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당뇨병의 날…WHO “인슐린 접근성 제고 위해 투자”
입력 2022.11.14 (19:35)
수정 2022.11.14 (1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당뇨병 치료제인 인슐린을 저소득 국가에서도 값싸게 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WHO는 ‘세계 당뇨병의 날’인 현지시간 14일 성명을 내고 인슐린 접근성을 끌어올릴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11월14일은 WHO와 국제당뇨병연맹이 당뇨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예방 및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1991년 ‘세계 당뇨병의 날’로 지정한 날입니다.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이 지나치게 높아져 소변으로 넘쳐 나오는 질병으로 방치할 경우 손·발가락 절단, 시력상실에 심하면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제당뇨병연맹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세계 성인 당뇨 환자는 4억2천만명 이상입니다.
2045년이면 6억2천900만명에 달할 수도 있다고 연맹 측은 경고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치료제인 인슐린이 100년 전에 개발됐고 공급량도 적지 않지만 가격이 여전히 비싸 저소득 국가에서는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WHO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슐린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공급을 촉진하는 방안에 힘을 싣기로 했습니다.
우선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 및 생산 기반시설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의약품 연구 및 제조 역량을 갖춘 나라에서는 바이오시밀러 개발·생산에 적극적이지만 저소득 국가에서는 이마저도 쉽지 않은 만큼 이런 역량을 높여주는 지원 사업을 벌이겠다는 겁니다.
아울러 바이오시밀러를 각국이 판매하도록 승인할 때 적용되는 규제 정보를 간소화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불필요한 규제를 간소화함으로써 당뇨병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제품 개발·생산의 진입 장벽을 낮추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WHO는 이를 위해 최근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평가에 관한 가이드라인 개정판을 마련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WHO는 ‘세계 당뇨병의 날’인 현지시간 14일 성명을 내고 인슐린 접근성을 끌어올릴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11월14일은 WHO와 국제당뇨병연맹이 당뇨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예방 및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1991년 ‘세계 당뇨병의 날’로 지정한 날입니다.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이 지나치게 높아져 소변으로 넘쳐 나오는 질병으로 방치할 경우 손·발가락 절단, 시력상실에 심하면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제당뇨병연맹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세계 성인 당뇨 환자는 4억2천만명 이상입니다.
2045년이면 6억2천900만명에 달할 수도 있다고 연맹 측은 경고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치료제인 인슐린이 100년 전에 개발됐고 공급량도 적지 않지만 가격이 여전히 비싸 저소득 국가에서는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WHO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슐린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공급을 촉진하는 방안에 힘을 싣기로 했습니다.
우선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 및 생산 기반시설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의약품 연구 및 제조 역량을 갖춘 나라에서는 바이오시밀러 개발·생산에 적극적이지만 저소득 국가에서는 이마저도 쉽지 않은 만큼 이런 역량을 높여주는 지원 사업을 벌이겠다는 겁니다.
아울러 바이오시밀러를 각국이 판매하도록 승인할 때 적용되는 규제 정보를 간소화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불필요한 규제를 간소화함으로써 당뇨병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제품 개발·생산의 진입 장벽을 낮추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WHO는 이를 위해 최근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평가에 관한 가이드라인 개정판을 마련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 당뇨병의 날…WHO “인슐린 접근성 제고 위해 투자”
-
- 입력 2022-11-14 19:35:19
- 수정2022-11-14 19:36:48

세계보건기구(WHO)가 당뇨병 치료제인 인슐린을 저소득 국가에서도 값싸게 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WHO는 ‘세계 당뇨병의 날’인 현지시간 14일 성명을 내고 인슐린 접근성을 끌어올릴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11월14일은 WHO와 국제당뇨병연맹이 당뇨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예방 및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1991년 ‘세계 당뇨병의 날’로 지정한 날입니다.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이 지나치게 높아져 소변으로 넘쳐 나오는 질병으로 방치할 경우 손·발가락 절단, 시력상실에 심하면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제당뇨병연맹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세계 성인 당뇨 환자는 4억2천만명 이상입니다.
2045년이면 6억2천900만명에 달할 수도 있다고 연맹 측은 경고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치료제인 인슐린이 100년 전에 개발됐고 공급량도 적지 않지만 가격이 여전히 비싸 저소득 국가에서는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WHO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슐린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공급을 촉진하는 방안에 힘을 싣기로 했습니다.
우선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 및 생산 기반시설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의약품 연구 및 제조 역량을 갖춘 나라에서는 바이오시밀러 개발·생산에 적극적이지만 저소득 국가에서는 이마저도 쉽지 않은 만큼 이런 역량을 높여주는 지원 사업을 벌이겠다는 겁니다.
아울러 바이오시밀러를 각국이 판매하도록 승인할 때 적용되는 규제 정보를 간소화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불필요한 규제를 간소화함으로써 당뇨병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제품 개발·생산의 진입 장벽을 낮추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WHO는 이를 위해 최근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평가에 관한 가이드라인 개정판을 마련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WHO는 ‘세계 당뇨병의 날’인 현지시간 14일 성명을 내고 인슐린 접근성을 끌어올릴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11월14일은 WHO와 국제당뇨병연맹이 당뇨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예방 및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1991년 ‘세계 당뇨병의 날’로 지정한 날입니다.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이 지나치게 높아져 소변으로 넘쳐 나오는 질병으로 방치할 경우 손·발가락 절단, 시력상실에 심하면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제당뇨병연맹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세계 성인 당뇨 환자는 4억2천만명 이상입니다.
2045년이면 6억2천900만명에 달할 수도 있다고 연맹 측은 경고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치료제인 인슐린이 100년 전에 개발됐고 공급량도 적지 않지만 가격이 여전히 비싸 저소득 국가에서는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WHO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슐린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공급을 촉진하는 방안에 힘을 싣기로 했습니다.
우선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 및 생산 기반시설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의약품 연구 및 제조 역량을 갖춘 나라에서는 바이오시밀러 개발·생산에 적극적이지만 저소득 국가에서는 이마저도 쉽지 않은 만큼 이런 역량을 높여주는 지원 사업을 벌이겠다는 겁니다.
아울러 바이오시밀러를 각국이 판매하도록 승인할 때 적용되는 규제 정보를 간소화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불필요한 규제를 간소화함으로써 당뇨병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제품 개발·생산의 진입 장벽을 낮추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WHO는 이를 위해 최근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평가에 관한 가이드라인 개정판을 마련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박상용 기자 miso@kbs.co.kr
박상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