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와 상인 협력으로 ‘동백전’ 예산 확대?

입력 2022.11.23 (07:51) 수정 2022.11.23 (08: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역 화폐 예산이 삭감돼 동백전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 나오는데요.

동백전 가맹점주는 동백전이 반드시 필요하고, 자신들이 수수료를 내더라도 동백전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강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비 전액 삭감으로 내년 예산이 올해보다 60% 이상 줄어든 동백전.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가 부산의 동백전 가맹점 7만 천 여 곳 중 7백 여 곳을 무작위로 뽑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가량이 인센티브 축소 이후, 이용 고객이 줄었고, 매출도 줄었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11%는 고객은 줄지 않았으나, 매출은 줄었다고 답해 전체 가맹점의 88%가량이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백전 가맹점주 10명 중 7명은 동백전이 계속 이어지려면 인센티브가 최소 10%가량은 유지돼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일부 가맹점주들은 동백전 캐시백 확대를 위해 추가 수수료를 부담할 수 있다고도 답했습니다.

가맹점에게 추가 수수료 2% 정도를 부담해 고객에게 인센티브를 준다면, 응답 가맹점주의 30% 이상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답했고, 52%는 구체적 정책 방향을 보고,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전혀 참여할 생각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9%에 그쳤습니다.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는 인천이 가맹점주 수수료를 걷고, 구·군 예산으로 캐시백을 늘린 것처럼, 부산도 동백전을 활성화하자고 말합니다.

[송지현/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 정책위원장 : "(인천은) 최고 17%까지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부산도 기초지자체와 소상공인들이 연동해서 부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다면 충분히 국비 예산이 없어도…."]

부산시도 상인들의 이 제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전선임/부산시 소상공인지원과장 : "(앞서) 시범사업을 통해서 이제 시스템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저희가 확인을 했고, 이번 설문 조사 결과를 봤을 때 앞으로 우리 부산시가 상인과 같이 중층구조를 만드는 데 고무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로 생각합니다."]

국비 전액 삭감이라는 최악의 상황에서, 민관이 머리를 맞대고 동백전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촬영기자:한석규/영상편집:이동훈/그래픽:김소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자체와 상인 협력으로 ‘동백전’ 예산 확대?
    • 입력 2022-11-23 07:51:38
    • 수정2022-11-23 08:57:52
    뉴스광장(부산)
[앵커]

지역 화폐 예산이 삭감돼 동백전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 나오는데요.

동백전 가맹점주는 동백전이 반드시 필요하고, 자신들이 수수료를 내더라도 동백전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강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비 전액 삭감으로 내년 예산이 올해보다 60% 이상 줄어든 동백전.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가 부산의 동백전 가맹점 7만 천 여 곳 중 7백 여 곳을 무작위로 뽑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가량이 인센티브 축소 이후, 이용 고객이 줄었고, 매출도 줄었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11%는 고객은 줄지 않았으나, 매출은 줄었다고 답해 전체 가맹점의 88%가량이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백전 가맹점주 10명 중 7명은 동백전이 계속 이어지려면 인센티브가 최소 10%가량은 유지돼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일부 가맹점주들은 동백전 캐시백 확대를 위해 추가 수수료를 부담할 수 있다고도 답했습니다.

가맹점에게 추가 수수료 2% 정도를 부담해 고객에게 인센티브를 준다면, 응답 가맹점주의 30% 이상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답했고, 52%는 구체적 정책 방향을 보고,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전혀 참여할 생각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9%에 그쳤습니다.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는 인천이 가맹점주 수수료를 걷고, 구·군 예산으로 캐시백을 늘린 것처럼, 부산도 동백전을 활성화하자고 말합니다.

[송지현/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 정책위원장 : "(인천은) 최고 17%까지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부산도 기초지자체와 소상공인들이 연동해서 부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다면 충분히 국비 예산이 없어도…."]

부산시도 상인들의 이 제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전선임/부산시 소상공인지원과장 : "(앞서) 시범사업을 통해서 이제 시스템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저희가 확인을 했고, 이번 설문 조사 결과를 봤을 때 앞으로 우리 부산시가 상인과 같이 중층구조를 만드는 데 고무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로 생각합니다."]

국비 전액 삭감이라는 최악의 상황에서, 민관이 머리를 맞대고 동백전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촬영기자:한석규/영상편집:이동훈/그래픽:김소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