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학교 비정규직 하루 파업…73개 학교 급식 차질

입력 2022.11.25 (19:31) 수정 2022.11.26 (0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학교비정규직노조가 하루 총파업에 들어간 오늘 울산에서는 전체 노동자의 17%가량이 파업에 참여했습니다.

이로 인해 73개 학교에서 급식이 차질을 빚었고, 11개 유치원에서 방과 후 과정을 하지 못했습니다.

보도에 박영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등학교의 점심 시간, 한창 바빠야 할 조리실 내부가 텅 비었고, 조리기구는 멈춰 섰습니다.

학년별로 급식실을 찾은 학생들 대부분은 각자 싸 온 도시락을 먹습니다.

일부 학생들은 학교가 마련한 샌드위치와 우유로 점심을 대체합니다.

[정채윤/울산 태화초등학교 2학년 : "급식이 맛있었는데 안 한다고 하니까 아쉬웠어요."]

급식 종사자를 비롯한 학교 비정규직 연대회의가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파업에 참여한 울산지역 학교와 기관은 전체 274곳 가운데 62%인 171곳.

급식이 중단된 학교는 73곳으로 도시락 등으로 대체한 곳이 45곳이며, 28곳은 급식을 하지 않고 수업을 단축했습니다.

초등 돌봄교실은 정상 운영됐지만, 유치원 방과 후 과정은 11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류향지/울산 태화초등학교 교사 : "'학교 종이' 앱과 안내장을 통해서 학부모님들께 미리 이 상황을 공지드렸고, 아이들이 미리 도시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를 드렸습니다."]

울산에서는 전체 학교 비정규직 4천4백여 명 가운데 17%가량인 751명이 파업에 참여했습니다.

노조는 급식실 종사자의 폐암 등 중대재해에 대한 대책 마련, 임금체계의 합리적인 개편, 또 복리후생수당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연옥/울산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대표 : "(정부와 17개 시·도 교육청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을 교육의 주체, 혹은 교육의 공동체로 보지 않고 시키면 시키는 대로 하는 여전히 비정규직, 소모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노조는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내년 신학기에도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밝혀 갈등은 지속 될 전망됩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울산 학교 비정규직 하루 파업…73개 학교 급식 차질
    • 입력 2022-11-25 19:31:58
    • 수정2022-11-26 00:01:33
    뉴스7(울산)
[앵커]

학교비정규직노조가 하루 총파업에 들어간 오늘 울산에서는 전체 노동자의 17%가량이 파업에 참여했습니다.

이로 인해 73개 학교에서 급식이 차질을 빚었고, 11개 유치원에서 방과 후 과정을 하지 못했습니다.

보도에 박영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등학교의 점심 시간, 한창 바빠야 할 조리실 내부가 텅 비었고, 조리기구는 멈춰 섰습니다.

학년별로 급식실을 찾은 학생들 대부분은 각자 싸 온 도시락을 먹습니다.

일부 학생들은 학교가 마련한 샌드위치와 우유로 점심을 대체합니다.

[정채윤/울산 태화초등학교 2학년 : "급식이 맛있었는데 안 한다고 하니까 아쉬웠어요."]

급식 종사자를 비롯한 학교 비정규직 연대회의가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파업에 참여한 울산지역 학교와 기관은 전체 274곳 가운데 62%인 171곳.

급식이 중단된 학교는 73곳으로 도시락 등으로 대체한 곳이 45곳이며, 28곳은 급식을 하지 않고 수업을 단축했습니다.

초등 돌봄교실은 정상 운영됐지만, 유치원 방과 후 과정은 11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류향지/울산 태화초등학교 교사 : "'학교 종이' 앱과 안내장을 통해서 학부모님들께 미리 이 상황을 공지드렸고, 아이들이 미리 도시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를 드렸습니다."]

울산에서는 전체 학교 비정규직 4천4백여 명 가운데 17%가량인 751명이 파업에 참여했습니다.

노조는 급식실 종사자의 폐암 등 중대재해에 대한 대책 마련, 임금체계의 합리적인 개편, 또 복리후생수당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연옥/울산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대표 : "(정부와 17개 시·도 교육청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을 교육의 주체, 혹은 교육의 공동체로 보지 않고 시키면 시키는 대로 하는 여전히 비정규직, 소모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노조는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내년 신학기에도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밝혀 갈등은 지속 될 전망됩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