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우루무치 추모 시위, 국가안보 위협 ‘색깔혁명’의 신호”

입력 2022.11.30 (17:57) 수정 2022.11.30 (1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콩에서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에 연대하는 소규모 시위가 벌어진 가운데 당국이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30일 홍콩 공영방송 RTHK에 따르면 크리스 탕 홍콩 보안장관은 이날 입법회(의회)에 출석해 기자들에게 “중국 우루무치 화재 희생자를 추모하는 시위는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색깔혁명의 신호”라고 말했습니다.

색깔혁명은 우크라이나 ‘오렌지 혁명’, 조지아 ‘장미 혁명’, 이란 ‘녹색 혁명’ 등 구소련권을 포함해 2000년대 들어 세계 각지에서 벌어진 독립운동과 민주화 운동을 일컫는 말입니다.

탕 장관은 “일부 대학 캠퍼스와 거리에서 벌어진 일들은 희생자 추모라는 미명 아래 중국 중앙 정부를 겨냥해 다른 이들을 선동하려고 했다”며 “이는 우발적인 게 아니라 고도로 조직된 행동”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시위자들의 외친 구호에는 ‘혁명, 독재’, ‘지도자 퇴진’ 등의 단어가 포함돼 있어 국가보안법을 위반할 수 있다”며 “대학과 거리에서 우리는 이를 중앙정부에 반하는 선동의 기회로 삼으려는 자들이 있음을 목격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2019년 사회적 소요 사태를 주동했던 일부가 최근 시위에도 참여했다며, 일부 시위 참가자들이 ‘반중’ 사이트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시위를 계획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탕 장관은 “3년 전 벌어진 일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나는 발언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국가보안법 위반 가능성이 있는 해당 시위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학들은 캠퍼스가 폭도들의 기지로 다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책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27일 홍콩대에서는 약 10명의 학생이, 28일에는 홍콩중문대에서 약 100명의 학생이 백지 시위를 벌였습니다. 당국의 검열에 저항하는 의미로 시위대는 아무런 구호도 쓰지 않은 A4용지 등 백지를 들고 시위에 나서 소셜미디어(SNS)에서는 ‘백지 혁명’이란 해시태그가 달리기도 했습니다.

홍콩 명보에 따르면 29일에도 홍콩대에서 약 10명의 학생이 모여 백지 시위를 벌였습니다. 또 몽콕 인근에 10여 명이 모였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시민을 검문하고 7명의 인적 사항을 적어갔습니다.

홍콩에서는 2019년 범죄인 송환법에 반대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반년 넘게 거세게 일어났으며, 경찰은 해당 시위와 관련해 1만여 명을 체포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이 이듬해 홍콩국가보안법을 직접 제정해 시행한 후 홍콩에서는 집회·시위가 자취를 감췄습니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에 연대해 최근 홍콩에서 벌어진 시위는 규모는 작지만, 홍콩국가보안법 시행 후 처음으로 사람들이 모인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위에는 대부분 중국 본토에서 온 유학생이나 중국 출신 주민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콩 “우루무치 추모 시위, 국가안보 위협 ‘색깔혁명’의 신호”
    • 입력 2022-11-30 17:57:18
    • 수정2022-11-30 17:59:44
    국제
홍콩에서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에 연대하는 소규모 시위가 벌어진 가운데 당국이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30일 홍콩 공영방송 RTHK에 따르면 크리스 탕 홍콩 보안장관은 이날 입법회(의회)에 출석해 기자들에게 “중국 우루무치 화재 희생자를 추모하는 시위는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색깔혁명의 신호”라고 말했습니다.

색깔혁명은 우크라이나 ‘오렌지 혁명’, 조지아 ‘장미 혁명’, 이란 ‘녹색 혁명’ 등 구소련권을 포함해 2000년대 들어 세계 각지에서 벌어진 독립운동과 민주화 운동을 일컫는 말입니다.

탕 장관은 “일부 대학 캠퍼스와 거리에서 벌어진 일들은 희생자 추모라는 미명 아래 중국 중앙 정부를 겨냥해 다른 이들을 선동하려고 했다”며 “이는 우발적인 게 아니라 고도로 조직된 행동”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시위자들의 외친 구호에는 ‘혁명, 독재’, ‘지도자 퇴진’ 등의 단어가 포함돼 있어 국가보안법을 위반할 수 있다”며 “대학과 거리에서 우리는 이를 중앙정부에 반하는 선동의 기회로 삼으려는 자들이 있음을 목격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2019년 사회적 소요 사태를 주동했던 일부가 최근 시위에도 참여했다며, 일부 시위 참가자들이 ‘반중’ 사이트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시위를 계획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탕 장관은 “3년 전 벌어진 일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나는 발언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국가보안법 위반 가능성이 있는 해당 시위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학들은 캠퍼스가 폭도들의 기지로 다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책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27일 홍콩대에서는 약 10명의 학생이, 28일에는 홍콩중문대에서 약 100명의 학생이 백지 시위를 벌였습니다. 당국의 검열에 저항하는 의미로 시위대는 아무런 구호도 쓰지 않은 A4용지 등 백지를 들고 시위에 나서 소셜미디어(SNS)에서는 ‘백지 혁명’이란 해시태그가 달리기도 했습니다.

홍콩 명보에 따르면 29일에도 홍콩대에서 약 10명의 학생이 모여 백지 시위를 벌였습니다. 또 몽콕 인근에 10여 명이 모였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시민을 검문하고 7명의 인적 사항을 적어갔습니다.

홍콩에서는 2019년 범죄인 송환법에 반대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반년 넘게 거세게 일어났으며, 경찰은 해당 시위와 관련해 1만여 명을 체포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이 이듬해 홍콩국가보안법을 직접 제정해 시행한 후 홍콩에서는 집회·시위가 자취를 감췄습니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에 연대해 최근 홍콩에서 벌어진 시위는 규모는 작지만, 홍콩국가보안법 시행 후 처음으로 사람들이 모인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위에는 대부분 중국 본토에서 온 유학생이나 중국 출신 주민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