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허가 번식·부상견 방치…동물 학대 등 11건 적발
입력 2022.12.26 (20:02)
수정 2022.12.26 (2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무허가로 반려동물을 번식시켜 판매하거나 다친 반려견을 방치하는 등 동물보호법을 위반한 11곳이 적발됐습니다.
내년 4월부터는 동물보호법 전면 개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할 업종이 늘어납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뜬장에 개 수십 마리가 갇혀 있습니다.
환경이 열악해 질병에 노출돼 있고 다친 개도 7마리가 발견됐습니다.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새끼는 안 낳아요. 낳을 수 있는 것들이 어디 있냐고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제대로 된 개들이 얼마나 있냐고요."]
또 다른 곳에 갇힌 개들은 새끼를 번식시키는 데 이용됐습니다.
이곳은 허가 없이 동물생산업을 하면서 허가받은 업체 명의를 빌려 경매장에 개들을 판매하다 적발됐습니다.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엊그저께 새끼 낳은 애들이라고, 이렇게 들어오면 잡아먹는다고 새끼를... 그러니깐 빨리 나가."]
도살 시설을 갖추고 작업을 하다 적발된 곳도 있습니다.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2월부터 이달까지 단속을 벌여 동물보호법 등을 위반한 11곳을 적발했습니다.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죽음에 이르게 한 학대행위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
질병이나 상해를 유발했을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내년 4월 27일부터는 동물보호법 개정에 따라 동물생산업 외에도 판매업, 수입업, 장묘업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촬영기자:오광택/영상편집:안재욱
무허가로 반려동물을 번식시켜 판매하거나 다친 반려견을 방치하는 등 동물보호법을 위반한 11곳이 적발됐습니다.
내년 4월부터는 동물보호법 전면 개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할 업종이 늘어납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뜬장에 개 수십 마리가 갇혀 있습니다.
환경이 열악해 질병에 노출돼 있고 다친 개도 7마리가 발견됐습니다.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새끼는 안 낳아요. 낳을 수 있는 것들이 어디 있냐고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제대로 된 개들이 얼마나 있냐고요."]
또 다른 곳에 갇힌 개들은 새끼를 번식시키는 데 이용됐습니다.
이곳은 허가 없이 동물생산업을 하면서 허가받은 업체 명의를 빌려 경매장에 개들을 판매하다 적발됐습니다.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엊그저께 새끼 낳은 애들이라고, 이렇게 들어오면 잡아먹는다고 새끼를... 그러니깐 빨리 나가."]
도살 시설을 갖추고 작업을 하다 적발된 곳도 있습니다.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2월부터 이달까지 단속을 벌여 동물보호법 등을 위반한 11곳을 적발했습니다.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죽음에 이르게 한 학대행위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
질병이나 상해를 유발했을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내년 4월 27일부터는 동물보호법 개정에 따라 동물생산업 외에도 판매업, 수입업, 장묘업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촬영기자:오광택/영상편집:안재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허가 번식·부상견 방치…동물 학대 등 11건 적발
-
- 입력 2022-12-26 20:02:33
- 수정2022-12-26 20:14:28

[앵커]
무허가로 반려동물을 번식시켜 판매하거나 다친 반려견을 방치하는 등 동물보호법을 위반한 11곳이 적발됐습니다.
내년 4월부터는 동물보호법 전면 개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할 업종이 늘어납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뜬장에 개 수십 마리가 갇혀 있습니다.
환경이 열악해 질병에 노출돼 있고 다친 개도 7마리가 발견됐습니다.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새끼는 안 낳아요. 낳을 수 있는 것들이 어디 있냐고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제대로 된 개들이 얼마나 있냐고요."]
또 다른 곳에 갇힌 개들은 새끼를 번식시키는 데 이용됐습니다.
이곳은 허가 없이 동물생산업을 하면서 허가받은 업체 명의를 빌려 경매장에 개들을 판매하다 적발됐습니다.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엊그저께 새끼 낳은 애들이라고, 이렇게 들어오면 잡아먹는다고 새끼를... 그러니깐 빨리 나가."]
도살 시설을 갖추고 작업을 하다 적발된 곳도 있습니다.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2월부터 이달까지 단속을 벌여 동물보호법 등을 위반한 11곳을 적발했습니다.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죽음에 이르게 한 학대행위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
질병이나 상해를 유발했을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내년 4월 27일부터는 동물보호법 개정에 따라 동물생산업 외에도 판매업, 수입업, 장묘업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촬영기자:오광택/영상편집:안재욱
무허가로 반려동물을 번식시켜 판매하거나 다친 반려견을 방치하는 등 동물보호법을 위반한 11곳이 적발됐습니다.
내년 4월부터는 동물보호법 전면 개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할 업종이 늘어납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뜬장에 개 수십 마리가 갇혀 있습니다.
환경이 열악해 질병에 노출돼 있고 다친 개도 7마리가 발견됐습니다.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새끼는 안 낳아요. 낳을 수 있는 것들이 어디 있냐고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제대로 된 개들이 얼마나 있냐고요."]
또 다른 곳에 갇힌 개들은 새끼를 번식시키는 데 이용됐습니다.
이곳은 허가 없이 동물생산업을 하면서 허가받은 업체 명의를 빌려 경매장에 개들을 판매하다 적발됐습니다.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엊그저께 새끼 낳은 애들이라고, 이렇게 들어오면 잡아먹는다고 새끼를... 그러니깐 빨리 나가."]
도살 시설을 갖추고 작업을 하다 적발된 곳도 있습니다.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2월부터 이달까지 단속을 벌여 동물보호법 등을 위반한 11곳을 적발했습니다.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죽음에 이르게 한 학대행위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
질병이나 상해를 유발했을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내년 4월 27일부터는 동물보호법 개정에 따라 동물생산업 외에도 판매업, 수입업, 장묘업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촬영기자:오광택/영상편집:안재욱
-
-
임명규 기자 thelord@kbs.co.kr
임명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