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철로 위를 떠서 시속 100km 이상으로 달리는 자기부상열차가 우리 손으로 개발돼 상용화를 눈 앞에 두고 있습니다.
공해가 없고 가격이 싸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영준 기자입니다.
⊙기자: 선로 위를 미끄러지듯 달리고 있는 이 열차가 바로 한국기계연구원이 개발한 한국형 자기부상열차입니다.
번에 최고 200여 명을 태우고 시속 110km까지 낼 수 있습니다.
철로 위를 1cm쯤 떠서 달리기 때문에 소음이나 진동이 거의 없습니다.
회전반경도 일반 열차의 3분의 1 정도인 60m에 불과해 도심의 좁은 지역도 운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자기부상열차는 건설경비나 운용비용이 기존 경전철에 비해 10에서 30%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나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탈선 위험은 물론 공해가 전혀 없어 국내 자치단체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까지 시승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박헌규(경기도 김포시 택지 개발 담당): 시스템이 처음 접해보는 시설이라서 상당히 괜찮은 이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기자: 우리나라는 독일과 일본에 이어 세계 세번째로 실용화에 나섰습니다.
⊙김동성(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2007년 초에는 대전에서 시험운행을 하고 2009년이나 10년경에는 실제 시가지운행을 통해서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국형 자기부상열차는 국산화율이 99%가 넘고 성능도 뛰어나 수출경쟁력도 충분하다는 평가입니다.
KBS뉴스 서영준입니다.
공해가 없고 가격이 싸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영준 기자입니다.
⊙기자: 선로 위를 미끄러지듯 달리고 있는 이 열차가 바로 한국기계연구원이 개발한 한국형 자기부상열차입니다.
번에 최고 200여 명을 태우고 시속 110km까지 낼 수 있습니다.
철로 위를 1cm쯤 떠서 달리기 때문에 소음이나 진동이 거의 없습니다.
회전반경도 일반 열차의 3분의 1 정도인 60m에 불과해 도심의 좁은 지역도 운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자기부상열차는 건설경비나 운용비용이 기존 경전철에 비해 10에서 30%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나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탈선 위험은 물론 공해가 전혀 없어 국내 자치단체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까지 시승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박헌규(경기도 김포시 택지 개발 담당): 시스템이 처음 접해보는 시설이라서 상당히 괜찮은 이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기자: 우리나라는 독일과 일본에 이어 세계 세번째로 실용화에 나섰습니다.
⊙김동성(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2007년 초에는 대전에서 시험운행을 하고 2009년이나 10년경에는 실제 시가지운행을 통해서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국형 자기부상열차는 국산화율이 99%가 넘고 성능도 뛰어나 수출경쟁력도 충분하다는 평가입니다.
KBS뉴스 서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기부상열차 상용화 시동
-
- 입력 2005-05-10 21:37:14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철로 위를 떠서 시속 100km 이상으로 달리는 자기부상열차가 우리 손으로 개발돼 상용화를 눈 앞에 두고 있습니다.
공해가 없고 가격이 싸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영준 기자입니다.
⊙기자: 선로 위를 미끄러지듯 달리고 있는 이 열차가 바로 한국기계연구원이 개발한 한국형 자기부상열차입니다.
번에 최고 200여 명을 태우고 시속 110km까지 낼 수 있습니다.
철로 위를 1cm쯤 떠서 달리기 때문에 소음이나 진동이 거의 없습니다.
회전반경도 일반 열차의 3분의 1 정도인 60m에 불과해 도심의 좁은 지역도 운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자기부상열차는 건설경비나 운용비용이 기존 경전철에 비해 10에서 30%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나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탈선 위험은 물론 공해가 전혀 없어 국내 자치단체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까지 시승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박헌규(경기도 김포시 택지 개발 담당): 시스템이 처음 접해보는 시설이라서 상당히 괜찮은 이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기자: 우리나라는 독일과 일본에 이어 세계 세번째로 실용화에 나섰습니다.
⊙김동성(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2007년 초에는 대전에서 시험운행을 하고 2009년이나 10년경에는 실제 시가지운행을 통해서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국형 자기부상열차는 국산화율이 99%가 넘고 성능도 뛰어나 수출경쟁력도 충분하다는 평가입니다.
KBS뉴스 서영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