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태원 참사 다음날, 대통령 주재 회의서 “‘압사’ 단어 빼라” 결정
입력 2022.12.07 (23:54)
수정 2022.12.08 (00: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희생자'가 아닌 '사망자'로 쓰라는 등의 정부 지침이 나와 논란이 일었었죠.
그런데 이번엔 참사 다음 날,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라는 결정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참사 수습이 다급한 시점에 파장 축소에 급급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이튿날 오전,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긴급 소집된 중대본 회의.
희생자 장례 지원, 국가애도기간 선포 등과 함께 이번 참사를 어떻게 부를지 '명칭'을 둘러싼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KBS 취재 결과, 이 자리에서 정부는 사고 명칭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결정은 같은날 오후, 사고 수습을 위해 모인 유관기관 관계자들의 메신저 대화방에도 그대로 전파됐습니다.
복지부 국장급 간부가 "대통령 주재 회의 결과"라며 '압사'라는 말을 제외하고 '이태원 사고'로 적어달라고 요청하자 즉각 "변경하겠다"는 답변이 돌아옵니다.
이 간부는 KBS와의 통화에서 "중대본 회의에서 그렇게 용어를 쓰자고 해 전달만 한 것"이라며 "보고서 제목을 통일하자는 취지"였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참사 당일부터 시민들이 '압사'를 언급하는 112신고가 잇따른 상황에서 부적절한 지시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현영/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더불어민주당 : "10·29 참사의 본질을 교묘하게 왜곡하고 사실을 축소시키려는 의도는 아니었는지 밝혀져야 할 것입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중대본 회의 직전 참사 현장을 방문해 사고 원인으로 '압사'가 아닌 '뇌진탕'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박홍근/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달 8일 : "그때는 다 압사라고 그렇게 나왔잖아요. 마치 아무것도 사전 보고가 없었다는 듯이 뇌진탕을 언급한 게 적절했다고 보십니까?"]
[김대기/대통령 비서실장 : "아니, 하도 언덕이 높고 해 가지고..."]
한편 정부는 '압사'라는 말을 사고 명칭에서 제외하기로 한 비슷한 시점에 '참사' 대신 '사고', '피해자' 대신 '사망자' 등 객관적 용어를 사용하라는 지침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서수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희생자'가 아닌 '사망자'로 쓰라는 등의 정부 지침이 나와 논란이 일었었죠.
그런데 이번엔 참사 다음 날,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라는 결정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참사 수습이 다급한 시점에 파장 축소에 급급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이튿날 오전,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긴급 소집된 중대본 회의.
희생자 장례 지원, 국가애도기간 선포 등과 함께 이번 참사를 어떻게 부를지 '명칭'을 둘러싼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KBS 취재 결과, 이 자리에서 정부는 사고 명칭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결정은 같은날 오후, 사고 수습을 위해 모인 유관기관 관계자들의 메신저 대화방에도 그대로 전파됐습니다.
복지부 국장급 간부가 "대통령 주재 회의 결과"라며 '압사'라는 말을 제외하고 '이태원 사고'로 적어달라고 요청하자 즉각 "변경하겠다"는 답변이 돌아옵니다.
이 간부는 KBS와의 통화에서 "중대본 회의에서 그렇게 용어를 쓰자고 해 전달만 한 것"이라며 "보고서 제목을 통일하자는 취지"였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참사 당일부터 시민들이 '압사'를 언급하는 112신고가 잇따른 상황에서 부적절한 지시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현영/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더불어민주당 : "10·29 참사의 본질을 교묘하게 왜곡하고 사실을 축소시키려는 의도는 아니었는지 밝혀져야 할 것입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중대본 회의 직전 참사 현장을 방문해 사고 원인으로 '압사'가 아닌 '뇌진탕'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박홍근/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달 8일 : "그때는 다 압사라고 그렇게 나왔잖아요. 마치 아무것도 사전 보고가 없었다는 듯이 뇌진탕을 언급한 게 적절했다고 보십니까?"]
[김대기/대통령 비서실장 : "아니, 하도 언덕이 높고 해 가지고..."]
