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2살 10명 중 2명 ‘언어지연’ 의심…“코로나19 영향”

입력 2022.11.19 (10:03) 수정 2022.11.19 (1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아이의 성장 과정에서 부모가 가장 주의 깊게 살피는 발달 단계 중 하나는 '언제 말을 시작하느냐' 일 겁니다.
육아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를 보면 아기가 옹알이를 시작하는 시기는 언제인지, 아기의 언어 발달 수준이 또래에 비해 늦지는 않는지 질문하는 게시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유행과 함께 시작된 마스크 착용과 비대면 생활이 언어 발달을 저해하는 것 아닌지 우려가 적지 않은데요.

앞서 교육단체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지난해 서울·경기 지역 국공립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709명, 학부모 742명 등 1,4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원장과 교사의 71.6%는 코로나19 유행이 아동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습니다. 이 가운데 언어발달이 지연됐다는 응답은 74.9%에 달해 보육 현장에서 영유아의 언어 발달에 대한 위기의식이 높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는데요.

■코로나19 첫해 탄생 어린이 약 20% '발달 지연' 의심

최근 한 연구기관의 조사를 보면 코로나19 유행이 3년째 이어지면서 실제로 아이들의 언어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일부는 상담이나 치료 등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화여대 아동발달센터가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 마포구·서대문구 육아종합지원센터와 협력해 해당 지역 63개 어린이집의 만 2살 유아를 대상으로 발달 선별 검사를 시행한 결과, 이 가운데 20%에 가까운 유아는 발달 지연이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19년에 태어난 아이 545명 가운데, 18.34%인 100명에게 발달 지연 의심 판정이 내려진 겁니다.


■"발달 지연 의심 만 2세 82%, '언어 영역' 더뎌"

이번 검사는 부모가 문항에 응답하는 일반적인 방식과 달리 센터 연구원들이 어린이집을 방문해 개인-사회성, 미세운동, 언어, 대근육운동 등 4가지 영역에서 아이들의 발달이 적절한지 관찰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는데, 발달 지연 의심되는 유아 대부분은 언어와 함께 개인-사회성 발달도 더뎠습니다. 발달 지연 의심 판정을 받은 아이 100명 중 82%는 언어 영역에서, 77%는 개인-사회성 영역에서 발달이 느린 상태였습니다. 검사 방식이나 대상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코로나19 이전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지연 의심 아동이 18%에 이르는 것은 이례적인 수치라는 게 아동발달센터 측 설명입니다.

김선경 이화여대 아동발달센터 부소장은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감염 우려로 영유아들의 일상생활 환경이 매우 제한적이었고, 이는 외부 환경 탐색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발달에 어려움을 주었을 것"이라며, "'지연 의심 유아' 모두가 발달 지연이나 장애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영유아 언어발달에 코로나19 유행이 미친 부정적 영향이 현실화하고 있는 만큼,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기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는데요.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코로나19 펜데믹 영유아 등을 대상으로 발달 지연이나 장애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이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지원책이 마련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미국 연방 교육부는 코로나19 이후 학습권 제한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다며, 장애아동에 30억 달러 이상을 지원했고,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대학장애인센터협회 (AUSD)와 함께 발달 지연 및 장애 영유아를 조기 선별해 지원하기 위해 코로나19 조기 대응 프로젝트(The Act Early Response to COVID-19 project)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서울이나 부산 등 일부 지자체나 연구기관에서 개별적으로 발달 지연 문제를 조사한 적은 있지만, 전국 단위의 전수조사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김 부소장은 검사와 진단도 중요하지만 "선별검사와 함께 필요한 서비스까지 연계해주는 포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정부의 아동 발달 지원 사업은 정부의 바우처 보조를 통해 아동발달센터에서 주로 운영되는데요. 김 부소장은 “발달 지연 바우처는 장애 의심 아동이 대상이지만, 발달 지연 의심 아동이나 경계성 지능을 가진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며 지원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만 2살 10명 중 2명 ‘언어지연’ 의심…“코로나19 영향”
    • 입력 2022-11-19 10:03:55
    • 수정2022-11-19 10:04:34
    취재K

