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테러’ 위협 증가…대테러 연합훈련

입력 2022.11.11 (07:56) 수정 2022.11.11 (0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드론'은 농촌 방제 현장부터 최근엔 택배까지 점점 더 일상 생활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테러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어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영월에서는 이에 대응한 대테러 연합 훈련이 열렸습니다.

이현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작은 드론 한 대가 가볍고 빠르게 날아갑니다.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모습이지만, 사실은 폭탄을 싣고 있습니다.

["공격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3,2,1."]

폭발음과 함께 마네킹 4개가 곧바로 산산조각 납니다.

요주의 인물을 암살하는 상황을 가정한 대테러 훈련 모습입니다.

이번엔 차량 테러.

차량 주위를 맴돌던 드론이 운전석 안으로 쑥 들어가더니 폭발을 일으킵니다.

농촌 방제 드론도 약품 통만 생화학물질로 바꾸면 대량 살상 무기로 바뀔 수 있습니다.

'드론 테러' 위협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한 민관군 연합 훈련이 실시됐습니다.

드론 방어 체계의 핵심 설비이자, 사령탑 역할을 하는 차량입니다. 불법 드론의 탐지부터 방해 전파 송출까지 이 차량 한 대가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육안으로 보이기 이전부터 원거리에서 드론의 움직임을 레이더로 포착한 뒤 전파를 교란해, 상공에 멈춰 세웁니다.

뒤로 날려 버릴 수도 있습니다.

드론을 폭파 시키는 게 아닌, 제어권을 빼앗아오는 이른바 '소프트킬' 방식입니다.

[송민용/한국가스공사 방호담당 : "드론에 대한 테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볼 수 있는 자리가 되었고요.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을 해서 드론 테러에 대한 대응, 또한 유관 기관과의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서…."]

각종 방어 체계 기술을 개발해 원전과 댐, 가스 탱크 등 국가 기간 시설에도 접목할 수 있습니다.

[국찬호/기술연구개발 업체 전무 : "식별한 후에 재밍(원거리 무력화)하는 한계는 대략 한 2km 내에서 3km 수준이라고 봅니다. 원래 방어 하고자 하는 그 구역을 충분히 덮는 형태로 여러 개를 설치해서 할 수 있는 방법도 있고."]

국정원과 강원도, 민간 기술 개발 업체 등 10여 개 관계 기관은 성능 개발과 함께 전파법 규제도 완화해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드론 테러’ 위협 증가…대테러 연합훈련
    • 입력 2022-11-11 07:56:43
    • 수정2022-11-11 08:01:08
    뉴스광장(춘천)
[앵커]

'드론'은 농촌 방제 현장부터 최근엔 택배까지 점점 더 일상 생활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테러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어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영월에서는 이에 대응한 대테러 연합 훈련이 열렸습니다.

이현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작은 드론 한 대가 가볍고 빠르게 날아갑니다.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모습이지만, 사실은 폭탄을 싣고 있습니다.

["공격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3,2,1."]

폭발음과 함께 마네킹 4개가 곧바로 산산조각 납니다.

요주의 인물을 암살하는 상황을 가정한 대테러 훈련 모습입니다.

이번엔 차량 테러.

차량 주위를 맴돌던 드론이 운전석 안으로 쑥 들어가더니 폭발을 일으킵니다.

농촌 방제 드론도 약품 통만 생화학물질로 바꾸면 대량 살상 무기로 바뀔 수 있습니다.

'드론 테러' 위협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한 민관군 연합 훈련이 실시됐습니다.

드론 방어 체계의 핵심 설비이자, 사령탑 역할을 하는 차량입니다. 불법 드론의 탐지부터 방해 전파 송출까지 이 차량 한 대가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육안으로 보이기 이전부터 원거리에서 드론의 움직임을 레이더로 포착한 뒤 전파를 교란해, 상공에 멈춰 세웁니다.

뒤로 날려 버릴 수도 있습니다.

드론을 폭파 시키는 게 아닌, 제어권을 빼앗아오는 이른바 '소프트킬' 방식입니다.

[송민용/한국가스공사 방호담당 : "드론에 대한 테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볼 수 있는 자리가 되었고요.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을 해서 드론 테러에 대한 대응, 또한 유관 기관과의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서…."]

각종 방어 체계 기술을 개발해 원전과 댐, 가스 탱크 등 국가 기간 시설에도 접목할 수 있습니다.

[국찬호/기술연구개발 업체 전무 : "식별한 후에 재밍(원거리 무력화)하는 한계는 대략 한 2km 내에서 3km 수준이라고 봅니다. 원래 방어 하고자 하는 그 구역을 충분히 덮는 형태로 여러 개를 설치해서 할 수 있는 방법도 있고."]

국정원과 강원도, 민간 기술 개발 업체 등 10여 개 관계 기관은 성능 개발과 함께 전파법 규제도 완화해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