한편 정부는 '압사'라는 말을 사고 명칭에서 제외하기로 한 비슷한 시점에 '참사' 대신 '사고', '피해자' 대신 '사망자' 등 객관적 용어를 사용하라는 지침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이태원 참사 다음날, 대통령 주재 회의서 “‘압사’ 단어 빼라” 결정
-
- 입력 2022-12-07 23:54:47
- 수정2022-12-08 00:12:49
[앵커]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희생자'가 아닌 '사망자'로 쓰라는 등의 정부 지침이 나와 논란이 일었었죠.
그런데 이번엔 참사 다음 날,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라는 결정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참사 수습이 다급한 시점에 파장 축소에 급급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이튿날 오전,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긴급 소집된 중대본 회의.
희생자 장례 지원, 국가애도기간 선포 등과 함께 이번 참사를 어떻게 부를지 '명칭'을 둘러싼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KBS 취재 결과, 이 자리에서 정부는 사고 명칭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결정은 같은날 오후, 사고 수습을 위해 모인 유관기관 관계자들의 메신저 대화방에도 그대로 전파됐습니다.
복지부 국장급 간부가 "대통령 주재 회의 결과"라며 '압사'라는 말을 제외하고 '이태원 사고'로 적어달라고 요청하자 즉각 "변경하겠다"는 답변이 돌아옵니다.
이 간부는 KBS와의 통화에서 "중대본 회의에서 그렇게 용어를 쓰자고 해 전달만 한 것"이라며 "보고서 제목을 통일하자는 취지"였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참사 당일부터 시민들이 '압사'를 언급하는 112신고가 잇따른 상황에서 부적절한 지시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현영/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더불어민주당 : "10·29 참사의 본질을 교묘하게 왜곡하고 사실을 축소시키려는 의도는 아니었는지 밝혀져야 할 것입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중대본 회의 직전 참사 현장을 방문해 사고 원인으로 '압사'가 아닌 '뇌진탕'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박홍근/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달 8일 : "그때는 다 압사라고 그렇게 나왔잖아요. 마치 아무것도 사전 보고가 없었다는 듯이 뇌진탕을 언급한 게 적절했다고 보십니까?"]
[김대기/대통령 비서실장 : "아니, 하도 언덕이 높고 해 가지고..."]
한편 정부는 '압사'라는 말을 사고 명칭에서 제외하기로 한 비슷한 시점에 '참사' 대신 '사고', '피해자' 대신 '사망자' 등 객관적 용어를 사용하라는 지침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서수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희생자'가 아닌 '사망자'로 쓰라는 등의 정부 지침이 나와 논란이 일었었죠.
그런데 이번엔 참사 다음 날,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라는 결정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참사 수습이 다급한 시점에 파장 축소에 급급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이튿날 오전,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긴급 소집된 중대본 회의.
희생자 장례 지원, 국가애도기간 선포 등과 함께 이번 참사를 어떻게 부를지 '명칭'을 둘러싼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KBS 취재 결과, 이 자리에서 정부는 사고 명칭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결정은 같은날 오후, 사고 수습을 위해 모인 유관기관 관계자들의 메신저 대화방에도 그대로 전파됐습니다.
복지부 국장급 간부가 "대통령 주재 회의 결과"라며 '압사'라는 말을 제외하고 '이태원 사고'로 적어달라고 요청하자 즉각 "변경하겠다"는 답변이 돌아옵니다.
이 간부는 KBS와의 통화에서 "중대본 회의에서 그렇게 용어를 쓰자고 해 전달만 한 것"이라며 "보고서 제목을 통일하자는 취지"였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참사 당일부터 시민들이 '압사'를 언급하는 112신고가 잇따른 상황에서 부적절한 지시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현영/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더불어민주당 : "10·29 참사의 본질을 교묘하게 왜곡하고 사실을 축소시키려는 의도는 아니었는지 밝혀져야 할 것입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중대본 회의 직전 참사 현장을 방문해 사고 원인으로 '압사'가 아닌 '뇌진탕'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박홍근/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달 8일 : "그때는 다 압사라고 그렇게 나왔잖아요. 마치 아무것도 사전 보고가 없었다는 듯이 뇌진탕을 언급한 게 적절했다고 보십니까?"]
[김대기/대통령 비서실장 : "아니, 하도 언덕이 높고 해 가지고..."]
한편 정부는 '압사'라는 말을 사고 명칭에서 제외하기로 한 비슷한 시점에 '참사' 대신 '사고', '피해자' 대신 '사망자' 등 객관적 용어를 사용하라는 지침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서수민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