체성이 형성됐습니다.
이후 여성 호르몬제를 투여하고 화장을 하는 등 성 정체성을 표현하며 살던 A 씨는 2014년 한 파티에서 ‘여성처럼 보이게 하고 그런 옷을 입은 혐의’로 체포돼 법원에서 벌금과 구금 7일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A 씨는 2017년 한국에서 난민신청을 했지만 받아들여 지지 않자 소송을 냈습니다.
1심 재판부는 “말레이시아로 돌아갈 경우 박해받을 우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로 판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출입국 외국인청 제공]
서울고법 행정1-2부(부장판사 김종호 이승한 심준보)는 오늘(20일) 말레이시아인 A씨가 서울출입국·외국인청장을 상대로 낸 난민불인정 취소 소송에서 1심과 달리 원고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는 성 정체성을 드러냈다는 이유로 체포돼 처벌받았다”며 “이는 인간의 본질적 존엄성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인 만큼 난민협약에서 말하는 박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A 씨는 생물학적 남성이지만 10살 무렵부터 여성으로서의 성 정체성이 형성됐습니다.
이후 여성 호르몬제를 투여하고 화장을 하는 등 성 정체성을 표현하며 살던 A 씨는 2014년 한 파티에서 ‘여성처럼 보이게 하고 그런 옷을 입은 혐의’로 체포돼 법원에서 벌금과 구금 7일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A 씨는 2017년 한국에서 난민신청을 했지만 받아들여 지지 않자 소송을 냈습니다.
1심 재판부는 “말레이시아로 돌아갈 경우 박해받을 우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로 판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출입국 외국인청 제공]
-
-
석혜원 기자 hey1@kbs.co.kr
석혜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