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바이든, 내년 3월 ‘민주정상회의’ 공동주최…“가치외교 확대”

입력 2022.11.30 (06:06) 수정 2022.11.30 (06: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이 내년 3월 29∼30일 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공동 개최합니다. 대통령실과 미국 백악관은 각각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공동 주최국에는 한국, 미국 외에 각 대륙을 대표해 네덜란드(유럽), 잠비아(아프리카), 코스타리카(중남미)도 포함됐습니다.

백악관은 현지시각 29일 자료를 내고, "다양한 국가의 공동 주최는 책임 있고 투명하며 권리를 존중하는 거버넌스에 대한 보편적 염원을 강조해 보여준다"면서 "2차 회의에서는 민주주의의 회복성을 구축하기 위한 1차 회의 공약 이행 상황을 보여주고 추진력을 지속하기 위한 새 공약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회의에서는 자유를 수호하고 번영을 이루는 데 있어서 민주주의적 제도의 핵심 역할을 재확인하고 우리 시대 가장 급박한 도전 과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집단적 행동의 효율성을 강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민주주의 정상회의는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세계적인 권위주의 부상과 민주주의 퇴조에 대응한다는 명목으로 처음 시작했습니다.

1차 회의 때는 반부패, 탈권위주의, 인권증진 등의 의제를 놓고 110여 개국 정상이 참여했습니다. 당시 회의에서는 참가국들은 대내외적으로 민주주의를 수호·강화하기 위한 약 750건의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2차 정상회의 첫날인 내년 3월 29일에는 공동 주최국 5개국 정상이 주재하는 본회의가 화상으로 진행됩니다. 둘째 날에는 각 공동 주최국이 주도하는 지역회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한국 정부는 반부패를 주제로 인도·태평양 지역 회의를 주도하며, 각국 정부 각료뿐 아니라 학계, 시민사회 전문가 등도 두루 참여할 전망입니다.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2차 회의 공동 주최국 5개국은 공동 발표문에서 "이번 회의는 민주주의가 어떻게 시민들의 삶에 기여하고 세계의 가장 시급한 도전을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준비가 돼 있는지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尹·바이든, 내년 3월 ‘민주정상회의’ 공동주최…“가치외교 확대”
    • 입력 2022-11-30 06:06:06
    • 수정2022-11-30 06:07:47
    국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이 내년 3월 29∼30일 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공동 개최합니다. 대통령실과 미국 백악관은 각각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공동 주최국에는 한국, 미국 외에 각 대륙을 대표해 네덜란드(유럽), 잠비아(아프리카), 코스타리카(중남미)도 포함됐습니다.

백악관은 현지시각 29일 자료를 내고, "다양한 국가의 공동 주최는 책임 있고 투명하며 권리를 존중하는 거버넌스에 대한 보편적 염원을 강조해 보여준다"면서 "2차 회의에서는 민주주의의 회복성을 구축하기 위한 1차 회의 공약 이행 상황을 보여주고 추진력을 지속하기 위한 새 공약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회의에서는 자유를 수호하고 번영을 이루는 데 있어서 민주주의적 제도의 핵심 역할을 재확인하고 우리 시대 가장 급박한 도전 과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집단적 행동의 효율성을 강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민주주의 정상회의는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세계적인 권위주의 부상과 민주주의 퇴조에 대응한다는 명목으로 처음 시작했습니다.

1차 회의 때는 반부패, 탈권위주의, 인권증진 등의 의제를 놓고 110여 개국 정상이 참여했습니다. 당시 회의에서는 참가국들은 대내외적으로 민주주의를 수호·강화하기 위한 약 750건의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2차 정상회의 첫날인 내년 3월 29일에는 공동 주최국 5개국 정상이 주재하는 본회의가 화상으로 진행됩니다. 둘째 날에는 각 공동 주최국이 주도하는 지역회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한국 정부는 반부패를 주제로 인도·태평양 지역 회의를 주도하며, 각국 정부 각료뿐 아니라 학계, 시민사회 전문가 등도 두루 참여할 전망입니다.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2차 회의 공동 주최국 5개국은 공동 발표문에서 "이번 회의는 민주주의가 어떻게 시민들의 삶에 기여하고 세계의 가장 시급한 도전을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준비가 돼 있는지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