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세 몰린 러, 우크라 반격 공세에 본토까지 ‘방어진지’ 구축

입력 2022.10.24 (11:31) 수정 2022.10.24 (11: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수세에 몰린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내 점령지뿐 아니라 자국 본토 접경지역에도 방어용 진지를 구축하고 있다고 AP통신이 현지 시각 23일 보도했습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러시아 서남부 쿠르스크주의 로만 스타보로이트 주지사는 최근 이 지역에 방어진지 2개를 구축했으며 3번째 진지도 다음 달 5일까지 완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쿠르스크 남쪽 벨고로드주의 뱌체슬라프 글라드코프 주지사도 같은 날 방어시설을 설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텔레그램에서 우크라이나의 군사 장비 전진을 저지하기 위해 피라미드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땅에 설치한 모습도 공개했습니다.

러시아가 최근 합병을 선언한 돈바스(도네츠크+루한스크) 지역에도 방어용 참호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 민간 용병 기업 와그너 그룹의 창설자 예브게니 프리고진은 최근 루한스크주 크레민나 지역에 방어진지와 참호를 설치한 모습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프리고진은 이 시설을 포함한 방어선을 ‘와그너 라인’이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러시아가 임명한 남부 헤르손 점령지 행정부 부수반인 키릴 스트레무소프도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헤르손 지역에) 러시아군 방어진지가 강화됐고 상황은 안정됐다”고 언급했습니다.

서방은 최근 러시아가 열세에 몰리자 황급히 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러시아군은 7월 초 돈바스 절반을 차지하는 루한스크를 점령했으나 우크라이나군 반격에 일부를 다시 내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동부 하르키우 전선에서 퇴각했고 최근엔 남부 헤르손 전선에서도 불안한 수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세 몰린 러, 우크라 반격 공세에 본토까지 ‘방어진지’ 구축
    • 입력 2022-10-24 11:31:08
    • 수정2022-10-24 11:35:32
    국제
최근 수세에 몰린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내 점령지뿐 아니라 자국 본토 접경지역에도 방어용 진지를 구축하고 있다고 AP통신이 현지 시각 23일 보도했습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러시아 서남부 쿠르스크주의 로만 스타보로이트 주지사는 최근 이 지역에 방어진지 2개를 구축했으며 3번째 진지도 다음 달 5일까지 완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쿠르스크 남쪽 벨고로드주의 뱌체슬라프 글라드코프 주지사도 같은 날 방어시설을 설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텔레그램에서 우크라이나의 군사 장비 전진을 저지하기 위해 피라미드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땅에 설치한 모습도 공개했습니다.

러시아가 최근 합병을 선언한 돈바스(도네츠크+루한스크) 지역에도 방어용 참호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 민간 용병 기업 와그너 그룹의 창설자 예브게니 프리고진은 최근 루한스크주 크레민나 지역에 방어진지와 참호를 설치한 모습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프리고진은 이 시설을 포함한 방어선을 ‘와그너 라인’이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러시아가 임명한 남부 헤르손 점령지 행정부 부수반인 키릴 스트레무소프도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헤르손 지역에) 러시아군 방어진지가 강화됐고 상황은 안정됐다”고 언급했습니다.

서방은 최근 러시아가 열세에 몰리자 황급히 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러시아군은 7월 초 돈바스 절반을 차지하는 루한스크를 점령했으나 우크라이나군 반격에 일부를 다시 내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동부 하르키우 전선에서 퇴각했고 최근엔 남부 헤르손 전선에서도 불안한 수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