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피해자 “심한 자괴감”…‘디지털 역기능’ 지원 절실
입력 2022.12.07 (19:16)
수정 2022.12.07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금융사기 등 디지털 범죄의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고, 피해자들은 일상 회복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물질적 손해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상당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 디지털 역기능 피해 사례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존 대출을 저금리로 바꿔 준다는 문자를 받은 50대 자영업자 김 모 씨.
인근 은행과 금융감독원에 직접 전화를 걸어 정상적인 대출 상품이라고 확인하고 천7백만 원을 건넸지만, 결국, 사기였습니다.
문자메시지 속 링크를 누르면서 악성앱이 설치됐고, 금감원과 은행에 건 확인 전화는 모두 보이스피싱 일당에게로 연결됐던 겁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음성변조 : "완전히 세뇌가 된 거예요. 물론 돈도 아깝지만 그보다도 사실은 더 악영향을 주는 것은 자괴감이죠. 자기 자신에 대한..."]
이런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7천7백여억 원으로 해마다 증가세에 있고 물질적 손해에 더해 피해자 10명 중 8명은 우울감이나 스트레스 등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범죄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인 심리 치료가 필요한 이윱니다.
[박소라/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범죄에 어이없이 노출됐다라는 것 때문에 상당하게 많은 자괴감에 빠지게 되고 아무런 도움이 없이 지나가게 된다면 그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가 없게 되고요."]
관련 업계에선 보이스피싱 사전 탐지 기술과 소비자가 쉽게 정보의 진위를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도 서두르고 있습니다.
[유경식/보이스피싱 사전 탐지 업체 대표 : "주거래 은행에 그 정보를 보내서 금융사에서 차단하도록 하는 거고 그 다음에 경찰한테도 그 정보를 제공을 하고…."]
디지털 윤리 교육을 강화해 스스로를 보호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도 디지털 역기능을 막아내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김제원·이중우/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고석훈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금융사기 등 디지털 범죄의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고, 피해자들은 일상 회복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물질적 손해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상당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 디지털 역기능 피해 사례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존 대출을 저금리로 바꿔 준다는 문자를 받은 50대 자영업자 김 모 씨.
인근 은행과 금융감독원에 직접 전화를 걸어 정상적인 대출 상품이라고 확인하고 천7백만 원을 건넸지만, 결국, 사기였습니다.
문자메시지 속 링크를 누르면서 악성앱이 설치됐고, 금감원과 은행에 건 확인 전화는 모두 보이스피싱 일당에게로 연결됐던 겁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음성변조 : "완전히 세뇌가 된 거예요. 물론 돈도 아깝지만 그보다도 사실은 더 악영향을 주는 것은 자괴감이죠. 자기 자신에 대한..."]
이런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7천7백여억 원으로 해마다 증가세에 있고 물질적 손해에 더해 피해자 10명 중 8명은 우울감이나 스트레스 등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범죄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인 심리 치료가 필요한 이윱니다.
[박소라/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범죄에 어이없이 노출됐다라는 것 때문에 상당하게 많은 자괴감에 빠지게 되고 아무런 도움이 없이 지나가게 된다면 그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가 없게 되고요."]
관련 업계에선 보이스피싱 사전 탐지 기술과 소비자가 쉽게 정보의 진위를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도 서두르고 있습니다.
[유경식/보이스피싱 사전 탐지 업체 대표 : "주거래 은행에 그 정보를 보내서 금융사에서 차단하도록 하는 거고 그 다음에 경찰한테도 그 정보를 제공을 하고…."]
디지털 윤리 교육을 강화해 스스로를 보호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도 디지털 역기능을 막아내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김제원·이중우/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이스피싱 피해자 “심한 자괴감”…‘디지털 역기능’ 지원 절실
-
- 입력 2022-12-07 19:16:21
- 수정2022-12-07 19:26:27
[앵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금융사기 등 디지털 범죄의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고, 피해자들은 일상 회복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물질적 손해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상당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 디지털 역기능 피해 사례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존 대출을 저금리로 바꿔 준다는 문자를 받은 50대 자영업자 김 모 씨.
인근 은행과 금융감독원에 직접 전화를 걸어 정상적인 대출 상품이라고 확인하고 천7백만 원을 건넸지만, 결국, 사기였습니다.
문자메시지 속 링크를 누르면서 악성앱이 설치됐고, 금감원과 은행에 건 확인 전화는 모두 보이스피싱 일당에게로 연결됐던 겁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음성변조 : "완전히 세뇌가 된 거예요. 물론 돈도 아깝지만 그보다도 사실은 더 악영향을 주는 것은 자괴감이죠. 자기 자신에 대한..."]
이런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7천7백여억 원으로 해마다 증가세에 있고 물질적 손해에 더해 피해자 10명 중 8명은 우울감이나 스트레스 등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범죄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인 심리 치료가 필요한 이윱니다.
[박소라/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범죄에 어이없이 노출됐다라는 것 때문에 상당하게 많은 자괴감에 빠지게 되고 아무런 도움이 없이 지나가게 된다면 그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가 없게 되고요."]
관련 업계에선 보이스피싱 사전 탐지 기술과 소비자가 쉽게 정보의 진위를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도 서두르고 있습니다.
[유경식/보이스피싱 사전 탐지 업체 대표 : "주거래 은행에 그 정보를 보내서 금융사에서 차단하도록 하는 거고 그 다음에 경찰한테도 그 정보를 제공을 하고…."]
디지털 윤리 교육을 강화해 스스로를 보호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도 디지털 역기능을 막아내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김제원·이중우/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고석훈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금융사기 등 디지털 범죄의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고, 피해자들은 일상 회복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물질적 손해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상당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 디지털 역기능 피해 사례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존 대출을 저금리로 바꿔 준다는 문자를 받은 50대 자영업자 김 모 씨.
인근 은행과 금융감독원에 직접 전화를 걸어 정상적인 대출 상품이라고 확인하고 천7백만 원을 건넸지만, 결국, 사기였습니다.
문자메시지 속 링크를 누르면서 악성앱이 설치됐고, 금감원과 은행에 건 확인 전화는 모두 보이스피싱 일당에게로 연결됐던 겁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음성변조 : "완전히 세뇌가 된 거예요. 물론 돈도 아깝지만 그보다도 사실은 더 악영향을 주는 것은 자괴감이죠. 자기 자신에 대한..."]
이런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7천7백여억 원으로 해마다 증가세에 있고 물질적 손해에 더해 피해자 10명 중 8명은 우울감이나 스트레스 등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범죄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인 심리 치료가 필요한 이윱니다.
[박소라/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범죄에 어이없이 노출됐다라는 것 때문에 상당하게 많은 자괴감에 빠지게 되고 아무런 도움이 없이 지나가게 된다면 그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가 없게 되고요."]
관련 업계에선 보이스피싱 사전 탐지 기술과 소비자가 쉽게 정보의 진위를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도 서두르고 있습니다.
[유경식/보이스피싱 사전 탐지 업체 대표 : "주거래 은행에 그 정보를 보내서 금융사에서 차단하도록 하는 거고 그 다음에 경찰한테도 그 정보를 제공을 하고…."]
디지털 윤리 교육을 강화해 스스로를 보호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도 디지털 역기능을 막아내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김제원·이중우/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고석훈
-
-
김유대 기자 ydkim@kbs.co.kr
김유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