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베트남과 공급망 협력 강화…1천억 달러 교역 달성”
입력 2022.12.06 (10:19)
수정 2022.12.06 (10: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베트남이 내년 교역 규모를 1천억 달러 상당으로 끌어올리는 등 공급망 분야에서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합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한국과 베트남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관계를 격상한 만큼 함께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30년을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선 팬데믹 확산과 경제 블록화 등으로 경제안보를 위한 한국과 베트남 간 공급망 협력이 중요해진 만큼,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을 통해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요소수 대란 당시 베트남이 한국에 요소 5천t을 공급하고 한국은 베트남에 코로나19 백신을 공여한 바 있습니다.
추 부총리는 “양국 간 통상 협력의 외연도 더 확대해야 한다”면서 “내년에는 양국 간 교역 규모를 1천억 달러까지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과 베트남 간 교역 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807억 달러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베트남 정부와 소통(G2G)을 강화하고 무역금융을 확대하며 세관·통관도 개선할 예정입니다.
추 부총리는 “그린·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스마트시티, 정보통신기술(ICT), 신재생 에너지, 환경 인프라 분야 등 협력도 확장하자”며 “우리는 기후변화, 신산업 등장에 따른 대전환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한국과 베트남도 함께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한국과 베트남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관계를 격상한 만큼 함께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30년을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선 팬데믹 확산과 경제 블록화 등으로 경제안보를 위한 한국과 베트남 간 공급망 협력이 중요해진 만큼,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을 통해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요소수 대란 당시 베트남이 한국에 요소 5천t을 공급하고 한국은 베트남에 코로나19 백신을 공여한 바 있습니다.
추 부총리는 “양국 간 통상 협력의 외연도 더 확대해야 한다”면서 “내년에는 양국 간 교역 규모를 1천억 달러까지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과 베트남 간 교역 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807억 달러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베트남 정부와 소통(G2G)을 강화하고 무역금융을 확대하며 세관·통관도 개선할 예정입니다.
추 부총리는 “그린·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스마트시티, 정보통신기술(ICT), 신재생 에너지, 환경 인프라 분야 등 협력도 확장하자”며 “우리는 기후변화, 신산업 등장에 따른 대전환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한국과 베트남도 함께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경호 “베트남과 공급망 협력 강화…1천억 달러 교역 달성”
-
- 입력 2022-12-06 10:19:48
- 수정2022-12-06 10:20:06

한국과 베트남이 내년 교역 규모를 1천억 달러 상당으로 끌어올리는 등 공급망 분야에서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합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한국과 베트남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관계를 격상한 만큼 함께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30년을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선 팬데믹 확산과 경제 블록화 등으로 경제안보를 위한 한국과 베트남 간 공급망 협력이 중요해진 만큼,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을 통해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요소수 대란 당시 베트남이 한국에 요소 5천t을 공급하고 한국은 베트남에 코로나19 백신을 공여한 바 있습니다.
추 부총리는 “양국 간 통상 협력의 외연도 더 확대해야 한다”면서 “내년에는 양국 간 교역 규모를 1천억 달러까지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과 베트남 간 교역 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807억 달러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베트남 정부와 소통(G2G)을 강화하고 무역금융을 확대하며 세관·통관도 개선할 예정입니다.
추 부총리는 “그린·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스마트시티, 정보통신기술(ICT), 신재생 에너지, 환경 인프라 분야 등 협력도 확장하자”며 “우리는 기후변화, 신산업 등장에 따른 대전환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한국과 베트남도 함께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한국과 베트남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관계를 격상한 만큼 함께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30년을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선 팬데믹 확산과 경제 블록화 등으로 경제안보를 위한 한국과 베트남 간 공급망 협력이 중요해진 만큼,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을 통해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요소수 대란 당시 베트남이 한국에 요소 5천t을 공급하고 한국은 베트남에 코로나19 백신을 공여한 바 있습니다.
추 부총리는 “양국 간 통상 협력의 외연도 더 확대해야 한다”면서 “내년에는 양국 간 교역 규모를 1천억 달러까지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과 베트남 간 교역 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807억 달러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베트남 정부와 소통(G2G)을 강화하고 무역금융을 확대하며 세관·통관도 개선할 예정입니다.
추 부총리는 “그린·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스마트시티, 정보통신기술(ICT), 신재생 에너지, 환경 인프라 분야 등 협력도 확장하자”며 “우리는 기후변화, 신산업 등장에 따른 대전환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한국과 베트남도 함께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박혜진 기자 root@kbs.co.kr
박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