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진료비 해마다 20% 인상

입력 2005.05.31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산 고령화사회 현상이 건강보험 진료비에서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노인진료비는 급증한 반면 소아과와 산부인과 진료비는 줄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그 유례가 없을 정도로 고령화가 빨리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율은 9% 정도로 대표적 과령화사회로 꼽히는 일본의 절반 수준이지만 2050년 경에는 37% 수준으로 올라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될 전망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노인진료비도 눈덩이처럼 늘고 있습니다.
올해 1/4분기 노인진료비는 1조 3800억원, 지난해 같은 기간 1조 1400억원보다 22%나 급증했습니다.
또 건강보험 가입자 중 노인인구는 8%에 불과하지만 전체 건강보험 급여비용의 24%를 노인이 쓰고 있습니다.
인구 구성비에 비해 3배나 되는 진료비를 사용하는 셈입니다.
⊙조재국(박사/보건사회연구원): 노인분들의 중복의료 이용을 줄이고 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고 수가 체계를 개편하는 등의 이런 준비를 해야 폭증하는 노인의료비에 대처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반면 소아과 진료비는 지난해 1160억원에서 올해 1070억원으로 8% 감소했고 산부인과도 860억원에서 840억원으로 2% 줄었습니다.
저출산 등으로 인한 급속한 고령화는 진료비 부담으로도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KBS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인 진료비 해마다 20% 인상
    • 입력 2005-05-31 21:24:11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저출산 고령화사회 현상이 건강보험 진료비에서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노인진료비는 급증한 반면 소아과와 산부인과 진료비는 줄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그 유례가 없을 정도로 고령화가 빨리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율은 9% 정도로 대표적 과령화사회로 꼽히는 일본의 절반 수준이지만 2050년 경에는 37% 수준으로 올라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될 전망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노인진료비도 눈덩이처럼 늘고 있습니다. 올해 1/4분기 노인진료비는 1조 3800억원, 지난해 같은 기간 1조 1400억원보다 22%나 급증했습니다. 또 건강보험 가입자 중 노인인구는 8%에 불과하지만 전체 건강보험 급여비용의 24%를 노인이 쓰고 있습니다. 인구 구성비에 비해 3배나 되는 진료비를 사용하는 셈입니다. ⊙조재국(박사/보건사회연구원): 노인분들의 중복의료 이용을 줄이고 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고 수가 체계를 개편하는 등의 이런 준비를 해야 폭증하는 노인의료비에 대처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반면 소아과 진료비는 지난해 1160억원에서 올해 1070억원으로 8% 감소했고 산부인과도 860억원에서 840억원으로 2% 줄었습니다. 저출산 등으로 인한 급속한 고령화는 진료비 부담으로도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KBS뉴스 이충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