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상수원 고갈 우려…“수돗물 사용 20% 절약”

입력 2022.11.07 (21:39) 수정 2022.11.07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주의 상수원인 동복호와 주암호 저수율이 역대 최저수준으로 떨어진데다 갈수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대로면 내년 3월에는 상수원이 고갈되고 제한급수를 해야 할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제한급수를 피하기 위해 물 사용량을 20% 줄여달라고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최근 수돗물 절약 방법을 실천하기 시작한 김선희 씨.

얼마 전까지도 높은 수압으로 편하게 물을 썼습니다.

지금은 양수기함에 설치된 밸브를 오른쪽으로 조금 잠근 뒤 수압을 낮춰서 사용합니다.

실제 종전 최대치 수압일 때와 수압을 20% 가량 줄인 뒤 나오는 물의 양을 같은 시간 동안 살펴봤습니다.

수압을 줄인 뒤 물의 양이 줄어든 게 뚜렷합니다.

변기 수조는 페트병이나 벽돌을 집어넣지 않아도 안에 달린 밸브를 내려주면 물의 양을 손쉽게 줄일 수 있습니다.

[김선희/광주시 중흥동 : "생활하는 데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평소에는 그게 아무 생각도 없이 못 했는데. 지금은 많이 배우고 보니까 아낄 수 있을 것 같아요."]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수압 밸브를 조절하면 실제 물 사용량을 20%에서 많게는 4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세면대나 샤워기, 개수대 등에서 각각 밸브를 조절하거나 양수기함의 계량기에서 전체 수압을 낮출 수도 있어서 누구나 손쉽게 실천할 수 있고 효과도 크다는 겁니다.

[김정환/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 수계조절팀장 : "수압을 낮추면 20에서 40%까지 절감을 할 수 있고요. 또한 수도요금도 20에서 40%까지 절감하는 것으로 검토 결과가 있습니다."]

광주 상수도사업본부는 가뭄이 계속되는 가운데 수돗물 사용이 줄지 않으면 상수원 고갈로 제한급수도 피할 수 없다며 수돗물 20% 절약 참여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앵커]

광주 지역 가뭄에 따른 상수원 고갈 우려와 물절약 실천 방안을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유승용 기자! 일반 가정에서의 물 절약이 상수원 고갈이나 제한급수를 막을만큼 효과가 있을까요?

[기자]

네, 앞서 리포트에도 전해드린 것처럼 광주시는 20% 물절약을 호소하고 있는데요.

광주시 대다수 가정에서 계량기 수압조절 등을 통해 물 절약을 실천한다면 현재 내년 3월로 예상되는 동복호 상수원 고갈 시점을 6월까지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내년 장마까지 버틸 수 있다는 얘깁니다.

하지만 반대로 물 사용량이 그대로이거나 늘어날 수도 있는데요.

그리고 가뭄 상황이 지속된다면 제한급수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앵커]

수돗물 절약에 따른 요금 추가 감면 얘기가 나왔는데, 이 부분 조금 자세히 해주시죠?

[기자]

지난해 11월과 비교해 올해 11월 수돗물 사용량을 10% 이상 줄였다면 그만큼 요금이 줄어드는데, 줄인 만큼을 추가로 할인해주겠다는 겁니다.

또, 줄인 수돗물 양이 20%, 30% 이상이라면 할인 폭도 더 크게 해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상수도 요금은 조례나 시행 규칙을 개정해야 해서 의회 심의 필요한데요.

당장 요금감면은 힘들지만 의회에서 통과되면 내년 1월 부과분부터 추가 할인 적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대대적인 물절약 캠페인에 나서고 추가 요금 감면 혜택까지, 그만큼 상수원 고갈 우려가 심각하다는 거겠죠?

[기자]

동복호 저수율은 한달 전 10월 기준 역대 최저인 40%였는데, 지금은 32%까지 떨어졌으니 굉장히 심각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당장은 주암호의 물 공급을 늘려 정수장에 보내고 있는데요.

평소 동복호는 하루 30만톤, 주암호 20만톤 합쳐서 50만톤을 공급해왔는데, 올해 봄 가뭄 이후부터 동복호 물 공급량을 계속 줄이고 있습니다.

현재는 20만톤, 주암호가 30만톤으로 바뀌었는데요.

주암호가 상대적으로 규모가 커서 물 공급량을 임시로 늘리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주암호 저수율도 32%대로 떨어지긴 마찬가지여서 근본적인 대책은 되기 어렵습니다.

