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人] ‘성태뇌문’ 목공예의 정수…소목장 김금철

입력 2022.11.15 (20:04) 수정 2022.11.15 (2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통제영 12공방에는 조선 목공예의 정수를 보여준 소목방이 있었습니다.

조형미와 실용성을 겸비한 통영장도 이곳에서 나왔는데요.

통영 소목의 맥을 잇는 소목장을 경남인에서 만나보시죠.

[리포트]

김금철 소목장이 공들여 만든 성태뇌문이층장입니다.

["가운데 부분이 오동이거든요. 이건 홍송입니다. 단단하고 병을 안 해서 못을 박아놔도 못이 안 빠집니다. 이게 우리 성태뇌문. 보기는 이래도 만들려면 시간이 좀 걸립니다. 선 빼기가, 선 만들기가 젤 힘들어요."]

일곱 가지 나무가 들어간 이층장에 멋을 더하는 성태뇌문은 특히 손이 많이 가는데요.

김금철 소목장은 전통문양을 재현하며 고집스럽게 통영 소목을 지켰습니다.

20여 종 넘는 목재가 빼곡한 건조실.

소목장에겐 쳐다만 봐도 배부른 보물창고입니다.

천 년 느티나무도 가구가 되려면 변형을 살피며 충분한 건조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김금철/소목장 : "이 느티나무가 1,300년 되었어요. 빨리 못 커가지고 이렇게 파도문양이 생기지요. 나무 문양을 골라가지고 문양을 새겨가면서 가구를 만듭니다."]

김금철 소목장은 열여덟 살 때 중요무형문화재 55호 고 천상원 소목장 아래서 소목 일을 배웠습니다.

스승과 그의 부친이 쓰던 연장도 기술과 함께 물려받았는데요. 120년 넘은 연장은 그에게 또 다른 스승이었습니다.

[김금철/소목장 : "(모서리는) 대패로 못 하니까 이렇게 해서 싹 깎습니다. 100년 더 됐습니다. 이건 우리 선생님 아버지가 쓰시던 거거든요. 먹통입니다. 옛날에는 나무를 자르려면 먹을 튕겨서 전기가 없다 보니까..."]

작업에 필요한 연장만 100여 가지.

나무를 고정하는 연장에 마루를 이어 붙인 대패 작업대, 톱날이 움직이는 톱까지 모두 직접 만든 연장인데요.

기계톱 대신 힘든 톱질을 고수하는 덴 이유가 있습니다.

["톱날이 이렇게 넓었는데 많이 써서 이렇게 닳았다 아닙니까. 기계로 켜면 톱밥으로 날아가 버려요. 그러면 농을 12개를 할 것 같으면 한 발밖에 안 나와요."]

나무의 성질과 결, 문양을 살려 화장대 일부가 나오기까지 스무 단계 넘는 공정을 거쳤습니다.

물칠 한 아교를 발라 홈에 끼운 뒤엔 줄로 고정시키는데요. 못 없이도 100년 이상을 견디는 전통방식입니다.

["못을 안 주기 때문에 줄을 당겨야만 연귀가 딱 붙거든요. 이건 왜 고정대를 대냐면 옆에 모서리 깨진다고 깨지지 말라고 댑니다."]

재료부터 제작방식까지 원형을 이어온 통영 소목의 최대 강점은 실용성입니다.

위 아래가 분리되는 건 물론 '가락지’를 만들어 밀림을 방지했습니다.

["이렇게 해놓으면 농이 밀려가지 않고 딱 그 자리에 있어요."]

나무의 기능을 살려 부위 별로 다른 나무를 배치한 것도 놀랍습니다.

["안쪽은 오동나무. 오동은 습기 차지 말라고, 옷에 냄새나지 말라고. 이게 배나무고 뒤에 붙는 게 오동이고요. 여기 감나무. 검은 감나무 흑심이고 흰 게 버드나무. 이건 느티나무고요. 발은 (단단한) 홍송이예요."]

나무를 조화롭게 연결하는 감각도 중요하지만 아자문(亞)으로도 불리는 성태 뇌문은 특히 까다로운 작업.

나무를 얇게 켜서 붙인 성곽 문양을 끼워 넣는 전통 목상감기법입니다.

["(성태뇌문) 이걸 선을 빼고 나면 사람이 몸살을 이틀을 한다고요."]

소목에 기하학적 아름다움을 더하는 장인의 수고로움 덕분에 성태뇌문은 통영 소목의 꽃으로 주목받을 수 있었습니다.

더 편리한 가구를 고민하다 통영사철버선장도 내놓는 등 잠시도 연장을 놓지 않았던 소목장에겐 바람이 있습니다.

[김금철/소목장 : "귀뇌문, 귀만 따가지고 이렇게 하는 방식도 아주 많아요. 조금만 넉넉하면 귀뇌문도 만들고 여러 가지 만들어서 후세한테 남겨줘야 하는데…. 이 일을 하다 보면 참 아름답고 진짜 좋은데 뒤따라주는 게 없다는 그런 게 있지요."]

잊혀진 전통문양을 되살려 통영 소목의 진가를 알리고 싶은 장인의 손은 여전히 빈손입니다.

