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노동계, 잇단 비리에 ‘휘청’
입력 2005.05.09 (22:04)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동계 양대 산맥 가운데 하나인 한국노총이 잇단 비리 사건으로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항운노조 비리에 이어서 이번에는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리베이트 수수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됐습니다.
노총 개혁압력이 거세질 전망입니다.
박정호 기자의 심층보도입니다.
⊙기자: 한국노총 권오만 사무총장은 지난 2003년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의 위원장을 지내면서 택시의 부가가치세 환급금 40억원을 투자하는 대가로 5억원의 리베이트를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리베이트 수수 내용은 당시 전택노련 간부들도 대부분 모를 정도로 권 위원장이 엄밀히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문진국(전택노련 위원장): 모르죠.
모르니까 지금 와서 우리가 정리를...
있었던 걸 그대로 얘기를 해 주는 거예요.
⊙기자: 채용과 승진을 둘러싸고 금품을 주고받는 구조적 비리가 드러나면서 집행부가 대거 구속된 항운노조도 마찬가지입니다.
산별노조 집행부에 권한이 집중되면서 일반 조합원의 감시와 견제장치가 약해진 틈을 타 간부들이 채용을 둘러싸고 금품을 받는 등 비리가 만연했습니다.
실제로 전택노련의 경우 한 달에 1만원 이상의 노조 조합비를 내지만 대부분 조합활동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택시 기사: 열 시간 넘게 일해야 사납금 채우고 조금 버는데 조합 활동할 여유도 안 되고...
⊙기자: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조합원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의사결정 구조를 민주적으로 개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배규식(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이제까지 너무 산별노조위원장이라든지 소수의 간부들한테 집중돼 있던 이런 의사결정이 단위노조 간부라든지 이런 쪽으로 좀더 내려가는 민주화가 되는 이런 조치를 좀...
⊙기자: 이번 사건으로 한국노총과 산하 산별연맹의 노조활동에 대해서 조직 안팎의 개혁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뉴스 박정호입니다.
항운노조 비리에 이어서 이번에는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리베이트 수수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됐습니다.
노총 개혁압력이 거세질 전망입니다.
박정호 기자의 심층보도입니다.
⊙기자: 한국노총 권오만 사무총장은 지난 2003년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의 위원장을 지내면서 택시의 부가가치세 환급금 40억원을 투자하는 대가로 5억원의 리베이트를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리베이트 수수 내용은 당시 전택노련 간부들도 대부분 모를 정도로 권 위원장이 엄밀히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문진국(전택노련 위원장): 모르죠.
모르니까 지금 와서 우리가 정리를...
있었던 걸 그대로 얘기를 해 주는 거예요.
⊙기자: 채용과 승진을 둘러싸고 금품을 주고받는 구조적 비리가 드러나면서 집행부가 대거 구속된 항운노조도 마찬가지입니다.
산별노조 집행부에 권한이 집중되면서 일반 조합원의 감시와 견제장치가 약해진 틈을 타 간부들이 채용을 둘러싸고 금품을 받는 등 비리가 만연했습니다.
실제로 전택노련의 경우 한 달에 1만원 이상의 노조 조합비를 내지만 대부분 조합활동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택시 기사: 열 시간 넘게 일해야 사납금 채우고 조금 버는데 조합 활동할 여유도 안 되고...
⊙기자: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조합원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의사결정 구조를 민주적으로 개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배규식(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이제까지 너무 산별노조위원장이라든지 소수의 간부들한테 집중돼 있던 이런 의사결정이 단위노조 간부라든지 이런 쪽으로 좀더 내려가는 민주화가 되는 이런 조치를 좀...
⊙기자: 이번 사건으로 한국노총과 산하 산별연맹의 노조활동에 대해서 조직 안팎의 개혁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뉴스 박정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노동계, 잇단 비리에 ‘휘청’
-
- 입력 2005-05-09 21:16:47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노동계 양대 산맥 가운데 하나인 한국노총이 잇단 비리 사건으로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항운노조 비리에 이어서 이번에는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리베이트 수수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됐습니다.
노총 개혁압력이 거세질 전망입니다.
박정호 기자의 심층보도입니다.
⊙기자: 한국노총 권오만 사무총장은 지난 2003년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의 위원장을 지내면서 택시의 부가가치세 환급금 40억원을 투자하는 대가로 5억원의 리베이트를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리베이트 수수 내용은 당시 전택노련 간부들도 대부분 모를 정도로 권 위원장이 엄밀히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문진국(전택노련 위원장): 모르죠.
모르니까 지금 와서 우리가 정리를...
있었던 걸 그대로 얘기를 해 주는 거예요.
⊙기자: 채용과 승진을 둘러싸고 금품을 주고받는 구조적 비리가 드러나면서 집행부가 대거 구속된 항운노조도 마찬가지입니다.
산별노조 집행부에 권한이 집중되면서 일반 조합원의 감시와 견제장치가 약해진 틈을 타 간부들이 채용을 둘러싸고 금품을 받는 등 비리가 만연했습니다.
실제로 전택노련의 경우 한 달에 1만원 이상의 노조 조합비를 내지만 대부분 조합활동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택시 기사: 열 시간 넘게 일해야 사납금 채우고 조금 버는데 조합 활동할 여유도 안 되고...
⊙기자: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조합원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의사결정 구조를 민주적으로 개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배규식(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이제까지 너무 산별노조위원장이라든지 소수의 간부들한테 집중돼 있던 이런 의사결정이 단위노조 간부라든지 이런 쪽으로 좀더 내려가는 민주화가 되는 이런 조치를 좀...
⊙기자: 이번 사건으로 한국노총과 산하 산별연맹의 노조활동에 대해서 조직 안팎의 개혁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뉴스 박정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