가뭄이 계속되면 내년 3월이면 상수원이 고갈될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주 상수원 고갈 우려…“수돗물 사용 20% 절약”
    • 입력 2022-11-07 21:39:51
    • 수정2022-11-07 21:56:51
    뉴스9(광주)
[앵커]

광주의 상수원인 동복호와 주암호 저수율이 역대 최저수준으로 떨어진데다 갈수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대로면 내년 3월에는 상수원이 고갈되고 제한급수를 해야 할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제한급수를 피하기 위해 물 사용량을 20% 줄여달라고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최근 수돗물 절약 방법을 실천하기 시작한 김선희 씨.

얼마 전까지도 높은 수압으로 편하게 물을 썼습니다.

지금은 양수기함에 설치된 밸브를 오른쪽으로 조금 잠근 뒤 수압을 낮춰서 사용합니다.

실제 종전 최대치 수압일 때와 수압을 20% 가량 줄인 뒤 나오는 물의 양을 같은 시간 동안 살펴봤습니다.

수압을 줄인 뒤 물의 양이 줄어든 게 뚜렷합니다.

변기 수조는 페트병이나 벽돌을 집어넣지 않아도 안에 달린 밸브를 내려주면 물의 양을 손쉽게 줄일 수 있습니다.

[김선희/광주시 중흥동 : "생활하는 데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평소에는 그게 아무 생각도 없이 못 했는데. 지금은 많이 배우고 보니까 아낄 수 있을 것 같아요."]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수압 밸브를 조절하면 실제 물 사용량을 20%에서 많게는 4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세면대나 샤워기, 개수대 등에서 각각 밸브를 조절하거나 양수기함의 계량기에서 전체 수압을 낮출 수도 있어서 누구나 손쉽게 실천할 수 있고 효과도 크다는 겁니다.

[김정환/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 수계조절팀장 : "수압을 낮추면 20에서 40%까지 절감을 할 수 있고요. 또한 수도요금도 20에서 40%까지 절감하는 것으로 검토 결과가 있습니다."]

광주 상수도사업본부는 가뭄이 계속되는 가운데 수돗물 사용이 줄지 않으면 상수원 고갈로 제한급수도 피할 수 없다며 수돗물 20% 절약 참여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앵커]

광주 지역 가뭄에 따른 상수원 고갈 우려와 물절약 실천 방안을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유승용 기자! 일반 가정에서의 물 절약이 상수원 고갈이나 제한급수를 막을만큼 효과가 있을까요?

[기자]

네, 앞서 리포트에도 전해드린 것처럼 광주시는 20% 물절약을 호소하고 있는데요.

광주시 대다수 가정에서 계량기 수압조절 등을 통해 물 절약을 실천한다면 현재 내년 3월로 예상되는 동복호 상수원 고갈 시점을 6월까지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내년 장마까지 버틸 수 있다는 얘깁니다.

하지만 반대로 물 사용량이 그대로이거나 늘어날 수도 있는데요.

그리고 가뭄 상황이 지속된다면 제한급수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앵커]

수돗물 절약에 따른 요금 추가 감면 얘기가 나왔는데, 이 부분 조금 자세히 해주시죠?

[기자]

지난해 11월과 비교해 올해 11월 수돗물 사용량을 10% 이상 줄였다면 그만큼 요금이 줄어드는데, 줄인 만큼을 추가로 할인해주겠다는 겁니다.

또, 줄인 수돗물 양이 20%, 30% 이상이라면 할인 폭도 더 크게 해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상수도 요금은 조례나 시행 규칙을 개정해야 해서 의회 심의 필요한데요.

당장 요금감면은 힘들지만 의회에서 통과되면 내년 1월 부과분부터 추가 할인 적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대대적인 물절약 캠페인에 나서고 추가 요금 감면 혜택까지, 그만큼 상수원 고갈 우려가 심각하다는 거겠죠?

[기자]

동복호 저수율은 한달 전 10월 기준 역대 최저인 40%였는데, 지금은 32%까지 떨어졌으니 굉장히 심각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당장은 주암호의 물 공급을 늘려 정수장에 보내고 있는데요.

평소 동복호는 하루 30만톤, 주암호 20만톤 합쳐서 50만톤을 공급해왔는데, 올해 봄 가뭄 이후부터 동복호 물 공급량을 계속 줄이고 있습니다.

현재는 20만톤, 주암호가 30만톤으로 바뀌었는데요.

주암호가 상대적으로 규모가 커서 물 공급량을 임시로 늘리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주암호 저수율도 32%대로 떨어지긴 마찬가지여서 근본적인 대책은 되기 어렵습니다.

가뭄이 계속되면 내년 3월이면 상수원이 고갈될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