하지만 비바람을 견디며 열매 맺는 나무처럼 그의 손은 강인한 나무를 닮았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人] ‘성태뇌문’ 목공예의 정수…소목장 김금철
    • 입력 2022-11-15 20:04:28
    • 수정2022-11-15 20:18:05
    뉴스7(창원)
[앵커]

통제영 12공방에는 조선 목공예의 정수를 보여준 소목방이 있었습니다.

조형미와 실용성을 겸비한 통영장도 이곳에서 나왔는데요.

통영 소목의 맥을 잇는 소목장을 경남인에서 만나보시죠.

[리포트]

김금철 소목장이 공들여 만든 성태뇌문이층장입니다.

["가운데 부분이 오동이거든요. 이건 홍송입니다. 단단하고 병을 안 해서 못을 박아놔도 못이 안 빠집니다. 이게 우리 성태뇌문. 보기는 이래도 만들려면 시간이 좀 걸립니다. 선 빼기가, 선 만들기가 젤 힘들어요."]

일곱 가지 나무가 들어간 이층장에 멋을 더하는 성태뇌문은 특히 손이 많이 가는데요.

김금철 소목장은 전통문양을 재현하며 고집스럽게 통영 소목을 지켰습니다.

20여 종 넘는 목재가 빼곡한 건조실.

소목장에겐 쳐다만 봐도 배부른 보물창고입니다.

천 년 느티나무도 가구가 되려면 변형을 살피며 충분한 건조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김금철/소목장 : "이 느티나무가 1,300년 되었어요. 빨리 못 커가지고 이렇게 파도문양이 생기지요. 나무 문양을 골라가지고 문양을 새겨가면서 가구를 만듭니다."]

김금철 소목장은 열여덟 살 때 중요무형문화재 55호 고 천상원 소목장 아래서 소목 일을 배웠습니다.

스승과 그의 부친이 쓰던 연장도 기술과 함께 물려받았는데요. 120년 넘은 연장은 그에게 또 다른 스승이었습니다.

[김금철/소목장 : "(모서리는) 대패로 못 하니까 이렇게 해서 싹 깎습니다. 100년 더 됐습니다. 이건 우리 선생님 아버지가 쓰시던 거거든요. 먹통입니다. 옛날에는 나무를 자르려면 먹을 튕겨서 전기가 없다 보니까..."]

작업에 필요한 연장만 100여 가지.

나무를 고정하는 연장에 마루를 이어 붙인 대패 작업대, 톱날이 움직이는 톱까지 모두 직접 만든 연장인데요.

기계톱 대신 힘든 톱질을 고수하는 덴 이유가 있습니다.

["톱날이 이렇게 넓었는데 많이 써서 이렇게 닳았다 아닙니까. 기계로 켜면 톱밥으로 날아가 버려요. 그러면 농을 12개를 할 것 같으면 한 발밖에 안 나와요."]

나무의 성질과 결, 문양을 살려 화장대 일부가 나오기까지 스무 단계 넘는 공정을 거쳤습니다.

물칠 한 아교를 발라 홈에 끼운 뒤엔 줄로 고정시키는데요. 못 없이도 100년 이상을 견디는 전통방식입니다.

["못을 안 주기 때문에 줄을 당겨야만 연귀가 딱 붙거든요. 이건 왜 고정대를 대냐면 옆에 모서리 깨진다고 깨지지 말라고 댑니다."]

재료부터 제작방식까지 원형을 이어온 통영 소목의 최대 강점은 실용성입니다.

위 아래가 분리되는 건 물론 '가락지’를 만들어 밀림을 방지했습니다.

["이렇게 해놓으면 농이 밀려가지 않고 딱 그 자리에 있어요."]

나무의 기능을 살려 부위 별로 다른 나무를 배치한 것도 놀랍습니다.

["안쪽은 오동나무. 오동은 습기 차지 말라고, 옷에 냄새나지 말라고. 이게 배나무고 뒤에 붙는 게 오동이고요. 여기 감나무. 검은 감나무 흑심이고 흰 게 버드나무. 이건 느티나무고요. 발은 (단단한) 홍송이예요."]

나무를 조화롭게 연결하는 감각도 중요하지만 아자문(亞)으로도 불리는 성태 뇌문은 특히 까다로운 작업.

나무를 얇게 켜서 붙인 성곽 문양을 끼워 넣는 전통 목상감기법입니다.

["(성태뇌문) 이걸 선을 빼고 나면 사람이 몸살을 이틀을 한다고요."]

소목에 기하학적 아름다움을 더하는 장인의 수고로움 덕분에 성태뇌문은 통영 소목의 꽃으로 주목받을 수 있었습니다.

더 편리한 가구를 고민하다 통영사철버선장도 내놓는 등 잠시도 연장을 놓지 않았던 소목장에겐 바람이 있습니다.

[김금철/소목장 : "귀뇌문, 귀만 따가지고 이렇게 하는 방식도 아주 많아요. 조금만 넉넉하면 귀뇌문도 만들고 여러 가지 만들어서 후세한테 남겨줘야 하는데…. 이 일을 하다 보면 참 아름답고 진짜 좋은데 뒤따라주는 게 없다는 그런 게 있지요."]

잊혀진 전통문양을 되살려 통영 소목의 진가를 알리고 싶은 장인의 손은 여전히 빈손입니다.

하지만 비바람을 견디며 열매 맺는 나무처럼 그의 손은 강인한 나무를 닮았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