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 이상’ 개량 백신 접종, 오늘부터 사전예약

입력 2022.10.27 (17:17) 수정 2022.10.27 (17: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유행이 다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개발된 개량 백신 접종 대상을 기초 접종을 완료한 18살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오늘부터 사전 예약을 받고 있습니다.

강푸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3만 4천여 명입니다.

어제보다는 줄었지만 1주일 전 같은 요일보다 1만 명 가까이 늘면서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BF.7을 비롯한 새로운 변이 검출 비율이 늘고 있는 데다, 코로나19 치명률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우려할만합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오미크론 변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개발된 개량 백신 접종 대상을 확대합니다.

그동안 60살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이 접종 대상이었지만, 이제 1, 2차 기초 접종을 완료한 18살 이상이면 맞을 수 있습니다.

추가 접종에는 이미 활용중인 BA.1기반의 모더나 백신뿐 아니라 BA.1과 BA.4/5기반의 화이자 백신도 쓰입니다.

사전 예약은 오늘부터 동시에 시작되지만, 접종 일정은 백신마다 다릅니다.

모더나 개량 백신은 오늘부터 당일 접종이 가능하지만, BA.5등 우세종을 겨냥한 화이자 백신은 다음 달 본격적인 접종이 시작됩니다.

방역당국은 1, 2차 접종을 마친 성인이 마지막 접종 또는 확진일 기준 4개월이 지났다면, 기존 백신보다는 개량 백신을 선택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백경란/질병관리청장 : "올해 7월 전에 마지막으로 접종하셨거나 7월 전에 코로나19에 확진되신 모든 분들이 접종 대상에 해당됩니다."]

전문가들은 어떤 개량 백신이 더 효과적인지 판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접종 가능한 개량 백신을 서둘러 맞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8세 이상’ 개량 백신 접종, 오늘부터 사전예약
    • 입력 2022-10-27 17:17:01
    • 수정2022-10-27 17:21:19
    뉴스 5
[앵커]

코로나19 유행이 다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개발된 개량 백신 접종 대상을 기초 접종을 완료한 18살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오늘부터 사전 예약을 받고 있습니다.

강푸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3만 4천여 명입니다.

어제보다는 줄었지만 1주일 전 같은 요일보다 1만 명 가까이 늘면서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BF.7을 비롯한 새로운 변이 검출 비율이 늘고 있는 데다, 코로나19 치명률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우려할만합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오미크론 변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개발된 개량 백신 접종 대상을 확대합니다.

그동안 60살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이 접종 대상이었지만, 이제 1, 2차 기초 접종을 완료한 18살 이상이면 맞을 수 있습니다.

추가 접종에는 이미 활용중인 BA.1기반의 모더나 백신뿐 아니라 BA.1과 BA.4/5기반의 화이자 백신도 쓰입니다.

사전 예약은 오늘부터 동시에 시작되지만, 접종 일정은 백신마다 다릅니다.

모더나 개량 백신은 오늘부터 당일 접종이 가능하지만, BA.5등 우세종을 겨냥한 화이자 백신은 다음 달 본격적인 접종이 시작됩니다.

방역당국은 1, 2차 접종을 마친 성인이 마지막 접종 또는 확진일 기준 4개월이 지났다면, 기존 백신보다는 개량 백신을 선택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백경란/질병관리청장 : "올해 7월 전에 마지막으로 접종하셨거나 7월 전에 코로나19에 확진되신 모든 분들이 접종 대상에 해당됩니다."]

전문가들은 어떤 개량 백신이 더 효과적인지 판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접종 가능한 개량 백신을 서둘러 맞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