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과학자, 뇌 회로 만들어 중증 뇌질환 치료길 열었다

입력 2022.11.07 (07:33) 수정 2022.11.07 (07: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 스탠퍼드 대학의 한국인 교수가 전자 회로 개념을 이용해 뇌를 분석하고 뇌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한인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스탠퍼드대 종신 교수에 임용된 이진형 교수가 그 주인공으로 이 교수의 연구는 유력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에도 게재됐습니다.

보도에 이영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뇌 질환 자의 뇌 활동을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붉은색 부분이 뇌 안에 문제가 있는 영역과 이에 따른 변화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빨갛게 지금 가끔씩 막 튀는 것들이 이제 정상적이지 못한 그런 활동이에요."]

두뇌를 전자 회로 개념으로 접근해 뇌 신경의 통신을 측정해 분석한 결과로 뇌의 '디지털 트윈', 즉 가상 공간에 뇌를 복제한 기술이 핵심입니다.

[이진형/스탠퍼드 의대·공대 교수 : "신호를 주고 받는 신경세포 하나 단위로 뇌에 전체적으로 특정 상황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어떻게 통신하는지를 모델링을 하고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게 됐어요."]

MRI가 단순히 뇌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과 달리 이 디지털 트윈은 질환의 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찾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티브 정/애리조나 주립대 병원 신경외과 과장 : "저희가 이제 뇌를 다르게 보는 거죠. 이거는 그냥 각 개개 부분들의 디파트먼트가 아니라 하나로 다 이렇게 연결된 그거를 보고서 저희가 환자에게 맞게 치료를 개발할 수 있고 또 치료를 할 수 있는 거죠."]

이 교수는 뇌 속에 있는 단백질도 뇌 기능으로 조절 가능하다는 것도 밝혀내 치매나 알츠하이머, 뇌전증 등 중증 뇌 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이진형/스탠퍼드의대·공대 교수 : "정상인에 비해서 여기와 여기의 통신이 줄었다 그러면 통신을 더 늘어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게 궁극적으로는 치료의 목적이 되기 때문에."]

이 교수의 연구 결과는 미국의 유력 과학 저널인 사이언스에 '뇌 연결'이라는 특집 주제의 관련 논문으로 소개됐습니다.

이 교수가 개발한 새 기술은 내년 초부터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캘리포니아주 팔로 알토에서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촬영:유원규/편집:박은주/그래픽:김현갑/자료조사:이지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韓 과학자, 뇌 회로 만들어 중증 뇌질환 치료길 열었다
    • 입력 2022-11-07 07:33:54
    • 수정2022-11-07 07:43:26
    뉴스광장
[앵커]

미 스탠퍼드 대학의 한국인 교수가 전자 회로 개념을 이용해 뇌를 분석하고 뇌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한인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스탠퍼드대 종신 교수에 임용된 이진형 교수가 그 주인공으로 이 교수의 연구는 유력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에도 게재됐습니다.

보도에 이영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뇌 질환 자의 뇌 활동을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붉은색 부분이 뇌 안에 문제가 있는 영역과 이에 따른 변화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빨갛게 지금 가끔씩 막 튀는 것들이 이제 정상적이지 못한 그런 활동이에요."]

두뇌를 전자 회로 개념으로 접근해 뇌 신경의 통신을 측정해 분석한 결과로 뇌의 '디지털 트윈', 즉 가상 공간에 뇌를 복제한 기술이 핵심입니다.

[이진형/스탠퍼드 의대·공대 교수 : "신호를 주고 받는 신경세포 하나 단위로 뇌에 전체적으로 특정 상황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어떻게 통신하는지를 모델링을 하고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게 됐어요."]

MRI가 단순히 뇌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과 달리 이 디지털 트윈은 질환의 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찾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티브 정/애리조나 주립대 병원 신경외과 과장 : "저희가 이제 뇌를 다르게 보는 거죠. 이거는 그냥 각 개개 부분들의 디파트먼트가 아니라 하나로 다 이렇게 연결된 그거를 보고서 저희가 환자에게 맞게 치료를 개발할 수 있고 또 치료를 할 수 있는 거죠."]

이 교수는 뇌 속에 있는 단백질도 뇌 기능으로 조절 가능하다는 것도 밝혀내 치매나 알츠하이머, 뇌전증 등 중증 뇌 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이진형/스탠퍼드의대·공대 교수 : "정상인에 비해서 여기와 여기의 통신이 줄었다 그러면 통신을 더 늘어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게 궁극적으로는 치료의 목적이 되기 때문에."]

이 교수의 연구 결과는 미국의 유력 과학 저널인 사이언스에 '뇌 연결'이라는 특집 주제의 관련 논문으로 소개됐습니다.

이 교수가 개발한 새 기술은 내년 초부터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캘리포니아주 팔로 알토에서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촬영:유원규/편집:박은주/그래픽:김현갑/자료조사:이지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