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어떻게 끄나?…강원소방 진압 실험

입력 2022.12.15 (21:46) 수정 2022.12.15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화재도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문제는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가 계속 타들어 가서 불을 끄기가 무척 힘들다는 점인데요.

강원도소방본부가 어떻게 하면 전기차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을지 이런저런 실험을 해 봤습니다.

이현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기차에 불이 났습니다.

금세 시뻘건 불길이 차량을 휘감고, 검은 연기가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옵니다.

눈이 내리고 있는데도 불길은 계속 타오릅니다.

먼저, 일반적인 진화 방식, 물을 뿌려봅니다.

차량 두 대를 동원해 세찬 물줄기를 뿜어내는데도 불길은 사그라들지 않습니다.

[강영석/화재진압훈련 지휘자 : "(전기차 진화에는) 30분 이상 아니면 2시간 정도 걸립니다. 배터리 화재 발생으로 열 폭주가 일어나게 되면, 저희가 금방 진화를 할 수 없습니다."]

이번엔 '질식 소화포'.

차에 차단막을 덮어씌워 공기 유입을 막는 방식입니다.

여기에 물을 계속 뿌리면서 10분 정도를 덮어놨지만, 막을 열자마자 또다시 불길이 치솟습니다.

이번엔 수조가 동원됐습니다.

뒤로 보이는 것처럼 차를 수영장 물에 빠트려놓듯이, 물에 담가서 불을 끄고 있습니다.

불이 난 차량을 통째로 물속에 담가봅니다.

처음으로 불길이 완전히 잡힙니다.

현재로선 전기차 화재엔 수조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엄재현/강원도소방학교 교육훈련과장 : "새로운 장비를 또 시연하고, 그다음에 화재 진압, 그리고 또 감식을 통해서, 화재 단계별 감식을 통해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에 임하고자."]

하지만, 또 다른 고민거리가 생겼습니다.

지금의 기술 수준에서 수조를 사용할 경우, 출동 인력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점입니다.

수조 하나를 쓰는데, 소방관이 10명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화면제공:강원도소방본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기차 화재, 어떻게 끄나?…강원소방 진압 실험
    • 입력 2022-12-15 21:46:03
    • 수정2022-12-15 22:13:37
    뉴스9(춘천)
[앵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화재도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문제는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가 계속 타들어 가서 불을 끄기가 무척 힘들다는 점인데요.

강원도소방본부가 어떻게 하면 전기차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을지 이런저런 실험을 해 봤습니다.

이현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기차에 불이 났습니다.

금세 시뻘건 불길이 차량을 휘감고, 검은 연기가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옵니다.

눈이 내리고 있는데도 불길은 계속 타오릅니다.

먼저, 일반적인 진화 방식, 물을 뿌려봅니다.

차량 두 대를 동원해 세찬 물줄기를 뿜어내는데도 불길은 사그라들지 않습니다.

[강영석/화재진압훈련 지휘자 : "(전기차 진화에는) 30분 이상 아니면 2시간 정도 걸립니다. 배터리 화재 발생으로 열 폭주가 일어나게 되면, 저희가 금방 진화를 할 수 없습니다."]

이번엔 '질식 소화포'.

차에 차단막을 덮어씌워 공기 유입을 막는 방식입니다.

여기에 물을 계속 뿌리면서 10분 정도를 덮어놨지만, 막을 열자마자 또다시 불길이 치솟습니다.

이번엔 수조가 동원됐습니다.

뒤로 보이는 것처럼 차를 수영장 물에 빠트려놓듯이, 물에 담가서 불을 끄고 있습니다.

불이 난 차량을 통째로 물속에 담가봅니다.

처음으로 불길이 완전히 잡힙니다.

현재로선 전기차 화재엔 수조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엄재현/강원도소방학교 교육훈련과장 : "새로운 장비를 또 시연하고, 그다음에 화재 진압, 그리고 또 감식을 통해서, 화재 단계별 감식을 통해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에 임하고자."]

하지만, 또 다른 고민거리가 생겼습니다.

지금의 기술 수준에서 수조를 사용할 경우, 출동 인력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점입니다.

수조 하나를 쓰는데, 소방관이 10명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화면제공:강원도소방본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