어린아이의 성장 과정에서 부모가 가장 주의 깊게 살피는 발달 단계 중 하나는 '언제 말을 시작하느냐' 일 겁니다.
육아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를 보면 아기가 옹알이를 시작하는 시기는 언제인지, 아기의 언어 발달 수준이 또래에 비해 늦지는 않는지 질문하는 게시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유행과 함께 시작된 마스크 착용과 비대면 생활이 언어 발달을 저해하는 것 아닌지 우려가 적지 않은데요.

앞서 교육단체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지난해 서울·경기 지역 국공립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709명, 학부모 742명 등 1,4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원장과 교사의 71.6%는 코로나19 유행이 아동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습니다. 이 가운데 언어발달이 지연됐다는 응답은 74.9%에 달해 보육 현장에서 영유아의 언어 발달에 대한 위기의식이 높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는데요.

■코로나19 첫해 탄생 어린이 약 20% '발달 지연' 의심

최근 한 연구기관의 조사를 보면 코로나19 유행이 3년째 이어지면서 실제로 아이들의 언어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일부는 상담이나 치료 등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화여대 아동발달센터가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 마포구·서대문구 육아종합지원센터와 협력해 해당 지역 63개 어린이집의 만 2살 유아를 대상으로 발달 선별 검사를 시행한 결과, 이 가운데 20%에 가까운 유아는 발달 지연이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19년에 태어난 아이 545명 가운데, 18.34%인 100명에게 발달 지연 의심 판정이 내려진 겁니다.


■"발달 지연 의심 만 2세 82%, '언어 영역' 더뎌"

이번 검사는 부모가 문항에 응답하는 일반적인 방식과 달리 센터 연구원들이 어린이집을 방문해 개인-사회성, 미세운동, 언어, 대근육운동 등 4가지 영역에서 아이들의 발달이 적절한지 관찰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는데, 발달 지연 의심되는 유아 대부분은 언어와 함께 개인-사회성 발달도 더뎠습니다. 발달 지연 의심 판정을 받은 아이 100명 중 82%는 언어 영역에서, 77%는 개인-사회성 영역에서 발달이 느린 상태였습니다. 검사 방식이나 대상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코로나19 이전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지연 의심 아동이 18%에 이르는 것은 이례적인 수치라는 게 아동발달센터 측 설명입니다.

김선경 이화여대 아동발달센터 부소장은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감염 우려로 영유아들의 일상생활 환경이 매우 제한적이었고, 이는 외부 환경 탐색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발달에 어려움을 주었을 것"이라며, "'지연 의심 유아' 모두가 발달 지연이나 장애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영유아 언어발달에 코로나19 유행이 미친 부정적 영향이 현실화하고 있는 만큼,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기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는데요.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코로나19 펜데믹 영유아 등을 대상으로 발달 지연이나 장애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이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지원책이 마련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미국 연방 교육부는 코로나19 이후 학습권 제한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다며, 장애아동에 30억 달러 이상을 지원했고,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대학장애인센터협회 (AUSD)와 함께 발달 지연 및 장애 영유아를 조기 선별해 지원하기 위해 코로나19 조기 대응 프로젝트(The Act Early Response to COVID-19 project)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서울이나 부산 등 일부 지자체나 연구기관에서 개별적으로 발달 지연 문제를 조사한 적은 있지만, 전국 단위의 전수조사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김 부소장은 검사와 진단도 중요하지만 "선별검사와 함께 필요한 서비스까지 연계해주는 포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정부의 아동 발달 지원 사업은 정부의 바우처 보조를 통해 아동발달센터에서 주로 운영되는데요. 김 부소장은 “발달 지연 바우처는 장애 의심 아동이 대상이지만, 발달 지연 의심 아동이나 경계성 지능을 가진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며 지원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