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 "인터넷은 나의 힘"
입력 2004.10.29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회 활동을 원하는 노인들은 많습니다마는 마땅히 할 일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새로운 인생을 만들고 있는 노인들, 백진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하루 종일 공원에서 소일하는 노인들에게 컴퓨터와 인터넷은 대개 먼 나라 얘기일 뿐입니다.
⊙인터뷰: 안경 벗으면 보이질 않아요, 컴퓨터 같은 건...
⊙인터뷰: 통 그런 거 몰라요, 나는...
⊙기자: 하지만 노인도 인터넷을 배우면 생활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40여 년째 옷수선점을 해 온 공정순 할머니는 5년 전 복지회관에서 컴퓨터를 배운 뒤 새로운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개인홈페이지를 만들자 방문객이 늘면서 가게 매상도 2배나 증가했습니다.
노인전용 사이트에서 대화를 나누면서 우울증도 말끔히 나았습니다.
⊙공정순(61세/서울시 염리동): 컴퓨터를 배우고 나서 우울증을 완전히 벗었어요.
또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니까 그것도 또 더 기쁨이 되니까...
⊙기자: 이처럼 스스로 컴퓨터를 익힌 노인들이 오늘 어르신 인터넷 과거시험을 통해 그 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겨뤘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강국인 우리나라의 50대 이상 장노년층 인터넷 이용률은 9.3%로 선진국의 3, 40%대에 훨씬 못 미칩니다.
⊙신인철(한국정보문화진흥원 단장): 어르신들이 컴퓨터, 정보화를 해서 뭐 하냐, 조금 있으면 여생을 마치실 분들인데...
그러한 인식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
⊙기자: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노인들의 정보 소외와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더 필요한 때입니다.
KBS뉴스 백진원입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새로운 인생을 만들고 있는 노인들, 백진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하루 종일 공원에서 소일하는 노인들에게 컴퓨터와 인터넷은 대개 먼 나라 얘기일 뿐입니다.
⊙인터뷰: 안경 벗으면 보이질 않아요, 컴퓨터 같은 건...
⊙인터뷰: 통 그런 거 몰라요, 나는...
⊙기자: 하지만 노인도 인터넷을 배우면 생활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40여 년째 옷수선점을 해 온 공정순 할머니는 5년 전 복지회관에서 컴퓨터를 배운 뒤 새로운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개인홈페이지를 만들자 방문객이 늘면서 가게 매상도 2배나 증가했습니다.
노인전용 사이트에서 대화를 나누면서 우울증도 말끔히 나았습니다.
⊙공정순(61세/서울시 염리동): 컴퓨터를 배우고 나서 우울증을 완전히 벗었어요.
또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니까 그것도 또 더 기쁨이 되니까...
⊙기자: 이처럼 스스로 컴퓨터를 익힌 노인들이 오늘 어르신 인터넷 과거시험을 통해 그 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겨뤘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강국인 우리나라의 50대 이상 장노년층 인터넷 이용률은 9.3%로 선진국의 3, 40%대에 훨씬 못 미칩니다.
⊙신인철(한국정보문화진흥원 단장): 어르신들이 컴퓨터, 정보화를 해서 뭐 하냐, 조금 있으면 여생을 마치실 분들인데...
그러한 인식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
⊙기자: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노인들의 정보 소외와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더 필요한 때입니다.
KBS뉴스 백진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인들 "인터넷은 나의 힘"
-
- 입력 2004-10-29 21:43:44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사회 활동을 원하는 노인들은 많습니다마는 마땅히 할 일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새로운 인생을 만들고 있는 노인들, 백진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하루 종일 공원에서 소일하는 노인들에게 컴퓨터와 인터넷은 대개 먼 나라 얘기일 뿐입니다.
⊙인터뷰: 안경 벗으면 보이질 않아요, 컴퓨터 같은 건...
⊙인터뷰: 통 그런 거 몰라요, 나는...
⊙기자: 하지만 노인도 인터넷을 배우면 생활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40여 년째 옷수선점을 해 온 공정순 할머니는 5년 전 복지회관에서 컴퓨터를 배운 뒤 새로운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개인홈페이지를 만들자 방문객이 늘면서 가게 매상도 2배나 증가했습니다.
노인전용 사이트에서 대화를 나누면서 우울증도 말끔히 나았습니다.
⊙공정순(61세/서울시 염리동): 컴퓨터를 배우고 나서 우울증을 완전히 벗었어요.
또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니까 그것도 또 더 기쁨이 되니까...
⊙기자: 이처럼 스스로 컴퓨터를 익힌 노인들이 오늘 어르신 인터넷 과거시험을 통해 그 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겨뤘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강국인 우리나라의 50대 이상 장노년층 인터넷 이용률은 9.3%로 선진국의 3, 40%대에 훨씬 못 미칩니다.
⊙신인철(한국정보문화진흥원 단장): 어르신들이 컴퓨터, 정보화를 해서 뭐 하냐, 조금 있으면 여생을 마치실 분들인데...
그러한 인식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
⊙기자: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노인들의 정보 소외와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더 필요한 때입니다.
KBS뉴스 백진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