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청주시, 코로나19에 남긴 돈 수천억 원 ‘논란’

입력 2022.11.21 (19:10) 수정 2022.11.21 (20: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충청북도와 청주시가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다 쓰지 못한 채 남긴 세금, 즉 순 세계 잉여금이 9천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서민 생활이 더욱 궁핍해진 상황에서 예산이 제대로 편성되고 집행됐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구병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충청북도가 남긴 예산은 5,222억 원.

청주시가 남긴 예산 3,835억 원을 더하면 연간 9,000억 원이 넘는 돈을 사용하지 못한 채 남겼습니다.

충청북도의 경우 2019년 2,800억 원대, 청주시는 2,900억 원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해마다 남긴 돈은 큰 폭으로 늘어나는 추셉니다.

이에 대해 생활과 밀접한 각종 사업 계획이 꼼꼼하지 못한 데다, 코로나19 속에서도 소극적으로 예산을 운용하는 등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회계연도 성과보고서를 통해 충청북도는 322개 사업 가운데 15%가 넘는 50개 사업이 제대로 집행되지 않았습니다.

또, 청주시도 263개 사업 가운데 20% 가까운 52개 사업이 성과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이영신/청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위원장 :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에서 지자체의 돈이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은 코로나19 재난에서 지자체가 재정 대응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방증이고요."]

자치단체가 막대한 돈을 쌓아 놓기보다는 주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등 논란이 끊이질 않는 이유입니다.

이에 대해 청주시는 단순히 남는 돈이 아니라 세수가 늘었거나 재정 건전성을 위해 보수적으로 예산을 운영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구병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북도·청주시, 코로나19에 남긴 돈 수천억 원 ‘논란’
    • 입력 2022-11-21 19:10:24
    • 수정2022-11-21 20:07:44
    뉴스7(청주)
[앵커]

충청북도와 청주시가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다 쓰지 못한 채 남긴 세금, 즉 순 세계 잉여금이 9천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서민 생활이 더욱 궁핍해진 상황에서 예산이 제대로 편성되고 집행됐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구병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충청북도가 남긴 예산은 5,222억 원.

청주시가 남긴 예산 3,835억 원을 더하면 연간 9,000억 원이 넘는 돈을 사용하지 못한 채 남겼습니다.

충청북도의 경우 2019년 2,800억 원대, 청주시는 2,900억 원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해마다 남긴 돈은 큰 폭으로 늘어나는 추셉니다.

이에 대해 생활과 밀접한 각종 사업 계획이 꼼꼼하지 못한 데다, 코로나19 속에서도 소극적으로 예산을 운용하는 등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회계연도 성과보고서를 통해 충청북도는 322개 사업 가운데 15%가 넘는 50개 사업이 제대로 집행되지 않았습니다.

또, 청주시도 263개 사업 가운데 20% 가까운 52개 사업이 성과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이영신/청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위원장 :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에서 지자체의 돈이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은 코로나19 재난에서 지자체가 재정 대응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방증이고요."]

자치단체가 막대한 돈을 쌓아 놓기보다는 주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등 논란이 끊이질 않는 이유입니다.

이에 대해 청주시는 단순히 남는 돈이 아니라 세수가 늘었거나 재정 건전성을 위해 보수적으로 예산을 운영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구병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