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입안 단계부터 토지 거래 허가제 시행
입력 2005.05.06 (22: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각종 개발사업 예정지를 중심으로 땅값 불안 조짐이 보이자 정부가 토지시장 안정대책을 내놓았습니다.
투기수요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토지거래허가제를 개발사업 입안 때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준희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행정도시가 들어설 충남 연기군의 땅값은 지난 3월 한 달에만 6.3%나 올랐습니다.
전국 평균인 0.3%에 비해 무려 20배 이상 높습니다.
기업도시 예정지 등 개발호재가 있는 곳이면 어디나 비슷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아예 개발사업을 입안하는 단계부터 토지거래허가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땅값이 오를대로 오른 뒤 허가제가 시행되는 현행 제도로는 투기적 거래에 뒷북만 치는 꼴이라는 판단 때문입니다.
⊙이재영(건설교통부 토지국장): 개발 계획이 수립, 확정되는 것들이 언론에 보도되고 국민들이 알게 됨에 따라 허가구역이 지정되기 전에 지가가 상당히 상승되고 추후에 지정되는 사례가 있었는데...
⊙기자: 또 앞으로는 임야도 농지와 마찬가지로 해당 시군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사람만 취득할 수 있도록 했고 토지이용 계획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 부과되는 과태료도 훨씬 무거워집니다.
양도세가 실거래가로 부과되는 토지투기지역도 현재 분기별 지정에서 월별로 바뀝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땅투기혐의자를 신속하게 찾아내기 위해 토지거래 전산망을 이달 안에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이준희입니다.
투기수요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토지거래허가제를 개발사업 입안 때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준희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행정도시가 들어설 충남 연기군의 땅값은 지난 3월 한 달에만 6.3%나 올랐습니다.
전국 평균인 0.3%에 비해 무려 20배 이상 높습니다.
기업도시 예정지 등 개발호재가 있는 곳이면 어디나 비슷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아예 개발사업을 입안하는 단계부터 토지거래허가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땅값이 오를대로 오른 뒤 허가제가 시행되는 현행 제도로는 투기적 거래에 뒷북만 치는 꼴이라는 판단 때문입니다.
⊙이재영(건설교통부 토지국장): 개발 계획이 수립, 확정되는 것들이 언론에 보도되고 국민들이 알게 됨에 따라 허가구역이 지정되기 전에 지가가 상당히 상승되고 추후에 지정되는 사례가 있었는데...
⊙기자: 또 앞으로는 임야도 농지와 마찬가지로 해당 시군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사람만 취득할 수 있도록 했고 토지이용 계획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 부과되는 과태료도 훨씬 무거워집니다.
양도세가 실거래가로 부과되는 토지투기지역도 현재 분기별 지정에서 월별로 바뀝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땅투기혐의자를 신속하게 찾아내기 위해 토지거래 전산망을 이달 안에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이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개발 입안 단계부터 토지 거래 허가제 시행
-
- 입력 2005-05-06 21:12:18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각종 개발사업 예정지를 중심으로 땅값 불안 조짐이 보이자 정부가 토지시장 안정대책을 내놓았습니다.
투기수요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토지거래허가제를 개발사업 입안 때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준희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행정도시가 들어설 충남 연기군의 땅값은 지난 3월 한 달에만 6.3%나 올랐습니다.
전국 평균인 0.3%에 비해 무려 20배 이상 높습니다.
기업도시 예정지 등 개발호재가 있는 곳이면 어디나 비슷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아예 개발사업을 입안하는 단계부터 토지거래허가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땅값이 오를대로 오른 뒤 허가제가 시행되는 현행 제도로는 투기적 거래에 뒷북만 치는 꼴이라는 판단 때문입니다.
⊙이재영(건설교통부 토지국장): 개발 계획이 수립, 확정되는 것들이 언론에 보도되고 국민들이 알게 됨에 따라 허가구역이 지정되기 전에 지가가 상당히 상승되고 추후에 지정되는 사례가 있었는데...
⊙기자: 또 앞으로는 임야도 농지와 마찬가지로 해당 시군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사람만 취득할 수 있도록 했고 토지이용 계획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 부과되는 과태료도 훨씬 무거워집니다.
양도세가 실거래가로 부과되는 토지투기지역도 현재 분기별 지정에서 월별로 바뀝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땅투기혐의자를 신속하게 찾아내기 위해 토지거래 전산망을 이달 안에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이준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