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화당 하원 탈환, ‘바이드노믹스’에 변수 될까?

입력 2022.11.10 (07:06) 수정 2022.11.10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중간선거에서 야당인 공화당이 하원 다수당이 되는 게 확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관심은 공화당의 하원 탈환이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 정책에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지에 쏠리고 있습니다.

공화당의 견제는 불가피해 보이는데,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이 부분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우선 우리 정부와 기업의 초미의 관심인 인플레이션감축법의 개정 여붑니다.

일단 가능성은 희박해보입니다.

당론으로 인플레이션감축법안을 반대했던 공화당이지만, 반대했던 가장 큰 이유는 기업 법인세율 인상 등 이른바 '부자증세'와 의료보험 혜택 확대 등으로 인한 재정지출 증가 부분이었습니다.

인플레이션감축법의 핵심인 미국 제조업 살리기, 이른바 '메이드인아메리카' 정책은 공화당이 반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2년 후 치뤄질 대통령 선거를 앞두곤 '자국 산업 우선주의'를 오히려 공화당이 더 강력하게 전면에 내세울 가능성도 큽니다.

게다가 영국의 트러스 전 총리가 '부자 감세'를 밀어붙이다가 40여일만에 자진 사퇴하는 초유의 상황을 지켜봤으니, 무작정 바이든 행정부의 '부자증세' 정책에 반대 목소리만 높이는 것도 부담이 돼 버렸습니다.

초유의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상황에서 이른바 '경제심판론'이 작용해 표심이 공화당으로 갔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사실 공화당이 다수당이 된다해서 뾰족한 인플레이션 대응책이 나오리란 보장은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래리 서머스/하버드대학교교수/CNN 방송 : "저는 바이든 대통령을 공격하는 사람들로부터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건설적인 얘기를 들어보지를 못했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의 독립성을 지지하기 위해서도 우리가 해야 할 여러가지 일들이 있습니다."]

현재의 고물가는 많은 부분 코로나19와 전쟁 등의 외부요인에 달려 있어섭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와 관련해 인플레이션 덕에 공화당이 다수당이 된다해도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더 잘 해결하기는 쉽지 않을 거란 진단을 내놨습니다.

중국 경제 견제에서도 강경한 정도가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덜하지는 않아 이 역시 뚜렷한 갈등을 빚을 가능성은 적습니다.

물론 하원이 공화당으로 넘어가면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상당 부분 제동이 걸리는 건 불가피하겠지만, 의석 수 차도 예상보다 줄어들면서 당초 걱정했던것만큼 정치적 타격이 심하진 않을 거란 게 미국 언론들의 대체적 분석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촬영:홍경수/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김나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공화당 하원 탈환, ‘바이드노믹스’에 변수 될까?
    • 입력 2022-11-10 07:06:16
    • 수정2022-11-10 22:18:49
    뉴스광장
[앵커]

미국 중간선거에서 야당인 공화당이 하원 다수당이 되는 게 확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관심은 공화당의 하원 탈환이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 정책에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지에 쏠리고 있습니다.

공화당의 견제는 불가피해 보이는데,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이 부분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우선 우리 정부와 기업의 초미의 관심인 인플레이션감축법의 개정 여붑니다.

일단 가능성은 희박해보입니다.

당론으로 인플레이션감축법안을 반대했던 공화당이지만, 반대했던 가장 큰 이유는 기업 법인세율 인상 등 이른바 '부자증세'와 의료보험 혜택 확대 등으로 인한 재정지출 증가 부분이었습니다.

인플레이션감축법의 핵심인 미국 제조업 살리기, 이른바 '메이드인아메리카' 정책은 공화당이 반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2년 후 치뤄질 대통령 선거를 앞두곤 '자국 산업 우선주의'를 오히려 공화당이 더 강력하게 전면에 내세울 가능성도 큽니다.

게다가 영국의 트러스 전 총리가 '부자 감세'를 밀어붙이다가 40여일만에 자진 사퇴하는 초유의 상황을 지켜봤으니, 무작정 바이든 행정부의 '부자증세' 정책에 반대 목소리만 높이는 것도 부담이 돼 버렸습니다.

초유의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상황에서 이른바 '경제심판론'이 작용해 표심이 공화당으로 갔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사실 공화당이 다수당이 된다해서 뾰족한 인플레이션 대응책이 나오리란 보장은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래리 서머스/하버드대학교교수/CNN 방송 : "저는 바이든 대통령을 공격하는 사람들로부터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건설적인 얘기를 들어보지를 못했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의 독립성을 지지하기 위해서도 우리가 해야 할 여러가지 일들이 있습니다."]

현재의 고물가는 많은 부분 코로나19와 전쟁 등의 외부요인에 달려 있어섭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와 관련해 인플레이션 덕에 공화당이 다수당이 된다해도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더 잘 해결하기는 쉽지 않을 거란 진단을 내놨습니다.

중국 경제 견제에서도 강경한 정도가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덜하지는 않아 이 역시 뚜렷한 갈등을 빚을 가능성은 적습니다.

물론 하원이 공화당으로 넘어가면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상당 부분 제동이 걸리는 건 불가피하겠지만, 의석 수 차도 예상보다 줄어들면서 당초 걱정했던것만큼 정치적 타격이 심하진 않을 거란 게 미국 언론들의 대체적 분석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촬영:홍경수/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김나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