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체감 경제고통지수 전연령대 가장 높아…물가·취업난 원인
입력 2022.11.14 (10:43)
수정 2022.11.14 (10: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난과 물가 급등으로 청년들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비교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 체감경제고통지수가 25.1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합한 수치로 60대가 16.1로 그 다음 높았고, 30대(14.4), 50대(13.3), 40대(12.5) 순이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청년층이 체감한 물가상승률은 5.2%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10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원인으로는 청년층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음식·숙박(21.6%), 교통(12.0%), 식료품(8.5%)의 가격 상승이 지목됩니다.
또, 올해 상반기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로, 코로나 전에 비해선 낮았지만 다른 연령대에 비해선 높았습니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이 청년 취업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2017∼2020년 배출된 대졸자는 223만 4천 명인 데 반해 신규 고학력 일자리는 126만 4천 개로 절반에 그쳤습니다.
지난 4년간 29세 이하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은 48.3%로, 전체 부채 증가율(24.0%)의 2배에 달했습니다.
또, 같은 기간 청년층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은 34.9%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23.5%)의 1.5배 수준입니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7년 24.2%에서 2020년 32.5%까지 상승했다가 2021년 29.2%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비교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 체감경제고통지수가 25.1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합한 수치로 60대가 16.1로 그 다음 높았고, 30대(14.4), 50대(13.3), 40대(12.5) 순이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청년층이 체감한 물가상승률은 5.2%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10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원인으로는 청년층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음식·숙박(21.6%), 교통(12.0%), 식료품(8.5%)의 가격 상승이 지목됩니다.
또, 올해 상반기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로, 코로나 전에 비해선 낮았지만 다른 연령대에 비해선 높았습니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이 청년 취업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2017∼2020년 배출된 대졸자는 223만 4천 명인 데 반해 신규 고학력 일자리는 126만 4천 개로 절반에 그쳤습니다.
지난 4년간 29세 이하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은 48.3%로, 전체 부채 증가율(24.0%)의 2배에 달했습니다.
또, 같은 기간 청년층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은 34.9%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23.5%)의 1.5배 수준입니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7년 24.2%에서 2020년 32.5%까지 상승했다가 2021년 29.2%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년 체감 경제고통지수 전연령대 가장 높아…물가·취업난 원인
-
- 입력 2022-11-14 10:43:31
- 수정2022-11-14 10:45:47

취업난과 물가 급등으로 청년들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비교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 체감경제고통지수가 25.1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합한 수치로 60대가 16.1로 그 다음 높았고, 30대(14.4), 50대(13.3), 40대(12.5) 순이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청년층이 체감한 물가상승률은 5.2%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10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원인으로는 청년층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음식·숙박(21.6%), 교통(12.0%), 식료품(8.5%)의 가격 상승이 지목됩니다.
또, 올해 상반기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로, 코로나 전에 비해선 낮았지만 다른 연령대에 비해선 높았습니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이 청년 취업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2017∼2020년 배출된 대졸자는 223만 4천 명인 데 반해 신규 고학력 일자리는 126만 4천 개로 절반에 그쳤습니다.
지난 4년간 29세 이하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은 48.3%로, 전체 부채 증가율(24.0%)의 2배에 달했습니다.
또, 같은 기간 청년층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은 34.9%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23.5%)의 1.5배 수준입니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7년 24.2%에서 2020년 32.5%까지 상승했다가 2021년 29.2%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비교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 체감경제고통지수가 25.1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합한 수치로 60대가 16.1로 그 다음 높았고, 30대(14.4), 50대(13.3), 40대(12.5) 순이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청년층이 체감한 물가상승률은 5.2%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10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원인으로는 청년층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음식·숙박(21.6%), 교통(12.0%), 식료품(8.5%)의 가격 상승이 지목됩니다.
또, 올해 상반기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로, 코로나 전에 비해선 낮았지만 다른 연령대에 비해선 높았습니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이 청년 취업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2017∼2020년 배출된 대졸자는 223만 4천 명인 데 반해 신규 고학력 일자리는 126만 4천 개로 절반에 그쳤습니다.
지난 4년간 29세 이하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은 48.3%로, 전체 부채 증가율(24.0%)의 2배에 달했습니다.
또, 같은 기간 청년층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은 34.9%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23.5%)의 1.5배 수준입니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7년 24.2%에서 2020년 32.5%까지 상승했다가 2021년 29.2%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