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트램 재검토 결과 ‘100% 무가선’ 유력

입력 2022.12.06 (10:53) 수정 2022.12.06 (1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올해 초, 가선 구간을 포함한 배터리 트램으로 확정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또다시 격랑에 휩싸였습니다.

지난 지방선거 이후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진행 중이던 설계를 중단했는데, 대전시가 38km 전 구간을 무가선으로 하고 트램 기종을 또다시 변경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성용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숱한 부침을 겪으며 26년을 끌어온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사업.

올 초, 전체 38km 노선 중 1/3구간에 가선을 설치하는 배터리 트램으로 기종을 확정했지만 이장우 시장 취임 뒤 또다시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최근까지 국내외 트램 사업자들로부터 기술 제안을 받은 대전시는 다시 한번 방향을 틀어 전 구간을 무가선으로 운행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도시 경관을 첫 번째로 고려한 겁니다.

이에 따라 앞서 확정한 배터리 트램은 기술 문제로 일부 구간에 가선 도입이 불가피한 만큼 폐기 또는 구간 축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울산에서 시범 운행 중인 수소트램이나 바닥에 설치한 가선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지면 급전 방식을 새로 도입하는 안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다만 수소트램은 가격이 비싸고 지면 급전 방식은 프랑스 기업의 독점 기술로 국내 대체기술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대전시는 이런 내용을 포함해 변경된 트램 계획을 이달 안에 다시 발표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이미 지난 6월, 사업비가 1조 4천억 원으로 두 배 이상 폭증했다며 개통을 2028년으로 미뤘는데, 트램 기종 변경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와 예산 증액 문제가 또다시 발목을 잡지 않을지 우려가 나옵니다.

대전시는 예산 증가로 인한 적정성 재검토 등 후속 행정절차는 정부에 생략을 요청해 완공 시점을 맞춘다는 계획입니다.

적정성 재검토가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고 트램 도입 사례가 전무해 사업비 산정에 한계가 있었던 점 등을 내세워 기재부와 사전 협의를 하고 있습니다.

이미 저심도 경전철 방식으로 도시철도 2호선 공사를 시작한 광주광역시는 사업비가 2조 8천억 원으로 대전 트램의 두 배에 달하는 점을 들어 지역 간 형평성 문제도 지적할 계획입니다.

[조철휘/대전시 철도광역교통본부장 : "다른 도시와 비교해서 연장이라든지 차량 수가 (인구 대비) 현저히 적은 게 사실입니다. 실제로 서울이나 부산의 1/3 정도에 해당하고요."]

서울 위례선과 부산 오륙도선 등 대전시와 함께 트램 도입을 추진하던 다른 지자체들은 이미 상당 부분 행정 절차가 진행돼 착공을 앞둔 가운데 대전 트램이 또다시 변곡점을 맞았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전 트램 재검토 결과 ‘100% 무가선’ 유력
    • 입력 2022-12-06 10:53:37
    • 수정2022-12-06 11:32:49
    930뉴스(대전)
[앵커]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올해 초, 가선 구간을 포함한 배터리 트램으로 확정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또다시 격랑에 휩싸였습니다.

지난 지방선거 이후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진행 중이던 설계를 중단했는데, 대전시가 38km 전 구간을 무가선으로 하고 트램 기종을 또다시 변경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성용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숱한 부침을 겪으며 26년을 끌어온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사업.

올 초, 전체 38km 노선 중 1/3구간에 가선을 설치하는 배터리 트램으로 기종을 확정했지만 이장우 시장 취임 뒤 또다시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최근까지 국내외 트램 사업자들로부터 기술 제안을 받은 대전시는 다시 한번 방향을 틀어 전 구간을 무가선으로 운행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도시 경관을 첫 번째로 고려한 겁니다.

이에 따라 앞서 확정한 배터리 트램은 기술 문제로 일부 구간에 가선 도입이 불가피한 만큼 폐기 또는 구간 축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울산에서 시범 운행 중인 수소트램이나 바닥에 설치한 가선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지면 급전 방식을 새로 도입하는 안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다만 수소트램은 가격이 비싸고 지면 급전 방식은 프랑스 기업의 독점 기술로 국내 대체기술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대전시는 이런 내용을 포함해 변경된 트램 계획을 이달 안에 다시 발표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이미 지난 6월, 사업비가 1조 4천억 원으로 두 배 이상 폭증했다며 개통을 2028년으로 미뤘는데, 트램 기종 변경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와 예산 증액 문제가 또다시 발목을 잡지 않을지 우려가 나옵니다.

대전시는 예산 증가로 인한 적정성 재검토 등 후속 행정절차는 정부에 생략을 요청해 완공 시점을 맞춘다는 계획입니다.

적정성 재검토가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고 트램 도입 사례가 전무해 사업비 산정에 한계가 있었던 점 등을 내세워 기재부와 사전 협의를 하고 있습니다.

이미 저심도 경전철 방식으로 도시철도 2호선 공사를 시작한 광주광역시는 사업비가 2조 8천억 원으로 대전 트램의 두 배에 달하는 점을 들어 지역 간 형평성 문제도 지적할 계획입니다.

[조철휘/대전시 철도광역교통본부장 : "다른 도시와 비교해서 연장이라든지 차량 수가 (인구 대비) 현저히 적은 게 사실입니다. 실제로 서울이나 부산의 1/3 정도에 해당하고요."]

서울 위례선과 부산 오륙도선 등 대전시와 함께 트램 도입을 추진하던 다른 지자체들은 이미 상당 부분 행정 절차가 진행돼 착공을 앞둔 가운데 대전 트램이 또다시 변곡점을 맞았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