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이중화 제대로 안 됐다” 정부 공식 확인

입력 2022.12.07 (06:44) 수정 2022.12.07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두 달 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와 네이버 서비스가 장애를 빚으며 우리 일상도 멈춰 서다시피 했습니다.

정부의 공식 조사 결과가 나왔는데요, 화재가 난 배터리와 비상전원장치가 인접해 있었고, 카카오는 서비스 이중화가 제대로 안 돼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보도에 지형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메시지 주고받기부터 결제 등 연관된 모든 서비스가 먹통이 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조사에 나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불이 시작된 리튬이온 배터리와 일부 비상 전원 공급장치가 분리되지 않은 곳에 있었다고 확인했습니다.

화재로 이 장치가 멈추며 일부 전원이 끊기고, 전력선마저 손상됐고, 물을 뿌려야 하는데 특정 구역만 차단하는 스위치를 못 찾아 전원을 선별적으로 끄지 못하면서 사태가 커졌습니다.

네이버 서비스 대부분은 12시간 내 정상화됐지만 카카오 주요 서비스는 127시간 30분간 장애를 빚었습니다.

차이는 이중화의 완성도.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 조치를 해놨습니다.

카카오도 화재가 난 판교 데이터센터 서버를 동작, 다른 서버를 대기로 이중화는 해놨는데, 대기 서버를 깨우는 권한을 판교에만 두는 바람에 제때 가동하지 못했습니다.

여러 서비스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장치들에 대한 이중화도 미흡했습니다.

[이종호/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여러 서비스의 구동에 필요한 카카오인증과 같은 핵심기능도 판교 센터에 집중되어 여러 서비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 원인이 되었습니다."]

데이터센터에 화재 대비 메뉴얼은 있었지만 모의 훈련은 없었고, 카카오도 재난 대비 훈련은 했지만, 데이터센터 전체가 멈추는 수준의 대형 사태에 대한 대비는 부족했습니다.

과기부는 데이터센터를 관리하는 sk c&c와 카카오, 네이버에 한 달 내에 개선 조치를 보고하라고 했습니다.

한편 이번 사태의 시작인 배터리 발화 원인은 아직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단 이유로 발표에서 빠졌습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영상편집:김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카카오 이중화 제대로 안 됐다” 정부 공식 확인
    • 입력 2022-12-07 06:44:43
    • 수정2022-12-07 08:03:35
    뉴스광장 1부
[앵커]

두 달 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와 네이버 서비스가 장애를 빚으며 우리 일상도 멈춰 서다시피 했습니다.

정부의 공식 조사 결과가 나왔는데요, 화재가 난 배터리와 비상전원장치가 인접해 있었고, 카카오는 서비스 이중화가 제대로 안 돼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보도에 지형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메시지 주고받기부터 결제 등 연관된 모든 서비스가 먹통이 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조사에 나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불이 시작된 리튬이온 배터리와 일부 비상 전원 공급장치가 분리되지 않은 곳에 있었다고 확인했습니다.

화재로 이 장치가 멈추며 일부 전원이 끊기고, 전력선마저 손상됐고, 물을 뿌려야 하는데 특정 구역만 차단하는 스위치를 못 찾아 전원을 선별적으로 끄지 못하면서 사태가 커졌습니다.

네이버 서비스 대부분은 12시간 내 정상화됐지만 카카오 주요 서비스는 127시간 30분간 장애를 빚었습니다.

차이는 이중화의 완성도.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 조치를 해놨습니다.

카카오도 화재가 난 판교 데이터센터 서버를 동작, 다른 서버를 대기로 이중화는 해놨는데, 대기 서버를 깨우는 권한을 판교에만 두는 바람에 제때 가동하지 못했습니다.

여러 서비스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장치들에 대한 이중화도 미흡했습니다.

[이종호/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여러 서비스의 구동에 필요한 카카오인증과 같은 핵심기능도 판교 센터에 집중되어 여러 서비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 원인이 되었습니다."]

데이터센터에 화재 대비 메뉴얼은 있었지만 모의 훈련은 없었고, 카카오도 재난 대비 훈련은 했지만, 데이터센터 전체가 멈추는 수준의 대형 사태에 대한 대비는 부족했습니다.

과기부는 데이터센터를 관리하는 sk c&c와 카카오, 네이버에 한 달 내에 개선 조치를 보고하라고 했습니다.

한편 이번 사태의 시작인 배터리 발화 원인은 아직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단 이유로 발표에서 빠졌습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영상편집:김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