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무인 비행 ‘오리온’ 캡슐, 달 상공 130㎞ 최근접 비행 성공

입력 2022.11.22 (06:06) 수정 2022.11.22 (06: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위해 달 궤도까지 무인 비행을 다녀오는 임무를 수행 중인 미국의 달 탐사 캡슐 '오리온'이 달 표면에서 130㎞ 떨어진 최근접 비행에 성공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오리온이 발사 6일 만인 현지시각 21일 달 궤도에 도착해 상공 81마일(130㎞) 떨어진 지점을 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달 탐사 캡슐이 달 궤도에 도달한 것은 50년 전 NASA의 아폴로계획 이후 처음입니다.

오리온은 이날 아침 7시 44분(한국시각 21일 밤 9시 44분) '궤도 기동 시스템 엔진'을 약 2분 30초간 분사하고 달의 중력을 이용해 안정적인 궤도인 '원거리역행궤도'(DRO) 쪽으로 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오리온은 예상대로 30여 분간 지구와 통신이 두절됐고, 최근접 지점을 통과한 뒤 복구됐습니다.

NASA는 "(엔진) 분사 당시 오리온은 시속 5천23마일(8천83㎞)의 속도로 달 상공 328마일(527㎞)에 있었고, 분사 이후에는 시속 5천102마일(8천210㎞)로 81마일(130㎞)을 지나갔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달을 근접 비행할 때에는 지구로부터 23만 마일(37만 149㎞) 이상 떨어져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오리온은 원거리역행궤도(DRO) 비행 중 달의 뒷면에서 약 6만 4천㎞를 더 나아가며, 지구에서 26만 8천552 마일(43만 2천192㎞) 떨어진 곳까지 진출하게 됩니다. 성공한다면 아폴로 13호가 세운 원거리 비행 기록(약 40만㎞)을 경신하게 됩니다.

인류의 달 복귀를 목표로 한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의 첫 달 궤도 무인비행인 아르테미스Ⅰ 미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2024년 유인비행(아르테미스Ⅱ)을 거쳐 2025년이나 2026년께 아르테미스 Ⅲ를 통해 인류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가 달 남극에 착륙하게 됩니다.

[사진 출처 : NASA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달 무인 비행 ‘오리온’ 캡슐, 달 상공 130㎞ 최근접 비행 성공
    • 입력 2022-11-22 06:06:53
    • 수정2022-11-22 06:10:17
    국제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위해 달 궤도까지 무인 비행을 다녀오는 임무를 수행 중인 미국의 달 탐사 캡슐 '오리온'이 달 표면에서 130㎞ 떨어진 최근접 비행에 성공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오리온이 발사 6일 만인 현지시각 21일 달 궤도에 도착해 상공 81마일(130㎞) 떨어진 지점을 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달 탐사 캡슐이 달 궤도에 도달한 것은 50년 전 NASA의 아폴로계획 이후 처음입니다.

오리온은 이날 아침 7시 44분(한국시각 21일 밤 9시 44분) '궤도 기동 시스템 엔진'을 약 2분 30초간 분사하고 달의 중력을 이용해 안정적인 궤도인 '원거리역행궤도'(DRO) 쪽으로 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오리온은 예상대로 30여 분간 지구와 통신이 두절됐고, 최근접 지점을 통과한 뒤 복구됐습니다.

NASA는 "(엔진) 분사 당시 오리온은 시속 5천23마일(8천83㎞)의 속도로 달 상공 328마일(527㎞)에 있었고, 분사 이후에는 시속 5천102마일(8천210㎞)로 81마일(130㎞)을 지나갔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달을 근접 비행할 때에는 지구로부터 23만 마일(37만 149㎞) 이상 떨어져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오리온은 원거리역행궤도(DRO) 비행 중 달의 뒷면에서 약 6만 4천㎞를 더 나아가며, 지구에서 26만 8천552 마일(43만 2천192㎞) 떨어진 곳까지 진출하게 됩니다. 성공한다면 아폴로 13호가 세운 원거리 비행 기록(약 40만㎞)을 경신하게 됩니다.

인류의 달 복귀를 목표로 한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의 첫 달 궤도 무인비행인 아르테미스Ⅰ 미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2024년 유인비행(아르테미스Ⅱ)을 거쳐 2025년이나 2026년께 아르테미스 Ⅲ를 통해 인류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가 달 남극에 착륙하게 됩니다.

[사진 출처 : NASA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